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양만춘 Dec 07. 2020

그럼에도 우리는 살고, 관계를 맺고, 사랑을 한다.

강은교, <숲>

가끔... 차라리 내가 감정을 느끼지 못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상대방이 무신경하게 던진 말에 난 신경이 쓰일 때가 그렇다. 대수롭지 않게 여기며 흔들리지 않고 넘어가고 싶은데 나는 낡은 차처럼 종종 덜컹거리며 멈춰 선다. 인간관계는 늘 어려워서 언제쯤 인간관계에 자신감이 생길지, 과연 그 ‘언제’가 오기는 올지 모르겠다. 가끔은 사람들을 피해 아무도 없는 산속으로 들어가 혼자 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만큼 다른 사람과의 긴장, 갈등 상황이 버겁게 느껴지고 쉽게 상처 받고 회복이 더딘 내 모습이 아쉽다.


하지만 사람들과 거리를 둔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상처를 덜 받기 위해 취하는 내 선택이 나 자신을 더 외롭고 우울하게 만들 수도 있다. 정은혜는 <싸움의 기술>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사람들은 마찰 없는 관계를 점점 더 선호하게 되는데 우리는 이런 방식으로는 행복한 삶을 살기가 어렵다. 타인이 주는 불쾌한 자극이나 상처로부터 자신을 지킬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이와 동시에 타인으로부터 긍정적인 자극을 받거나 깊은 위로를 받는 것도 어려워진다. 그러다 보니 지루함, 우울증, 번아웃, 절망 등등 현대의 병에 취약해진다.”

림태주는 <관계의 물리학에서>

“거리를 둔다는 건 마음을 단속하는 일이다. 당신은 더 이상 다가가지 않을 것이고, 상처 받는 일도 없을 것이다. 관계는 무의미해질 것이고, 사랑으로 진화하는 일도 없을 것이다.”

라고 말했다.


예전에 몇 년간 친하게 지내던 지인이 통화 중 내가 한 말 때문에 서운하다고 했다. 당시에도 바로 사과를 했고 다음날에도 다시 미안하다고 했다. 잃고 싶지 않을 만큼 소중하고 정이 가는 사람이었다. 하지만 상대방은 마음의 문이 닫혔는지 그 후로 거리가 멀어져서 지금은 연락하지 않는 사이가 되어버렸다. 내가 그 사람을 아끼고 좋아하는 마음만큼 내 경솔함이 후회스러웠고, 한편 그 한순간을 계기로 몇 년간 쌓아왔던 우정이 모래성처럼 무너지는 것을 보며 충격을 받았다. 관계의 단절로 그동안 우리가 나누었던 많은 대화와 함께 했던 경험과 시간이 모두 무의미해지는 것 같아서 안타까웠다. 물론 단지 그 말 한마디 때문이 아닐 수 있다. 그동안 미처 말하지 않았지만 내게 서운하거나 마음에 들지 않았던 점들이 쌓여 왔을지도 모른다. 그래서 그 사람은 단호하게 나를 향한 마음의 문을 닫을 수 있었으리라. 나는 홀로 비를 맞으며 오랫동안 그 문 앞에 우두커니 서 있었다.


최근에는 그 반대 상황에 내가 처했다. 친한 지인이 통화 중 내게 상처가 될 만한 말을 했다. 짧지만 뾰족한 화살이 급소에 들어와 박히는 것 같았다. 통화가 끝나도 바로 다른 일을 할 수가 없어서 눈을 감고 고개를 뒤로 젖힌 채 앉아 있었다. 남편은 내게 단정적으로 말했다; 그 지인은 너와 친한 게 아니다, 친한 사이라면 절대 그런 식으로 말할 수 없다, 너는 네 속 얘기를 아무한테나 쉽게 하지 마라,... 그 사람과의 관계는 여기까지다.


어떤 이들과는 분명 관계의 정리가 필요하다. 특히 나를 이용하거나 지속적으로 힘들게 하는 사람들과의 관계를 정리하지 못한다면 결코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 수 없다. 하지만 어떤 이들과는 감내를 하면서도 관계를 이어갈 필요가 있다. 내가 그 사람을 진정으로 사랑한다면, 그리고 앞으로도 사랑하고 싶다면... 정은혜의 말처럼,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은 마찰이 있다는 것이기도 하고, 사랑한다는 것은 실망을 무릅쓴다는 것이기도 하니까. 완벽한 상대가 어디 있겠는가? 부모 형제자매도, 배우자도 내 마음을 몰라줄 때가 많다. 가장 가까운 사람들로부터도 상처 받곤 한다. 심지어 나 자신도 내 마음과 달라 미울 때가 있지 않은가? 그러니 서운하고 아픈 말을 들을 때마다 그 사람들과의 관계를 정리한다면 결국 외로운 섬처럼 홀로 남지 않을까?


나는 분명 그 지인에게 실망했다. 나에 대한 공감과 배려 부족이 아쉬웠고 서운했다. 하지만 그 한순간의 실수(라고 믿고 싶다)가 그동안의 우리들의 이야기를 덮어버릴 만큼 치명적인 것은 아니었다. 나는 그녀에게 그런 말은 나를 아프게 한다고 말했고, 사과를 받았다. 생채기가 있는데도 괜찮은 척하고 싶지는 않아서 상처의 딱지가 앉을 무렵 내가 먼저 전화를 걸어서 평소처럼 쾌활하게 수다를 떨었다. 그의 힘든 이야기를 들을 때는 코가 매웠다. 그러다 다시 소리 내며 함께 웃었다. 잠시 균형을 잃고 경로를 이탈할 뻔했던 우리 관계의 기차가 다시 정상 궤도에서 움직였다.


비틀거리거나 휘청거린다. 덜컹거리며 가다가 아예 고장이 나서 멈춰 서기도 한다. 서로 의지하며 가다가 어느 순간 상처를 주기도 하는 인간관계. 내가 부족함이 많은 것처럼 상대도 완전하지 않다. 그렇게 서툴고 흠이 있는 우리들... 그럼에도 우리는 관계를 맺고, 서로 사랑을 하고, 함께 살아간다.


© annahunko, 출처 Unsplash

               

                        강은교


나무 하나가 흔들린다

나무 하나가 흔들리면

나무 둘도 흔들린다

나무 둘도 흔들리면

나무 셋도 흔들린다


이렇게 이렇게


나무 하나의 꿈은

나무 둘의 꿈

나무 둘의 꿈은

나무 셋의 꿈


나무 하나가 고개를 젓는다

옆에서

나무 둘도 고개를 젓는다

옆에서

나무 셋도 고개를 젓는다


아무도 없다


아무도 없이

나무들이 흔들리고

고개를 젓는다


이렇게 이렇게

함께




작가의 이전글 포기한 게 아니라 선택한 겁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