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아 Nov 01. 2016

SNS에서 가장 많이 공유되는 콘텐츠 유형 5가지

인생의 낭비가 아닌 콘텐츠는 뭐가 있을까

  SNS 콘텐츠 마케팅, "재밌는 콘텐츠 만들어서 공유 많이 시키면 되는 거 아닌가?"라고 단순하게 생각할 때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콘텐츠를 제작하는 입장이 되어 보니 알겠습니다. 말만 쉬운 거더라고요. 심지어 온라인 콘텐츠 마케팅은 그 어떤 전통적인 광고, 마케팅 매체보다 성과를 수치화하기 쉽습니다. 페이스북은 어쩜 그렇게 도달수며 CPC며 수많은 수치로 마케터들을 심쿵하게 하는지. 우리가 수치스럽지 않은 성과를 내고 있다는 걸 대표님, 혹은 우리의 갑님들에게 증명하려면 공부가 필요합니다. 대체 뭐가 재밌는 콘텐츠지?


  SNS에 업로드할 수 있는 콘텐츠의 형태는 무궁무진합니다. 그중 대부분은 월급이 통장을 스치고 사라지는 것보다 더 빠르게 사람들의 타임라인에서 증발합니다. 하지만 일부는 최 모 씨 비리 터지듯 어마어마한 속도로 공유돼 관심을 끌기도 합니다. 그 비결은 무엇일까요?


네,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독자니소스님.


  SNS에서 많은 공유 수는 내 콘텐츠가 흔한 인생의 낭비가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는 가장 큰 무기입니다. 공유가 잘 되는 콘텐츠를 만들기 위한 여러 가지 참고사항이 있겠지만, 오늘은 그중에서도 공유가 잘 되는 콘텐츠 유형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인포그래픽

  정보를 시각적으로 돋보이게 만들어 주는 인포그래픽. 인포그래픽은 가장 많이 공유되고 사랑받는 콘텐츠 유형입니다. 디자인 인력이 필요하긴 하지만 인포그래픽으로 제작할 수 있는 콘텐츠 소재는 무궁무진합니다. Arpit Dhariwal에 따르면 인포그래픽은 다른 유형의 콘텐츠보다 4배 더 선호되고 2배 더 공유된다고 합니다.


  Tip) 해외에서는 이미 gif로 만든 인포그래픽이라는 'Gifographic'이라는 표현도 보편화된 것 같습니다. 아래 기포그래픽은 30일 만에 35만 명에 노출되었습니다.

출처 : http://animagraffs.com/how-a-car-engine-works/


  2. 참여형 콘텐츠

   MBTI 테스트나 심리테스트는 물론, 작년 유행했던 '신이 나를 만들 때 무엇을 넣었을까?'라는 콘텐츠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이름을 입력하면 신이 나를 만들 때 어떤 걸 집어넣었는지 볼 수 있는 간단한 테스트형 콘텐츠인데요, 이 콘텐츠가 우리나라에서만 1500만 명에게 공유되었습니다. 아시아 전체에서는 1억 명이나 이 콘텐츠를 즐겼다고 하는데요. 참여형 콘텐츠의 대표적인 공유 성공 사례입니다. 대박 난 이 콘텐츠를 제작한 봉봉은 50개 국가에서 월간 방문자 2억 명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사실성은 1도 없지만(...)


  3. 목록형 콘텐츠

  지금 읽고 계시는 'SNS에서 가장 많이 공유되는 콘텐츠 유형 5가지' 도 목록형 콘텐츠에 해당합니다. 제목에 숫자가 언급되면 왠지 좀 더 신뢰가 가고, 읽어야 할 내용이 잘 정리되어 있을 듯한 느낌적인 느낌이죠. 2006년 선보인 온라인 미디어 버즈피드가 이 효과를 톡톡히 본 곳입니다. 콘텐츠 제작도 어렵지 않습니다. 주제를 정하고, 주제를 바탕으로 목록을 만들면 끝! Hubspot에서 진행한 실험에서는 목록형 콘텐츠와 "왜"로 시작하는 제목의 콘텐츠가 평균적으로 한 달에 2만 1건 공유되어 다양한 유형의 제목으로 작성된 콘텐츠 중 가장 좋은 성과를 보였다고 합니다. 그중에서도 목록형 콘텐츠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드러났다고 하네요.


  Tip) Economist에서는 목록형 콘텐츠를 만들 때 가장 흥미로운 사실을 첫 번째로 넣을 것, 소재는 8개 이내로 정할 것, 소재 사이에 적절한 흐름이 있을 것, 제목의 굵기 등 포맷을 통일할 것 등을 조언했습니다.


  4. 동영상

  트위터를 휩쓸었던 '디오니소스님', 얼마 전까지 많은 사람들을 혼돈에 빠트린 'PPAP' 등등. 동영상 콘텐츠가 많은 사람들에게 환영받는 것은 더 말할 것도 없는 사실입니다. 페이스북의 하루 동영상 시청 건수가 60억이라고 하니 그 위력이 더욱 실감이 되는데요. 아래는 유튜브에서 가장 조회수가 높은 동영상 10건입니다.

유튜브 동영상 조회수 순위. 출처 : 위키피디아

 

  10건의 동영상 중 9건이 뮤직비디오라는 점이 당연한 듯하면서도 신기하네요. 그나저나 "두유 노 싸이? 두유 노 갱냄스타일?"이 "두유 노 킴치?"보다 잘 먹힐 것 같습니다. 조회수 26억, 유튜브에서 가장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강남스타일'은 한때 전세계적인 말춤 붐을 일으킨 바 있죠. 강남스타일이 어떻게 이 정도로 인기를 끌게 되었는지 과정을 그린 그래프도 흥미롭습니다. 로비 윌리엄스의 개인 블로그, T-pain의 트윗을 통해 소개된 이후부터 급격한 조회수 상승을 보이는데 이 또한 SNS 공유가 콘텐츠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짐작케 합니다.


'강남스타일' 바이럴 그래프. 출처 : 위키피디아

  Tip) 'Charlie bit my finger'처럼 간단하게 촬영한 홈비디오가 굉장한 인기를 끌 때도 있지만 대개 동영상 콘텐츠 제작에는 많은 비용이 필요합니다. 잘 만든 동영상 콘텐츠는 SNS뿐 아니라 유튜브와 비메오에 업로드하면 보다 바이럴 효과를 쉽게 얻을 수 있을 겁니다. 일반적으로 2~3분 내 짧은 영상이 적절합니다.


  5. 카드뉴스

  페이스북에 올라가는 이미지 콘텐츠는 텍스트만으로 구성된 콘텐츠보다 53% 더 '좋아요'를 받고 103% 더 댓글이 달린다고 합니다. 카드뉴스는 짧고 간결한 텍스트와 그에 걸맞은 이미지로 구성된 콘텐츠입니다. 공유 잘 되는 콘텐츠로 이게 빠지면 섭하죠. 전세계 SNS 사용자 23억 명 중 19억 명은 모바일을 통해 서비스를 이용한다고 하는데요, 카드뉴스는 이미지를 한 장씩 넘겨 보는 손맛이 있어 모바일에서도 적합합니다. 웬만한 페이스북 페이지들은 카드뉴스 콘텐츠를 주로 업로드하고 있고, 이제는 기성 언론 매체들도 카드뉴스를 만들지 않는 곳이 드물 정도입니다.

카드뉴스를 언급할 때 빠지면 섭섭할 스브스뉴스


  SNS에서 많은 공유를 이끌어내는 콘텐츠 유형 5가지, 재미있게 읽으셨나요? 내가 기획하는 콘텐츠를 어떤 유형의 콘텐츠로 제작해야 좋은 효율이 나올지 고민하는 과정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콘텐츠 자체의 퀄리티! 흥미로운 소재를 발굴하기 위해 오늘도 머리를 쥐어짜는 이 땅의 콘텐츠 마케터들께 응원을 보냅니다. 저를 포함해서요. 흑.


매거진의 이전글 AI 스타트업 마케터가 개발자 웹툰을 그리는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