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ONORESQUE Oct 18. 2018

이토록 아름다운 불통 러브 스토리

Falling, 오 루시!


차라리 모르는 게 나을 때가 있다. 오히려 도망칠 수 있는 건 이해받지 못할 때다. 어차피 알아줄 수 없는 거 모른 척 해주는 게 부끄럽지 않고, 떄로는 오해만큼 편한 게 없다. 어느 아침 철로 위로 떨어지는 누군가의 어둠같은 건, 애초 누구도 구해줄 수 없다. 테라지마 시노부와 조쉬 하트넷이 만나고, 일본과 미국이 합작해 코미디로 버무린 영화, '오 루시!'는 사실 쓸쓸한 영화다. 유흥 업소를 떠올리게 하는 영어 학원과 머리엔 가발, 입엔 탁구공을 물고 시작하는 영어 수업은 그저 코믹해 보이기만 하지만, 그건 세츠코(테라지마 시노부)가 루시를 만나러 가는 길이고, 현실에 갇혀있던 시간이 잊혀졌던 자신을 찾아가는 시간이다. 집과 사무실, 출근과 퇴근으로 꽉 막혀있는 세상에서, 영화는 그 한 켠, 그 어느 구석 귀퉁이에 말도 안되는 영어 학원을 차려놓고 인사를 한다. '헬로, 아이 엠 루씨', '헬로, 아이 엠 톰,' 서툰 영어가 전달하는 언어에 이해를 바라는 헛된 애씀은 없고, 어차피 한 시간 후면 다 끝나버릴 일들이다. 바라지 않는다면 좌절하지 않는다. 원하지 않는다면 상처받지 않는다. 40대 독신 직장 여성, 세츠코는 그 체념과 오기의 시간을 산다. 그건 비켜간 길에 흐르는 시간이고, 영어 선생님 존이 지어준 루시란 이름의 미국식 시간이다.  

'오 루시!'가 사실 그리 별난 줄거리의 영화는 아니다. 무언가의 만남으로 시간이 방향을 틀고, 숨막히는 시간에 창을 열어 숨을 깊게 들이마시는 이야기는 루시의 클래스 메이트, 톰을 연기한 야쿠쇼 코지의 영화 '쉘 위 댄스'만 봐도 그리 색다르지 않다. '쉘 위 댄스'의 스기야마는 춤을 추고, '오 루시!'의 세츠코는 영어를 배우지만 둘이 맞이한 시간은 분명 어딘가 닮아있다. 하지만 '오 루시!'는 조금 더 보이지 않는, 조금 더 울퉁불퉁한, 조금 더 여기와는 먼 곳의 이야기를 그린다. 어엿한 가정의 가장인 스기야마와 마흔이 넘어 홀로 살아가는 세츠코는 그만큼 물리적으로 거리가 먼 남자와 여자이지만, 그보다 영어와 일본어라는 차이, 그렇게 견고한 벽, 이해와 소통이 아닌 체념과 포기를 택한 시간을, '오 루시!'는 살아간다. 일본어를 버리고 어설픈 영어를 선택한 삶, 최선이 아닌 차선의 시간, 그렇게 괜찮을 수 있는 삶. 루시의 발음을 무시하는 점원의 조롱에서 루시를 구해주는 건 고작 단어 몇 개로 이야기를 나누는 영어 선샌님 존(조쉬 하트넷)이고, 서로 절반 정도밖에 알아듣지 못하는, 일어와 영어가 뒤섞인, 이도 저도 아닌 상황의 아리송함은, 밀린 집세에 난처해진 존에게 민망한 대신 고마움을 남긴다. 반쯤 열린 문 앞에서의, 서툴고 모나고, 자꾸 넘어지는 시간은 일본어도, 영어도 아닌 그저 사람과 사람의 시간, 나는 그 짧지 않은 불통의 시간이 왜인지 예쁘고 아름답다.

세츠코의 조카 미카(쿠츠나 시오리)가 더 많은 대화를 하는 건 엄마(미나미 카호)가 아닌 이모다. 세츠코가 유일하게 회사 밖에서 말을 하는 건 언니가 아닌 조카다. 엄마와 딸, 이모와 조카. 명확히 가깝고 먼 현실 속의 관계는 사실 그렇게 중요한 게 아닐지 모른다. 알 수 없기 때문에, 많이 알지 못해서, 좀처럼 좁힐 수 없는 거리가 있어서, 서로가 서로에게 다가갈 수 있는 순간이 영화엔 흐른다. 회사를 그만두고, 입원을 하고, 병원에서 나와, 그렇게 혼자가 되어 2년이 흘렀다. 누군가는 멀어졌고, 누군가는 남아있고, 누군가와의 기억은 터널 속 어둠 속에 사라졌다. 우연히 연락이 된 오랜 친구는 메일을 주고받다 갑자기 말이 없다. 하지만 나는 왜인지 이유를 알 것 같다. 답변이 도착하지 않은 자리에 또 하나의 메시지를 남기려다 나는 그냥 마음을 접는다. 처음 학원에 간 루시처럼, 그저 가발을 쓰고 그냥 입에 탁구공을 문다. 세츠코가 해고되다 시피 회사에서 나오던 날, 그녀의 서랍에선 주황색 탁구공이 굴러 떨어졌다. 내가 회사의 문을 열고 나오던 날, 문 밖 어딘가에서 지나간 시간이 길을 잃었다. 풀린 오해보다 남아있는 기억이, 외면할 수 없는 상처보다 통역되지 못한 말들이, 어쩌면 추락 직전 플랫폼 위의 어둠을 구한다. 그건 아마 가발 안에 숨겨진 마음이고, 탁구공이 전하는 서툰 사랑이다. 나는 잃어버린 기억을, 이제는 다시 찾지 않는다.



매거진의 이전글 지나간 시간을 주워 담을 순 없지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