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What I Learn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aysNOTE Jun 26. 2023

IT 조직이 일하는 방법

Scrum Framework란?


IT 관련된 직종에서 근무하는 사람이라면 스크럼 프레임워크(Scrum Framework)라는 단어는 어렵지 않게 들어봤을 것이다. 하지만 이 방법을 채택하고 있지 않은 기업이라든지, 혹은 IT 관련 직무를 하고 있지 않다면 나도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스크럼 프레임워크가 무엇인지, 어떤 형태고 업무를 하는 것인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Scrum Framework

스크럼 프레임워크



Photo by Olga Guryanova on Unsplash



스크럼(Scrum)이란 럭비에서 경기가 중단되었다가 다시 시작할 때마다 갖추는 팀의 기본 형태에서 유래되었다. 세계적으로 IT 회사에서의 스크럼 프레임워크는 SW 프로덕트 조직에서 개발팀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팀 단위의 애자일(Agile) 실천방식이다. 프레임워크라는 단어에서 알 수 있듯이 일의 콘텐츠를 구체적으로 다루는 것이 아닌, 일을 하는 기본적인 틀과 방향성만 제시한다.








Scrum Team의 구성


출처: https://www.visual-paradigm.com/scrum/what-is-scrum-team/



일반적으로 스크럼 팀은 프로덕트 오너(PO) 혹은 프로덕트 매니저(PM)와 스크럼 마스터(Scrum master), 그리고 Makers 들로 구성되어 있다. PO/PM은 백로그를 관리하면서 어떤 백로그가 우선순위도 높고 임팩트 있는 결과물을 가져다줄지 고민하면서 보통 3가지 정도의 백로그를 채택한 뒤 회의를 통해서 결정된 하나의 백로그로 스프린트를 돌린다. 스크럼 마스터는 Scrum의 주기 등을 관리하고 있으며 많은 경 Makers를 관리하는 개발팀장님들이 이 역할을 맡아서 하는 편이다. 최소 3명에서 최대 9명 정도의 규모로 구성되어 있다.




PM/PO

스크럼 팀이 담당하는 프로덕트의 모든 권한을 소유하고 있다. PO는 '미니 CEO', '가치를 극대화하는 사람(Value Maximizer)', '다리(Bridge)'라고도 불린다. 프로덕트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방향성을 잡고 할 일을 생성하며, 각 할 일의 리소스 및 결과의 임팩트를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최종 결정한다.




Scrum master

스크럼 마스터는 스크럼 팀의 효율성을 책임지고 있다. 스크럼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해 신경 쓰고 최선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팀원들을 가이드하고 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각 스프린트에 필요한 리소스를 스케줄링하고, 다른 스프린트 이벤트 및 팀 회의를 주관한다.






Scrum framework 5가지 이벤트



출처: https://scrumorg-website-prod.s3.amazonaws.com/drupal/2021-01/Scrumorg-Scrum-Framework-tabloid.p




스프린트(Sprint)

스프린트는 스크럼 팀이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일정한 길이의 고정된 프로덕트 개발 주기를 말한다. 최소한의 기간을 갖는 것이 최고의 전략일 것 같지만, 스프린트 기간 중에 개발 증가분을 도출할 수 있는지를 고려하여 적절한 기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1 ~ 4주 정도 길이 내에서 주 단위로 결정하며, 통상적으로 2주를 채택한다.






스프린트 계획(Sprint planning)

스크럼 팀이 스프린트를 시작하는 1일차에 실행하는 이벤트이다. 달성 목표와 목표 달성을 위한 *PBI, Product Backlog Item를 파악하고 *스프린트 백로그로 가져오는 결정을 하며, PM/PO는 스프린트 백로그를 구성하기 위해 PBI의 내용을 팀 전체가 이해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목표의 우선순위 결정에 대한 설명을 진행한다.


스프린트 계획은 스크럼 팀의 모든 구성원이 함께 진행하며, 스프린트 길이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4시간에서 최대 8시간 정도 진행을 한다. 스프린트 계획을 잘 하기 위해서는 PM/PO와 스크럼 마스터가 이전 스프린트 기간 중에 백로그 정제 작업(Backlog refinement)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데일리 스크럼(Daily Scrum)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24시간의 진척과 다음 24시간의 계획을 서로 확인하는 이벤트로 통상적으로 매일 15분가량 진행하고, 스프린트를 진행하면서 발생하는 방해 요소나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일을 언급하는 것 또한 중요한 정보가 될 수가 있다. 보통 개발자들끼리 하는 이벤트이나, 개발자들에게 가이드를 주거나, 진행에 도움을 주기 위해 스크럼 마스터가 참석할 수 있으며, 프로덕트 오너도 진행 상황 등의 정보를 얻기 위해 참여할 수 있다.






스프린트 리뷰(Sprint review)

스프린트 마지막 날*개발 증가분을 확인하면서 피드백과 프로덕트 백로그의 우선순위에 영향이 있는 정보를 수집한다. 보다 의미 있고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 프로덕트의 실제 유저와 스크럼 팀의 주요 이해관계자를 초대하여 프로덕트 체험 및 시연을 진행하고 의견을 청취한다.







스프린트 회고(Sprint retrospective)

스크럼 팀의 학습과 적응이 일어나게 하는 중요한 이벤트이다. 팀이 일하는 방식과 문화에 대해 효과적인 팀이 되기 위한 논의를 진행한다. 주요 안건으로 '스프린트 기간 동안 스크럼 팀의 일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각자 일하는 방식과 협업하는 방식은 어떤지?', '팀이 사용하는 도구는 어떤 것을 활용하는 것이 좋을지?' 등을 이야기한다. 개인 또는 팀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다루기 때문에 다소 불편한 자리일 수 있고 참여자들에게는 성숙한 마인드 셋이 요구된다.




*프로덕트 백로그(Product Backlog) : 스크럼 팀이 가지고 있는 모든 할 일 목록

*스프린트 백로그(Sprint Backlog) : 스크럼 팀이 한 스프린트 동안 완료할 것을 목표로 선정한 일의 목록

*프로덕트 개발 증가분(Invrement) : 프로덕트의 새로운 기능이나 변경된 부분을 의미. 개발 증가분 축적 후 프로덕트의 전략에 따라 배포일에 최종 사용자에게 전달









스크럼의 핵심 가치


Photo by Nick Fewings on Unsplash



스크럼 팀은 '헌신, 용기, 집중, 열린 마음, 존중' 5가지의 핵심 가치를 따른다.


헌신, 스크럼 팀원은 시간이 정해진 작업과 목표에 전념하고 최상의 솔루션을 찾기 위해 지속적인 개선에 전념한다.

용기, 스크럼 팀은 변화와 어려운 목표 등을 달성해야 하는 만큼 적극적인 도전 정신을 지향한다. 솔직하고 투명한 토론을 통해 최상의 솔루션을 찾는다.

집중, 스크럼 팀은 목표에 집중하고 한정된 시간 내에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한 작업에 집중한다.

열린 마음, 스크럼 팀원은 개별 학습과 전반적인 프로젝트 품질을 뒷받침하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회를 열린 자세로 수용한다.

존중, 팀원들은 프로젝트 관리자와 다른 팀원, 스크럼 프로세스를 존중한다.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고 경청하며 함께 협력한다.










글로 배운 스크럼 프레임워크. 이러한 프레임워크가 있고 왜 이렇게 하고 있는지 알 것 같다. 언제나 나의 블로그 포스팅 마무리가 그러했듯이 실제로 경험하며 피부로 느껴보기 전까지만 완벽하게 이해핬다고는 할 수 없겠다. 하지만 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스프린트, 스프린트' 할 때 그저 전력 질주하는 것으로만 생각했던 내가 이제는 IT 업계에서 진행하는 스크럼 프레임워크의 일환이라는 것을 떠올릴 정도는 된 것 같아 뿌듯하다. 부족한 부분을 채우면서 계속 발전하는 내가 되어보자.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매거진의 이전글 만족도 조사에 숨겨진 진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