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수이 Jul 01. 2020

꿈을 꾸는 바보들을 위하여

<라라랜드> (La La Land, 2016), 데미안 셔젤 감독


언젠가 한 번쯤은 세상에 오로지 자신만이 존재하는 듯한 순간이 찾아오기 마련이다. 모든 조명이 암전 되고 주위의 사물도 사람도 다 사라져 버린 것만 같은 그 신비한 때는 <라라랜드>에도 등장한다. 길을 걷다 우연히 듣게 된 연주에 끌려 운명적으로 그에게 반하던 순간,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참가했던 오디션에서 자기 자신을 온전하게 펼쳐 보이던 순간이 그러하다. 자신을 그저 수많은 사람 속의 하나라 여기던 미아(엠마 스톤)를 스포트라이트 아래 홀로 선 주인공으로 만들었던 것은 그녀의 사랑과 오랜 꿈인 연기에 빠져버린 순간들이었다. 남녀의 로맨스와 꿈에 대한 열정을 화려하게 섞어낸 <라라랜드>는 꿈과 사랑에 빠진 이들, 사랑하는 꿈을 꾸는 이들 모두의 눈길을 사로잡는다.






단순히 결과만 논했을 때 두 사람의 꿈은 이루어진 반면 로맨스는 끝을 맺었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영화가 사랑의 무게를 덜었거나 꿈에 비중을 더했다고 판단할 수는 없을 것이다. ‘Exit’ 와 나란히 놓여있던 스피커와 그 안에서 흘러나오던 손짓. 현실의 탈출구라 생각했던 세바스찬(라이언 고슬링)은 궁극적으로는 미아의 현실 자체를 변모시킨, 날개를 달아주고 원하는 곳으로 데려가 줄 바로 그 사람이었다. 성공에 직접적인 발돋움이었던 오디션에 참가할 수 있도록 도운 점에서도 물론 그러했지만, 무엇보다 그는 그녀에게 가장 필요했던 자신에 대한 믿음을 선물했다. ‘방 안에 앉아 세상을 다 보는 것 같다’는 칭찬이자 격려는 연기하는 이가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찬사이지 않을까. 그렇게 사소하지만 다정한 말 하나하나로 그녀를 단단하게 굳히고 끝내 한계 밖으로 끌어냈던 것이 그의 역할이었다. 미아 역시 현실에 흔들리던 자신에게 눈을 반짝이며 재즈 클럽을 열겠다는 꿈을 보이던 세바스찬을 바라보며 그가 바로 자신이 기다리던 이임을 알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세바스찬조차 정작 꿈이 이뤄지던 때에는 미아의 곁에 없었고, 다져진 꿈을 이루어 낸 것은 결국 그녀 혼자였다. '당신의 삶을 변화시킬 그 누군가는 당신이 꿈꿔왔던 길을 가도록 이끌지만, 결국 그것을 이루어내는 여정은 당신 혼자여야 한다’는 생각으로 <라라랜드>를 제작했다던 감독 데이미언 셔젤의 메시지가 노골적으로 드러나는 부분이다. 영화에서 어느 하나 과하다는 느낌 없이 두 사람의 사랑과 열정의 산뜻한 균형이 가능한 이유 역시 여기에 있다. 서로가 없었다면 이루어질 수 없었던 꿈이자, 꿈이 없었다면 만날 수 없었을 사랑임을 보여주며 영화는 어느 한쪽에 가치를 기울이지 않는다. 그렇기에 관객은 두 사람의 꿈이 이루어졌다고 웃을 수 없고, 사랑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울지 못한다.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의 열정에 끌리게 되어 있어.
자신이 잊은 걸 상기시켜 주니까.



사랑과 꿈의 공통점은 바래지기 쉽다는 것이다. 러닝타임 내내 알록달록한 원색을 고집하던 미아의 드레스가 결말부에 검정으로 물들었듯, 실패해 볼 기회를 주지 않는 세상에서 등을 떠밀리다 보면 반짝이던 감정은 그 색을 잃기가 쉽다. 그러한 의미에서 <라라랜드>는 상기의 영화다. 놓치는 줄도 모르는 채 놓쳤던, 혹은 어쩔 수 없이 놓아버렸던 소중한 것들을 떠올리며 관객은 진한 씁쓸함을 만끽하고, 영화의 피날레에서 마치 '이거면 됐다'라고 말하는 듯한 세바스찬의 끄덕임에 안타까움으로 함께 입술을 깨물게 된다.

작가의 이전글 하지 않을 것을 선택할 권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