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유전자는 학습될 수 있다
사랑한다는 것은 누군가에게는 어려운 일이지만 어떤 이에겐 그렇지 않은 일일 수도 있다. 하지만 어떤 이들은 사랑을 하고 싶어도 그것이 두려워 이뤄질 만하면 여러 핑계로 상대를 밀쳐 버리는 사람들이 있다. 왜 이러는 걸까? 언젠가는 깨질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부정적 상황을 만들어 관계를 망가뜨리는 것이다.
금. 사. 빠. 금세 사랑에 빠진다는 말의 줄임말이다. 사랑을 잘한다는 뜻으로 들릴 수도 있다. 하지만 금세 사랑에 빠진다는 것은 금세 식을 수도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또는 진정한 사랑을 경험해 보기도 전에 관계가 끝나는 일이 반복되다 보면 사랑이 뭔지를 잘 알 수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열렬했던 사랑이 어떻게 그렇게 빨리 식는 걸까? 이런 성향의 사람들은 자기를 다 받아주고 품어줄 것 같은 대상을 만나면 쉽게 빠져든다. "맞아 바로 이 사람이야. 이건 운명이야"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관계가 깊어지고 친밀해지면 숨이 막히고 답답해서 달아날 궁리를 하게 된다. 그래서 다양한 핑계를 만들어내고 이내 눈에 거슬리는 상대방의 행동이 하나 둘 보이기 시작한다. 싫은 점이 늘어나면서 헤어질 타이밍을 노린다.
혹시 이 같은 패턴에 속하는 사람이라면 자신의 감정을 관찰해 보면 어떨까. 어떤 경우에 상대가 거슬리는지 그리고 상대의 그 모습이 객관적으로도 싫어할 만한 것인지 돌아보자. 아마도 상대의 그런 모습이 거슬리는 이유는 대부분 본인의 문제 때문일 것이다. 관계로부터 도망치고 싶어 하는 본인의 모습이 보인다면 그때부터 사랑과 새로운 삶의 시작은 가능하다. 본인의 이상증세를 알아차린 것만으로도 변화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패턴의 원인은 영유아기에서 비롯된다. 갓난아기에게는 엄마(양육자)의 표정과 엄마로부터 느껴지는 분위기가 세계이고 우주와 같다. 행복한 엄마는 아기를 바라보며 한껏 웃어주고 아기의 욕구를 충족시켜준다. 그래서 엄마의 '행복 유전자'가 아기에게 전달된다. 하지만 불행한 엄마는 아기를 낳아 놓고도 불안감이 높고 아기에 대한 집중력이 부족하다. 엄마의 마음속에는 아기보다 자신의 심리적 갈등이 더 크게 자리하고 있다. 엄마의 심리는 유전자나 파장처럼 아기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아기 역시 불안해하다가 이 상태가 지속되면 감당할 능력이 없는 아기는 분열을 일으키게 된다.
분열을 겪고 있는 사람들은 친해질수록 관계가 깊어지는 게 아니라 어느 정도 이상의 친밀한 관계를 오히려 불편해한다. 그래서 자기 방어를 위해 단절이라는 메커니즘이 발동된다. 하지만 정서적 소통은 잘 못해도 업무적이고 공적인 소통에는 원활한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문제를 인식하기 쉽지 않다.
그들의 주변에는 건강한 사랑을 하는 사람들이 필요하다. 어린 시절 엄마로부터는 행복 유전자를 받지 못했더라도 건강하게 사랑을 나누는 사람들과 어울리며 자신의 사랑 유전자를 바꾸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살아온 자신의 방법에서 벗어나기를 거부하며 "나는 원래 이래"하고 고집할 것이 아니라 "나도 바뀔 수 있어"라고 스스로에게 말해보자.
변화의 출발은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고,이런 과정을 선택하는 것은 본인의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