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이소 Feb 10. 2021

휴직한 나에게 팀장님이 보낸 문자

인생은 배움의 연속이네요.



 상세불명의 우울에피소드, 질병분류기호 F329. 나의 휴직 사유였다.






 휴직이 결정되자 곳곳에서 연락이 왔다. “괜찮아? 무슨 일이야? 뭐 때문에 그래?” 걱정으로 건네는 말들은 결코 가볍게 대답할 수 없는 질문이었다. 6년째 아무 탈없이 함께 근무했던 직장 동료의 갑작스러운 휴직에 대한 우려는, 또다른 부담으로 다가왔다.


 “그냥 좀 안 좋아서. 괜찮아.” 웃으며 무마할 기력도 소진되어 결국 오는 연락을 차단해 버리는 지경에 이르렀다. 휴직 기간이 끝나면 돌아가서 마주해야 할 직원들이었지만 일일이 답할 수가 없었다. 선의 가득한 걱정과, 안줏거리로 소비해버릴 호기심을 구분할 여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미친 듯이 운동했다. 뭐라도 하지 않으면 패배자가 되는 기분이었다. 남들 다 하는 회사 생활 내가 못나 뒤떨어진 것 같았다. 주어진 휴식을 용납하지 못하고 스스로 마음의 고통을 끌어안았다.


 며칠이 흘렀음에도 뒤늦게 사실을 안 동료들이 간간히 연락을 해왔다. 전화를 받지 않았다. 여러 번 걸려온 부재중 전화 끝에는 메시지가 남겨져 있었다. [무슨 일이야?] 답장은 하지 않았다. 내가 대답해주지 않아도 그들은 이미 알고 있을 터였다.






 시간이 더 흘렀다. 운동을 마치고 돌아오는데 카톡이 왔다. 1년 전 같은 부서에서 근무했던 팀장님이었다.





 이어서 노란 레몬이 한가득 담긴 둥그런 유리병 사진이 붙은 레몬 생강청 기프티콘이 달려왔다. “따뜻하게, 레몬 생강청”이라는 이름처럼 뜨거운 물에 우려낸 달달시큼한 레몬청의 맛이 온기와 함께 입안을 채우는 것 같았다.


 무슨 대답을 해야만 좋을까. 팀장님 역시 소식을 들었을 것이다. 무슨 일인지 어떻게 지내는지 언제쯤 돌아오는지 궁금하지 않을 리 없었다. 일언반구 없이 휴직 들어가 버린 부하직원이 괘씸했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팀장님은 나를 먼저 헤아려주었다. 먼저 말 꺼내기 어려운 사정이 있었을 것이고, 물어보면 불편해 할 것이라고. 어떤 이유든 나는 너를 응원하니 휴식하는 동안은 맘 편히 쉬라고. 짧은 카톡 메시지 안에서 수많은 말들이 전해졌다.


 [인사도 못 드리고 들어와서 죄송해요.] 그 순간 가장 큰 진심을 꾹꾹 눌러 담아 보냈다. 제가 마음이 아프대요. 말씀을 드리고 싶었는데 용기가 없었어요. 차마 뒷말을 잇지 못하고 있는데 팀장님의 답장이 왔다. 


 [그래~ 다음에 놀러와. 맛있는 칼국수 사줄게^^]








 슬픔, 고민, 아픔이 있을 때 누군가가 이야기를 들어주면 마음이 한결 후련해지곤 한다. 하지만 때로는 아무 것도 묻지 않고 그저 옆에 앉아 손을 잡아 주는 것만으로도 위로가 되기도 한다. 그 날 팀장님의 짧은 메시지는 나에게 따스한 온기였고 모든 걸 포용해주는 격려와 응원의 손길이었다.



 상대의 입장을 먼저 헤아리고 곁에서 묵묵히 마음을 건네주는 것, 개인주의와 냉정함이 우월함이 되는 시대에 잃지 말아야 할 덕목이 온 마음 깊이 스며들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나 때문에 울어준 회사 선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