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온기철 James Ohn Mar 22. 2023

돈과 은행

실리콘벨리 은행 도산과 채권



돈은 물과 공기 만큼이나 사람이 사는 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 하고 있다. 더나아가서는 인간의 자유, 행복 그리고 품위를 유지하는 데 없어서는 안되는 수단이다. 혹자는 인생은 돈이 다가 아니라고 한다. 그러나 이것은 좀 있는 사람들들의 변이다. 


그러나 이 돈이 어떻게 관리되고 유통 되는 지를 대강이라도 이해 하는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요지음 미국 실리콘 밸리 은행을 비롯한 스위스 은행 등의 파산에 관한 뉴스가 연일 보도 되고 있지만 무슨 말인 지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뉴스에는 뱅크런, 채권, 이자율 같은 말이 나온다. 무슨 뜻일 까? 알면  뉴스를 좀더 흥미롭게 들을 수 있고 자신의 돈 관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자본주의 제도의 중심은 은행이다. 자본주의는 곧 빚이고 은행은 빚을 관리하는 기관이다. 빚(Debt)을  신용(Credit)이라는 말로 대치 할 수도 있다. 


폰지 스킴(Ponzi Scheme)은 고객에게 높은 이득을 약속하고 신규 가입자의 돈으로 이들에게 약속한 이윤을 지급하는 방법의 사기 행각이다. 물론 신규 가입자가 줄어들면 정체가 들어 나게 마련이다. 은행은

정부가 법으로 정한 범위 내에서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운영 된다고 할 수 있다. 


고객이 돈 10원을 은행에 맡기면 은행은 국가에서 정해준 금액만 은행에 보관하고 나머지는 빌려주거나 투자하거나 하여 이득을 챙길 수있다. 그리고 수수료를 받는다. 나라마다 의무적으로 은행에 보관하는 액수가 다르다. 대강 미국은 고객이 맡긴 돈(예금)의 10%를 은행에 남겨야 한다. 한국은 3% 로 알고 있다. 코로나 유행 기간동안에 경기 부양을 위해서 미국은 0% 까지 내려 가기도 했다. 


보통 때는 고객의 저금에 은행이 이자를 붙여서 돌려 주는 데 큰 지장이 없다. 판지 스킴이 신규가입자의 돈으로 높은 이익금을 지불 하듯이 은행도 저금하는 고객이 지속적으로 있어야 인출액을 감당 할 수 있다. 그러나 고객이 한꺼번에 몰려 오면 은행이 가지고 있는 돈이 인출액을 감당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다. 이를 뱅크런이라고 한다. 은행이라는 제도가 그럴 소지를 남겨두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국가는 보험을 통해서 고객의 저금을 보호는 제도를 만들었다. 미국은행의 대부분은  25만불 까지 저금액의 상환을 보장하고 한국의 은행은 5000만원 까지 돌려 준다. 나머지의 저금액은 포기 해야 한다. 

이와 같이 판지스킴이 탄로 났을 때와 뱅크런은 거의 비슷하다. 


실리콘밸리 뱅크는 그 이름과 같이 미국 북가주 하이테크 지역에 위치 한 은행이다. 따라서 하이테크 관련 업체들이 이 은행을 이용 했다. 이들의 예치금은 정부 보험액 25만불을 훨씬 넘는 거액이 많았다. 


이 은행은 코비드19 판데믹 동안에 채권(bond)을 많이 샀다. 판데믹 으로 인한 불경기를 막기 위해서 미국 중앙은행은 금리를 거의 0 가까이로 내리고 많은 돈을 시장에 풀었다. 은행도 저리로 쉽게 자금이 들어 왔다. 주식에 비해서 채권은 비교적 안전한 투자이다. 은행은 잉여자금으로 안전하다고 생각하고 채권을 샀을 것이다.


채권은 약정된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가 되면 액면의 원금을 돌려 준다. 만기가 되기 전에 금융시장에 팔 수 도 있다. 금융시장에서의 채권 가격은 이자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가령 액면가격 만원에 이자율 5% 본드가 만기 10년인 채권을 가지고 있다고 하자. 일년에 500원의 이자를 받다가 10년이 되면 10,000원을 돌려 받게 된다. 그렇지만 중간에 이것을 금융시장에 팔 수도 있다. 이 채권의 가격은 이자율이 살 때보다 현재의 이자율이 더 높으면 내려가고 낮으면 올라 간다. 왜냐면 지금 발행 되는 채권이 이자율이 낮을 때 발행된 채권 보다 이자를 더 주기 때문이다. 반대로 살때 보다 현재의 이자율이 낮으면 오래된 채권의 가격이 현재 발행된 채권 보다 더 비싸 진다. 


판데믹이 끝나가면서 경기가 좋아 지다가 물가가 너무 빠른 속도로 오르기 시작 했다. 미 중앙은행은 이자율을 올려서 인플레이션을 막으려고 했다. 자연히 은행이 산 채권 가격이 떨어 졌다. 막 발행된 단기 채권이 이자를 더많이 주기 때문에 이자율이 쌀 때 싼 장기 채권의 수요가 적어져서 싸게 팔지 않으면 아무도 사려 하지 않기 때문이었다. 


인플레이션과 비싼 이자율로 경기가 좋지 않아지자 이 은행의 고객이었던 벤체기업의 예금 인출이 급격하게 

증가 했다. 은행은 현금 마련을 위해서 장기 채권을 액면 가격에 훨씬 믿되게 팔 았다. 실리콘 벨리에 이은행이 현금이 부족하다는 소문이 돌았다. 이 소문을 들은 고객들이 한꺼번에 몰려와 예금 인출을 요구 했다. 은행의 주식 가격도 급속도로 떨어 졌다. 뱅크런에 의한 파산 직전이었다. 미국 정부와 중앙은행은 은행과 고객들을 모두 구해 주었다. 파급 효과가 무서웠기 때문이었다. 폰지 스킴이었다면 은행을 운영했던 사람들은 모두 감옥에 갔을 것이다. 물론 은행 운영진은 모두 파면 되었다고 하지만 은행과  폰지 스킴의  차이는 전자는 합법적이고 후자는 위법일 뿐이다. 


미국의 7대 대통령 앤드루 잭슨은 “사람들이 돈과 은행제도의 더러운 부정을 이해 한다면 내일 아침 까지 혁명이 일어 났을 것이다.” 라고 했다. 


마크 투웨인은 “은행가는 해가 뜨면 우산을 빌려주고 비가내리자 마자 우산을 빼앗아 간다.”라고 했다. 


은행은 근본적으로 고객이 돈을 저금하면 이 돈을 빌려주어 이자를 받아 저금한 고객에게 원금에 이자를 보태어 돌려 준다. 그러나 빌려주는 이자가 항상 돌려주는 이자보다 많다. 미국의 은행들은 고객의 돈으로 투자도 해서 막대한 이익을 남긴다. 실패하면 정부와 중앙은행이 손해를 부담하고 살려준다. 


은행은 항상 여러분들에게 돈을 빌려준다고 한다. 은행의 호객 행위이다. 이것은 다른 호객행위와 다를 바가 없다. 은행이 여러분의 호주머니를 털어서 이익을 보기 위해서 이다. 차와 집을 은행 돈을 빌려서 사는 것은 

이것들을 무척 비싸게 사는 것이나 마찬가지 이다. 그 차액은 은행이 가져 간다. 말하자면 은행과의 싸움에서 여러분들이 지는 것이다. 

불행하게도 자본주의 시장 경제를 유지 하는 데는 항상 빚지는 인구가 얼마만큼 필요 하다. 가진것보다 더 쓰는 사람들 말이다. 말하자면 생존경쟁의 낙오자라고 할 수 있다. 원금을 갚지 못하고 크래딧 카드 이자민 지불하며 사는 사람들을 생각 해 보라. 그 사람은 지불해야 할 돈의 몇배를 지불하고 은행은 덕분에 막대한 이익을 본다. 너무 슬픈 이야기이지만 은행이 이기느 냐 내가 이기느냐의 싸움이라고 할 수 있다. 


돈이 없으면 자유도 없다. 금융제도에 대한 이해는 여러분의 자유를 지키기 위한 기본적인 지식이다. 

작가의 이전글 민주주의가 고사하고 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