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What I Learn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aysNOTE Jun 12. 2023

제품(Product)란?

IT업계에서 말하는 제품이란



Unsplash의Domenico Loia



프로덕트 매니저가 되기 위해서 프로덕트가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은 말하지 않아도 중요한 일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이라고 하면 물성을 가진 재화로 생각하기 쉬우며, 비용을 지불해서 소유권을 가질 수 있는 것들로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면 IT업계에서 말하는 '제품'이란 무엇일까?



쉽게 말해서 IT 업계에서 말하는 제품, 프로덕트 매니저가 다루는 제품이라 함은 '서비스'의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비용을 지불해서 재화를 이용한다는 맥락은 똑같지만, 물성의 제품이라기 보다는 편의, 혜택, 도움 등을 받을 수 있는 형태가 없는 '서비스'이다.



사용자(User)란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 모두를 통칭하는 표현이다. 가치(Value)는 사용자가 해당 제품을 사용하며 얻게 되는 모든 것을 가리킨다. 그리고 구현 과정이란 디자이너, 개발자 등 IT 업계 종사자의 최종 목표한 제품을 사용자에게 선보이는 것이다.




제품을 만드는 단계




제품을 만드는 단계.


제품을 만드는 단계는 크게 4단계로 '전략 > 기획 > 구현/배포 > 피드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략단계에서는 제품의 가치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민한다. 사용자가 직면한 문제가 무엇일지 그리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여 사업 기회를 포착한다. 전략단계에서 기업은 제한된 자원, 즉 시간과 인력을 투입하여 최대의 효과를 노려야 하기 때문에 실현 가능성(Feasibility)와 임팩트(Impact)를 고려해야 한다.


제품에 대하여 이루어져야 하는 업무는 백로그(Backlog)라는 개념으로 묶어 관리한다. 매번 새로이 어떤 기능을 작업할지 고르는 것이 아니라 백로그에 쌓인 아이디어나 문제들로부터 우선순위가 높은 업무를 꺼내와 진행하면 된다. 쉽게 말하면 '해야할 일'이다.



기획 단계에서는 정해진 전략을 실제로 수행하기 위하여 구체화 한다. 요구사항 정의서와 화면 설계서를 작성하는 것을 시작으로 제품팀과 유관부서 모두에 어떤 일을 할 것인지에 대하여 구체화하는 작업이다. 여기서 말하는 요구사항 정의서(PRD, Product Requirement Documentation)와 화면설계서(Storyboard)는 기획서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보통 하나의 기획안으로 작성된다. 



구현 단계에서는 실제 구현 담당자들이 작업하면서 발생하는 변셩 사항을 챙기고 목표 일정에 출시할 수 있도록 기능에 대해 취사선택을 하게 된다. 기획단계에서 아무리 빈틈없는 기획을 했다고 하더라고 구현 단계에서 예상치 못한 상황은 늘 발생하기 마련이다. 변경사항을 적용할지 말지, 개선이 필요할지 등 주어진 일정을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역할 역시 프로덕트 매니저가 챙겨야 할 업무이다.



피드백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제품에 대한 평가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제품을 사용하는 주체는 제품을 만드는 사람이 아니라 사용자들이다. 최대한 다양한 수단과 방법으로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을 수집한다.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하고, 앱 스토어 리뷰, 소셜 미디어의 반응을 확인한다. 여기서 수집된 피드백은 위에서 언급한 백로그에 쌓이게 되어 나중에 우리의 제품을 강화시킬 중요한 사항이 된다.








위 내용은 '프로덕트 매니저는 무슨 일을 하고 있을까'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글로 PM업무를 배운다기 보다는 PM업무에 대해 가볍게 알아가는 과정이니 혹시 틀린 내용이나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적극적인 댓글 부탁드립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매거진의 이전글 JTBD, Jobs To Be Done 이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