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타로김쌤 Sep 11. 2023

욕심과 성공 사이에서

타로 리더로 바라보는 세상 #5

더 많은 것을 바라는 욕심이 있고 내 것을 놓치지 않으려는 욕심도 있다. 사람들은 성공을 바라고 그러기 위해서는 욕심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하지만 가끔, 아니 자주 지나친 욕심이 성공을 방해하기도 하고 사람을 불안하게도 한다.

서로의 관계를 보는 배열법이지만 이렇게 가끔, 서로의 협업이 성공을 만들 수 있을지도 알려주곤 한다. 과연 여기에 따라오는 성공은 욕심 때문인 걸까?


이 타로는 금전적인 성공을 물어보는 것도 애정적인 성공을 물어보는 것도 아니었다. 협업의 과정에서 방해되는 것은 무엇이고 서로 시너지가 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었다.

어떤 배열법이 좋을까 생각하다가 협업 관계의 두 사람이 모두 카드를 뽑을 수 있는 상황이었기에 둘의 관계배열을 펼쳤다.


놀라운 것은 서로 이 협업에 욕심이 끼어있다는 것. 그리고 이 욕심은 방해가 되고 있지 않다는 점이었다. 과욕은 실패를 부른다는 일반적인 관념이 무너지는 순간이었다.

성공에는 욕심이 자리 잡아야 한다.
더 잘하려는. 실수하지 않으려는.
욕심은 때론 성공의 필수적인 요인이
되기도 한다.


오히려 방해로 자리 잡은 건 불확실성이었다. 둘의 시너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아닌 협업의 성공에 대한 불확실성.

주최자보다 협업자의 자신감이 더 컸다. 당연히 잘될 거라는 확신. 서로가 욕심을 가졌지만 이 욕심은 더 큰 시너지를 내게 할 것이다.


둘의 욕심은 표현 방식이 다르다. 주최자의 불안감은 과도한 욕심에서 나왔다. 협업자의 욕심은 당연한 자신감의 표현이었다.




세상은 욕심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욕심 없이 사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성공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어른도 아이도 여자도 남자도 모두 욕심을 품고 산다.


물론 과도한 욕심은 자신을 망가뜨리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그렇다고 모든 이들에게 욕심을 버리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강요해야 하는 것일까?


리더의 눈으로 보는 욕심은 항상 부정적이지만은 않는다는 것. 당연하게도 그것은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에게도 해주고 싶은 말이다.


적당한 욕심은 성공의 기반이 될 수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업이라는 것은 무엇을 요구하는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