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안녕 Feb 01. 2021

게임스톱? 난리났네, 난리났어

미국판 동학개미운동의 발발 



코스피 3000선 붕괴의 원인? 난리났네. 난리났어.



오늘은 다시 상승했지만 최근 3000을 넘어 승승장구하던 코스피가 아래로 급락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최근 꾸준히 17%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던 나의 주식은 4%대로 뚝 떨어졌다. 마이너스는 아니다만 10% 이상이 깎이니 울적해지는 기분은 어떻게 숨길 수가 없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진 걸까. 이유를 찾자면 딱 하나의 이유만은 아닐 수 있다. 하지만 가장 큰 원인은 꼽을 수 있다. 바로 미국판 동학개미운동이라 불리는 '게임스톱' 사태. 이 문제는 현대 경제사에서도 꽤 기록할만한 사건으로 남을 듯한 느낌이다. 개미들이 기관에 작정하고 저항한 사건인지라 의미가 있다. 한 마디로, 난리가 났다. 


이번 '게임스톱' 사태는 무엇인지, 어떤 문제들과 연결돼 있는 건지, 미국에서 터진 이 문제가 왜 소중한 나의 주식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걸까? 너무 궁금했다. 



개미 曰 "더 이상 못 참아!" 게임스톱 사태의 발발



#사건 개요

1) 미국 헤지펀드 "게임스톱(미국 비디오 게임 업체) 주가 하락 예상" => 공매도 결정 


2) 공매도에 참여한 헤지펀드 "게임스톱 구매자는 포커 게임 모르는 멍청이와 같다(GameStop buyers at these levels are the suckers at this poker game.)"라 망언하며 개미들 조롱 


3) 개미 "더 이상은 못 참아!" 선언, 미국의 대형 온라인 커뮤니티 Reddit을 중심으로 "I'm an Idiot, We are the guardians of GameStop(나는 멍청이라 게임스톱 산다.)" 운동 확산 = 작정하고 게임스톱 주식 대거 구매 


4) 미친듯한 매수에 게임스톱 주가 400% 이상 상승 


5) 헤지펀드 "어라? 이게 뭐람. 절대 그럴 수 없어"  <=>  개미 "우리 더 이상 참지 않아"  대전쟁 스타트 




*여기서 잠깐! 어려운 용어 알아보기 


What is 헤지펀드) 

- 소수의 고액 투자자로부터 막대한 자금을 모아 단기간,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방식 

- 'Hedge 헤지' 용어 자체가 각종 세금, 규제를 피한다는 의미라 기본적으로 어떤 제한 없이 할 수 있는 투자 (= a.k.a 고위험고수익의 투기성 자본이자 조세피난처로 여겨짐) 


What the.. fu... 공매도) 

- '공매도 = 없는 것을 판다'는 의미. 즉 외환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해당 주식이나 채권이 없는데도 매도 주문을 내는 것 

- 헤지펀드가 주로 사용하는 투기 전략 중 하나 (=주가가 떨어져야 이익을 보는 방식) 


어떻게 없는 걸 사서 돈을 버나? (1주 기준) 

   (1) '00기업' 주가 떨어질 것 같은 예감이 든다. 

   (2) '00기업' 주식 갖고 있는 A에게 빌린다. 

   (3) 빌린 주식을 현재가 30만 원에 판다. (=현금 30만 원 확보) 

   (4) 얼마 후, 예상한 대로 '00기업' 주가가 10만 원으로 떨어진다. 

   (5) 이때, 갖고 있는 현금 30만 원으로 '00기업' 주식을 산다. 

    (6) A에게 빌린 주식을 갚는다. (= 주식 갚고 + 20만 원 차익 얻는 방식) 



예: 영화 <빅쇼트>가 바로 대표적인 공매도로 수익을 얻은 사람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때, 공매도를 진행해 400%가 넘는 수익을 얻었다고 알려진 '마이클 버리')



미국판 동학개미운동의 결과는?


대개 규모를 무기 삼아 시장을 흔드는 기관에 비해 불리하게 여겨졌던 개미들이 들고일어난 '게임스톱' 사태. 결과는 어떻게 되고 있냐면. 



1) 헤지펀드는 일단은 빌린 주식을 갚아야 하니까 오른 가격대로 주식을 매수 (= 22조 손실) 


오! 개미들의 승리인가? 했지만 


2) 로빈후드(미국 내 앱스토어 등 주식시장 점유율 1위)를 필두로 한 미국 증권사들이 시장을 안정화시키겠다는 명목 하에 게임스톱의 주식, 옵션 거래에 제약을 검 


3) 잇따른 제재와 경고에 게임스톱 주가는 20% 아래로 계속 하락 중



이런 제재에도 대부분의 개미 투자자들은 아직 매도를 진행하지 않고 있으며, 이번엔 로빈후드 등의 증권사를 상대로 제2의 투쟁을 시작하고 있는 상태. 이렇다 보니 미국의 주식 시장 자체가 흔들리고 있는데, 나스닥 및 S&P지수와 무관하지 않은 우리나라 코스피 시장도 자연스럽게 영향을 받고 있다. 어쨌든 당분간은 불안정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태. 


+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3월 15일까지 공식적으로 공매도가 금지되어 있는데, 현재 이를 연장할 것인가 아닌가로 정치권에서도 뜨거운 논쟁을 벌이는 중이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는 터라 미국의 이번 사태에 우리나라에서도 더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나저러나 개미들은 설 자리가 많지 않다. 하지만 지금은 온라인의 시대. 미국처럼 막대한 시장에서도 개미들이 힘을 합치니 '게임스톱' 사태 같은 일이 발생하는 시대가 왔다. 이것이 실패로 돌아간다 하더라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확실한 건, 더 이상 개인은 바보가 아니라는 것. 


지난해 2020년 여러 기관의 주식 리포트에서도 기관보다 개인이 승리했다는 많은 이야기가 있었다. 누구나 마음만 먹으면 가공할 정보력을 갖게 된 시대. 사람들은 더 현명한 판단을 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의견을 모으는 '힘'을 만들 수 있는 시대. 


개미를 무시하지 말라고! 


매거진의 이전글 임창정 '소주 한 잔'의 가치는 얼마인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