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ummer Breeze 노가영 Dec 10. 2022

솔플과 팀플 중에

어떤 방식으로 일할 것인가

진로를 고민할 때 업무에 필요한 역량과 적성만 적합하면 된다고만 생각했다. 성과를 낼 수 있는 수단임이 명확했기에 원하는 방향이 생길 때면 공부하고 경험을 쌓으며 능력을 키워나갔다.

하지만 회사를 다니며 깨달은 건 일을 잘하는 것만으로는 인정받을 수 없다는 것이었다. 상사와의 친밀함으로 유리한 위치에 있는 사람도 있었고 절대적인 능력치보다도 술자리에서 얼마나 분위기를 잘 띄우는가로 그 사람의 평판이 갈리기도 했다.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조직이 의아하게도 그 안에서 살아남으려면 때로는 여우처럼, 때론 곰처럼 행동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끔은 이런 것들에 염증(厭症)이 난다. 처음엔 모르고 지나가다가 극심한 통증으로 병원에 입원하게 되는 염증(炎症)처럼 별 거 아닌 것처럼 보이는 사소한 인간관계 때문에 평일 아침이 다가오는 게 고통스럽게 느껴지기도 한다.


행복하게 일하고 싶고 일을 통해 더 나은 사람이 되고 싶다. 그래서 그렇게 오랜 시간 동안 ’무슨 일을 해야 할까 ‘를 고민했지만 ‘어떤 방식‘으로 일할 것인가는 간과했다. 사실 많은 사람들이 퇴사를 결정하는 기준은 일보단 사람과 환경에 있는데.


일의 방식은 크게 ‘혼자’와 ‘함께’로 나뉜다. ‘혼자’ 일하는 방식은 프리랜서나 1인 기업이 있고 대부분 회사들은 일부 직무를 제외하고 ’함께‘ 일하는 방식을 취한다. 생산부터 판매까지 모든 과정을 분업화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혹시나 한 명의 잘못된 선택으로 좋지 못한 결과를 얻는 것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영자에게 필요한 상황판단능력, 현장실무능력, 대인관계 능력 중에 대인관계 능력이 경영자의 계층과 상관없이 항상 중요하다는 걸 보면 조직 내에서 높은 위치에 올라가더라도 인간관계는 ‘함께’ 일하는 방식에서 빠질 수 없는 요소다.


‘혼자‘와 ‘함께’ 중에서 고르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혼자’를 선호한다. 대학 때 팀플 위주의 강의가 상대적으로 인기가 없었고 팀플이라고 하면 프리라이더를 저절로 걱정해야 하니 사람들과 일하는 건 부정적인 스트레스가 크다.


혼자는 편하지만 리스크가 크다. 업무의 지속성, 성패 등 모든 것들을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 혼자 일하기 위해선 남들보다 강한 셀링포인트가 있어야 하고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꾸준히 능력을 단련해야 한다.

살아남는 것만을 생각했을 때 이미 성공이 증명된 ‘함께’를 선택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인간관계로 인한 스트레스와 생존 가능성 중 어느 것이 자신에게 큰 의미인지를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다. 생존 가능성과 비교하려니 인간관계는 정말 작아 보인다. 내가 받는 월급에 관계에 대한 스트레스 감내 수당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에 스스로를 먹여 살리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란 걸 또 느낀다.

하지만 언젠가 생존 가능성과 인간관계 비용이 동등해진 순간 ‘함께’를 벗어나 뚜벅뚜벅 홀로서기를 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함께’ 일하는 것은 피하고 싶지만 인기 있는 게임엔 항상 팀플이 포함되어 있다. 사회적인 동물이라는 특색처럼 누군가와 아이디어를 나누는 건 즐겁고 여럿이면 단순한 능력의 가산 이상을 이룬다. 재미있는 게임과 혼탁한 조직정치처럼 ‘함께‘에도 희망 편과 절망 편이 있다.

미래에 ‘혼자’의 길을 걷다 또다시 필요성에 의해 ’함께‘를 만들어야 할 때 나와 같이 일하는 사람들은 희망 편을 겪을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싶다.



최종 지향점은 ‘함께’의 희망 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