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ONORESQUE Apr 08. 2017

혼자임에 관하여

혼자는 함께의 반대말이 아니다. 혼자는 혼자라는 고유의 영역이 있다

2007년 여름, 나는 혼자가 됐다. 다섯 누나, 그리고 엄마, 아빠 아래서 자란 덕에 집 안이 사람들로 북적였었는데 회사에 들어가 독립을 하니 집에는 나 말고 없었다. 나는 아침에 혼자 일어났고, 혼자 밥을 먹었으며, 혼자 회사에 갔다. 어려서부터 낯을 가렸고 친구 사귀기를 번거롭게 생각했기에, 당연히 친구가 몇 없었다. 물론 1년 365일 24시간 계속 혼자였던 건 아니다. 학교에선 그래도 급우가 있었으며, 회사에선 선후배, 그리고 동료가 있었다. 하지만 이렇게 무리 안에 있어도 난 항상 혼자임을 느꼈다. 얼마 전 한번은 모 선배의 결혼식에 다녀왔다. 친한 선배와 함께 갔었는데 그곳에서 난 외딴 섬처럼 느껴졌다. 무수히 많은 하객 속에서 내가 아는 건 같이 간 선배 둘 뿐이었다. 선배들은 서로 아는 사람을 찾아다니며 인사를 하는 동안 난 뒤에서 멀뚱멀뚱, 여기저기를 배회했다. 함께 있어도 난 혼자였다.


  

직업 특성상 행사를 자주 간다. 많으면 일주일에 서너번도 간다. 행사장에는 종류, 형식을 망라하고 사람이 많다. 당연히 내가 아는 사람은 고작 한 두명 뿐이고, 그것도 업무상으로 몇 마디 주고받아 본 행사 관계자나 다른 회사의 사람 정도다. 그러니까 내가 아는 사람보다 모르는 사람이 훨씬 많은 곳이 행사장이다. 친구들은 있는데 친구는 없는 상황. 이 무수히 많은 사람들 속에서도 나는 혼자였다. 어떤 경우엔 말 한 마디 하지 않고 돌아온 적도 있다. 물론 행사장이 사교의 자리는 아니니 별 특이할 것도 없는 일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과 함께 일 때 난 혼자가 아닐까? 외로움을 모를까? 그런 건 아닌 것 같다. 함께라고 다 외롭지 않은 게 아니고 혼자라고 꼭 외로운 것도 아니다. 혼자는 함께의 반대말이 아니다. 혼자는 혼자라는 고유의 영역이 있다.


혼자있는 건 고독이고 혼자있지 못하는 게 외로움이란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서양의 신학자 폴 틸리히는 "외로움은 혼자있는 고통이고, 고독은 혼자 있어서 누리는 즐거움"이라 말했다. 나는 혼자인 게 두렵지 않다. 혼자이기에 깊은 생각을 할 수 있고, 집중해 글도 쓸 수 있다. 그러니까 혼자라서 누릴 수 있는 건 수없이 많다. 혼자보는 영화는 영화에 더 깊숙이 들어갈 수 있으며, 혼자하는 식사는 음식 맛을 더 진하게 느낄 수 있다. 혼자여야만 가능한 활동도 있다. 명상과 독서, 그리고 요가와 같은 운동. 모두 다 자신에게 집중하는 활동들이다. 세상엔 수많은 관계가 있다. 연인, 부부, 형제, 자매, 선후배, 동료 등. 하지만 이보다 더 많은 게 아는 듯 모르고 모르는 듯 아는 관계다. 그리고 실로 우리는 이러한 애매모호한 관계 속에서 살아간다. 어디까지 들어가야할지 어디에서 멈춰야 할지 아리송한 길을 걷는 게 우리의 인생이다. 그렇다면 차라리 혼자인 건 어떨까. 불필요한 눈치와 생각을 거두고 스스로에게 집중하는 삶, 고독이 주는 선물이 아닐까. 외톨이가 되었다고 두려워 떨 거 없다. 혼자이기에 가질 수 있는 기쁨이 세상엔 수도 없이 많다. 

매거진의 이전글 내가 글을 쓰는 이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