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원배 Jun 02. 2020

웹툰과 만화작가

"웹툰 보는 것을 좋아하다 보니 웹툰작가가 되고 싶다는 꿈을 갖게 되었어요. 어떤 것 부터 준비해야하죠"

"애니메이션을 자주 보다가 만화작가가 되고 싶어졌는데 그림을 그릴 줄 몰라요"


웹툰괴 애니메이션등을 보고 자란 아이들이 만화작가가 되겠다는 생각들을 많이 한다. 필자가 어릴 때는 만화책과 텔레비전에서 방영되는 로봇태권브이 등을 보면서 자랐고, 지금 시대의 아이들은 웹툰, 에니메이션을 등을 더 추가하여 보면서 자라나고 있다. 중학교 1학년 때에는 애니메이션이나 웹툰을 모사하면서 공부하고 2학년이 되면 어느정도 자신의 만화 실력을 갖추게 되면서 3학년 때는 필사가 아니라 상상한 것을 만화로 또는 웹툰으로 표현할 줄 아는 아이들은 특성화고등학교 에니메이션학과나 디자인 관련 학과로 진학하기도 하고 일반고등학교 진학 후 대학교 미술, 디자인, 에니메이션학과 등으로 진학하기도 한다. 


만화는 스토리를 담고 있는 그림이라고 할 수 있다. 만화는 카툰, 코믹스, 애니메이션,웹툰 등 영역은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또한 애니메이션, 드라마, 영화, 게임 등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만화가는 애니메이션 연출가, 게임작가, 영화감독, 드라마작가로 할동 영역을 확장시켜 나갈 수 있는 직업이기도 하다.


만화가가 되기 위한 성향은 무엇일까? 홀랜드 유형인 실제형, 탐구형, 예술형, 사회형, 기업형, 관습형 등 6개 유형 중 탐구형과 예술형의 성향을 가지고 있어야 만화 관련 직업을 수행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직업흥미유형은 변할 수 있다. 어느 분야에 관심이 있느냐에 따라서 개개인의 성향은 변할 수 있다. 자신이 만화가로서 자질을 갖추고 있는지는 진로 심리검사를 해볼 수도 있다. 직업흥미유형 검사는 어디서 할 수 있을까? 커리어넷(

www.career.go.kr)에서


무료로 가입하고 직업흥미검사 뿐만 아니라 직업적성검사도 할 수 있다. 이 진로심리검사에서는 자신의 적성과 흥미와 연결되어 있는 직업들을 결과로 제시해준다. 


https://www.career.go.kr/cnet/front/examen/examenMain.do
            

        커리어넷 진로심리검사        커리어넷에서 진로심리검사를 실시했습니다.        www.career.go.kr



예술형은 상상력이 풍부하고 감성적인 성향이다. 만화가는 그리미에 관심이 많고 그림을 통해 자신의 상상력을 표현할 줄 알아야 한다. 또한 만화만 잘그려서는 안된다. 다른 사람이 그려놓은 만화를 그대로 모사하는 것만으로 끝나서는 만화가로 성장할 수 없다. 만화는 스토리가 있는 그림이라고 했듯이 시나리오를 만들줄 알아야 한다. 만화가는 다양한 영역의 독서를 많이 해야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즉 문학적인 감성도 필요한 직업이다. 만화 관련 책만 봐서는 안되고 철학, 과학, 역사, 문학, 심리학, 우주, 등의 다양한 영역의 풍부한 독서량을 가져야 한다. 그래야만 자신만의 만화세계 영역을 만들어 갈 수 있다. 

탐구형은 논리적이고 호기심이 많고 분석적인 성향이다. 예술적 감각을 키워야 한다. 일상생활 속에서 그냥 아무 생각없이 지나치기 보다는 자연의 변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탐구해야 한다. 끊임 없는 탐구 정신이 상상력을 키우고 창의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는 것이다.


만화가에게 필요한 역량을 정리해 볼게요. 작가적 사명감, 표현능력, 상상력, 탐구정신, 소통능력, 공감능력등을 갖추는 공부를 해야 합니다. 즉, 그림만 잘 그려서는 안된다. 만화작가는 다양한 분야를 융합하여 그것을 만화로 표현하는 사람이다.  


요즘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만화 관련 학과들을 개설하여 학생들을 모집하고 있다. 만화화영상과,만화예술과,만화창작과,사진영상과,애니메이션.만화과,애니메이션과,웹툰조형과,창작만화과 등이 있으며 사진의 첨단 기술 분야인 디지털 사진에 중점을 두고 사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쇄, 디자인 등의 교육을 병행하여 폭넓은 지식을 갖춘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또한, 출판 만화와 디지털 만화 관련 실무 지식을 프로젝트(project) 수업을 통해 습득하여 새로운 만화 영역과 개성 있는 만화 작품 세계를 개척할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만화 관련 학과에서 배우는 내용을 살펴 보면 표현을 위한 한 방법으로서의 사진뿐만 아니라 상업적, 교육적, 과학적, 기술적 작업으로서의 사진을 탐구하기 위해 사진과 관련된 전문 이론과 촬영 및 인화 실습을 병행하는 수업을 하고. 캐리커처, 카툰, 스토리 만화, 실험 만화, 디지털 만화 등 다양한 장르의 만화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만화 창작, 컴퓨터 그래픽, 드로잉, 캐릭터 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등의 교과목을 고등학교 3년 동안 배우게 된다.


특성화고등학교도 있지만 일반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교에 진학하여 만화 관련 학과에 진학하여 학문을 탐구하고 자신의 만화작가로서 영역을 성장시켜가도 된다. 만화작가가 되는 길은 다양하게 열려있다. 만화 보는 것만 좋아하고 그리는 것만 좋아해서는 만화작가가 될 수 없다. 위에서 얘기한 만화작가로서 키워야할 역량들을 키우는 학교 활동을 해야 한다. 수업 시간에는 집중에서 수업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쉬는 시간이나 집에서 만화그리기에 몰입해야 한다. 


다른사람이 가는 길을 그대로 따라가서는 안되다. 자신만의 만화작가의 세계를 만들고 확장시켜가야 한다. 


                                 2020. 05. 13


                      행복진로학교 파워티처 김원배

작가의 이전글 탈무드의 지혜로운 경구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