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민윤정 Dec 04. 2024

영화 맨 오브 마스크 (See You Up There)

에콜 드 파리를 떠올리며 볼만한 영화 - 맨 오브 마스크 (See You Up There, 2017)


에콜 드 파리에 대한 자료 조사를 하다가 그 시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를 하나 발견. 원래 소설이 프랑스 작가 피에르 레메트르 (Pierre Lemaitre)가 쓴  원작인데 그 책을 바탕으로 영화가 만들어진 것.



원작이 프랑스어인 책과 그리고 영화, 여기에 영어 번역까지 뒤섞여 제목이 무척 복잡한데, 내가 알아낸 것만 무려 5종류. 

1) Au revoir là-haut - 프랑스 작품이라 동명 소설과 같은 불어 제목이 원제. '저기 위에서 다시 만나요'라는 직역이겠으나, '죽어서 다시 만나자'라는 뜻. 이 책으로 작가 피에르 레메트르는 2013년 공쿠르 상을 수상했다. 

그리고, 같은 제목으로 영화화 되었다. 감독은 Albert Dupontel인데, 극 중 두 주인공 중 한 명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2) The Great Swindle (2015) - 영어로 번역된 소설의 제목, 주인공들이 하는 일이 '거대 사기극'이긴 하지. 


3) See You Up There (2017) - 미국에서의 영화의 제목은 이렇게 소설과는 달리 붙여졌다. 


4) 오르부아르 (2015) - 소설이 공쿠르 작을 받고 나서 번역된 듯한데, 한국어로는 '오흐부아 라오'가 원 발음에 근접할 듯 한데, 이렇게 번역되었다. 작가 이름 및 기타 설명 없이 이 소설과 원래 소설을 연결하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5) 맨 오브 마스크 - 한국어 제목으로는 이렇게, 어중간하게 달렸다.  번역도 아니고 원어 제목을 발음대로 한 것도 아니고...  저 영화를 찾으려고 했는데, 한국어 제목을 미리 알지 않았더라면 절대 이 제목으로는 짐작도 못했으리라. 



영화를 한다는 광고를 본 기억이 없는데, 아마도 영화제에 출품했었던 작품이었나? 소위  상업영화 범주에 들어갈 영화는 아니므로 한국에서는 디비디가 먼저 유통되었는지도 모르겠다. (극장서 영화를 본 게 구석기 시대였나 싶은 나니까, 정확한 상황은 모르겠다.) 여하튼, 제목이야 어떻든간에, 영화를 보고나서 이 영화를 보게 되어 다행이라 생각했다.  



영화에 대한 자세한 평은 영화 평론가들이 어디엔가 자세히 해두셨을 것이라 짐작하고, 오늘은 무엇보다 이 영화가 시각적 효과가 뛰어난 영화라는 것만 강조해두고자 한다. 앞서 밝혔듯이, 에콜 드 파리에 대해서 조사를 하다가 발견했다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이 작품은 1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의 파리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이야기다.  


전쟁을 좋아하는 상관 탓에 다치지 않아도 되는 큰 부상을 얼굴에 입은 주인공 에드아르와 그와 나이와 신분은 큰 차이가 있지만 좋은 친구였던 전우 알베르가 전쟁을 돈벌이로 생각하는 이들을 대상으로 큰 사기를 친다는 게 큰 스포없는 대략적 줄거리라고 할 수 있다. 


아직 소설을 읽어보지 않은 상태라, 소설이 얼마나 시각적으로 묘사를 했는지 확인해보지는 못했지만, 영화에서는 시각적 효과가 영화의 스토리를 살리는데 큰 역할을 한다.  주인공인 에드아르가 화가 지망생이라서도 그렇겠지만, 영화에서는 시각적 아름다움이 압도적이다. 그리고 에콜 드 파리, 20세기 초 모더니즘에 관한 어휘들이 넘칠만큼 등장한다. 


감독 자신이 에두아르가 사용할 가면을 만들기 위해서 Musée du quai Branly–Jacques Chirac 를 수차례 방문했다고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실제로 브랑쿠지, 뒤샹, 피카소의 작품의 흔적들이 곳곳에서 보인다. 특히, 에드아르와 소녀, 그리고 알베르가 세 명이서 사기를 치기로 결심하고 즐겁게 춤을 추는 장면에서 에드아르의 스튜디오를 자세히 비추는 데, 그가 쓰고 나오는 가면들, 그리고 비춰지는 조각들은 다 현대 작가들의 작품을 연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 '증거'들을 발견할 때 그것을 알아채는 기쁨이란!)  


그리고, 잠시잠시 비추는 당시의 파리 풍경과 카바레, 카페등의 장면에서는 '벨 에포크'와 '세기말'을 넘나드는 명암을 잘 살리고 있고, 또한 당시에 유행했던 아르누보 스타일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영화 속에서 에드아르가 그리는 그림의 화풍은 에곤 쉴레의 그것과 많이 닮아 있다.


Egon Schiele (1890-1918), Self-Portrait with Chinese Lantern Plant (1912)

극중에서, 알베르가 에드아르 아버지의 집에서 일하는 하녀인 파울린에게 데이트 신청을 하는 장면은 정원 앞의 철책을 사이에 두고 일어나는데, 연대도 좀 많이 내려가고, 소장처도 프랑스가 아니긴 하지만, 왠지 마네의 '철길'을 연상시킨다.


Édouard Manet, The Railway (1873)

또한, 미술적 안목이 없는 이들이 벌이는 공공 조각 및 기념비에 대한 비판도 신랄한데, 결국 공공 기념비란 '추하고 진부하고 비싼 것'이라야 한다고 에드아르가 말했다고 알베르에게 전하는 어린 소녀의 입을 통해서 말이다.  


이 영화는 짧은 트레일러들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그렇게 밝고 경쾌한 의적단의 통쾌한 복수극은 아니다.  군데군데 코믹적 요소들은 있지만.  


우선 사랑하지만 원체 복잡해지기 쉬운 아버지와 아들과의 관계가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전쟁에 대한 통렬한 비판이 있다. 한번도 보통의 전쟁영화들처럼 직접적으로 전쟁을 자세히 묘사하거나, 참상을 자세히 비추며 목소리 높여 비판하고 있지는 않지만 말이다.  전쟁을 통해 이익을 얻는 자들의 추악한 탐욕을 보여줌으로써  결국 전쟁이란 지배하는 이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서 일으켜 무고한 희생을 낳게 하는 야만적 행위라는 것을 가슴 깊이 새기도록 해준다.  


영화 <맨 오브 마스크>는 한편으로는 묵직한 주제를 다루면서도 코믹한 유머를 잃지 않고, 또 한편으로는 그 절박한 시절에 폭발하듯 꽃을 피웠던 에콜 드 파리의 예술성도 시각화해서 보여주는, 일석삼조를 이룬 작품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