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넷플릭스에서 배우는 기업문화

청년장사꾼 대표 김윤규가 정리해 본 기업문화 사례

어제 대학원 수업시간에 김도현 교수님께 배운 Strategic Entrepreneurship 을 배우면서 많은 생각을 했다. 그 중에 혼자 고민하게 된 부분을 적으면서 다시 한번 공부해보려고 한다.


실제로 청년장사꾼은 조직문화에 관심이 많다. 몇 해 전, 조직문화 사례를 공부하다가 알게된 곳이 '자포스(Zappos)'였다. 그 기회로 자포스의 비즈니스 매뉴얼이라 불리는 <딜리버링 해피니스>도 읽고, 조직문화를 이끄는 수장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 강연을 들으러 가기도 했다. 심지어 미국 출장길에는 라스베가스에 있는 자포스의 다운타운프로젝트 현장과 본사도 다녀오기도 했다. 


'자포스'의 최고 경영자 토니셰이는 사내 직급을 모두 없애고 '구조로 풀어내는 혁신' 이라 불리는 '홀라크라시(Holacracy) 정책'을 도입했다. 이 정책은 현재 진행형이고, 성장통을 겪는 중이라고 하니 지켜보아야 겠다.


오늘은 자포스가 아닌 최근 한국에 들어오면서 큰 이슈를 일으켰던 '넷플릭스(Netflix)'의 Culture Deck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Culture Deck은 사내 문화 지침서라고 생각하면 된다.


페이스북 최고 운영 책임자인 셰릴 샌드버그는 이 문화에 대해 "실리콘밸리에서 지금까지 만들어진 가장 중요한 문서"라고 평가했고, 넷플릭스 CEO인 리드 헤이스팅스는 "성숙한 개인으로 구성된 조직에서만 작동가능"하다고 평가했다.


오늘은 넷플릭스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지만, 우리 멤버끼리 공유한 넷플릭스의 Culture Deck 내용들을 정리해본다. 우리도 넷플릭스의 기업 문화 사례를 본받아 배우고 싶은 우리만의 기업 문화를 구축하고 싶다.



넷플릭스 (Netflix) 성공의 비결은 우수한 기업 문화

■ Values are what we value (우리가 가치 있게 여기는 것이 우리의 가치)
- 귀에 듣기 좋은 말들이 아닌 '회사가 진짜로 가치 있게 여기는 것들을 기준'으로 보상/승진/해고를 결정한다.

- 9가지 회사의 가치 : judgment-판단력, communication-소통, impact-영향력, curiosity-호기심, innovation-혁신, courage-용기, passion-열정, honesty-정직, selflessness-이타적인/사심 없는

■ High Performance (높은 성과)
- 멋진 일터는 끝내주는 동료들이 있는 곳이다.

- 적절한 정도의 성과를 내는 사람은 해고한다.


■ Freedom & Responsibility (자유와 책임)
- 책임감있는 사람은 자유가 있을 때 더 큰 성과를 발휘하고 그 자유를 누릴 자격이 있다. 보통 회사가 커지면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자유를 제약하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성과 좋은 직원들의 비율이 점점 낮아진다.

- 넷플릭스는 사업의 복잡성이 높아짐에 따라 그보다 빠른 속도로 우수한 직원의 비율을 늘려가서 업계 최고로 보상한다.

- 가치가 높은 사람들을 끌어오고, 높은 성과를 내는 문화를 계속 발전시킨다.

- 자유도가 높아야 그런 사람들이 온다. 좋은 프로세스는 창의성을 높인다.
- 비용, 선물, 출장에 관한 넷플리스 정책 : 넷플릭스에게 가장 유리한 방향으로 할 것! 이를 이해하고 이에 따라 행동하는 뛰어난 사람들이 회사에 있으면 문제 없다.


■ Context, not control (통제가 아니라 문맥)
- 한 명이 멍청한 일을 하면 그들을 비난하지 말고 그들에게 문맥을 제대로 제공했는지를 생각해볼 것!
- Context란, 전략, 추정, 목표, 명확히 정의된 롤, 이해관계에 대한 지식, 의사결정의 투명성을 포함한다.


■ Highly aligned, loosely coupled (강하게 정렬되어 있지만 느슨한 조직 - 크고 빠르고 유연하기 위한 연결)

- 전략과 목표는 명확하고 모두 이해할 수 있게 한다.

- 팀간 상호 협력은 전략 보다는 목표를 위해서다.

- 투명하고 분명하고 통찰력 있기 위한 관리에 투자하자.

- 목표를 위해서만 최소한으로 미팅, 서로 체크 없이 그룹간 전략에 대해 믿음으로써 그룹이 빠르게 움직일 수 있게 한다.

- 리더는 미리미리 임기응변을 대비, 전략에 대해 때때로 체크한다. 물론 이는 높은 성과를 내는 사람들과 맥락 이해에 달려 있다.


■ Pay top of market (시장에서 가장 높은 보상을 지불)
- 각 직원들에게 그 시장에서 그 사람이 가지는 최고의 가치에 맞게 보상한다.

■ Promotions and development (승진과 능력 계발)
- 그 사람의 시장 가치를 바탕으로 연봉을 올려줘야 한다.

- 단, 그 사람이 현재 역할에서 매우 뛰어난 성과를 내고 있어야 한다.
- (그들이 뛰어난 사람들과 큰 도전에 둘러싸여 있는 한) 높은 성과를 내는 사람들은 경험, 관찰, 성찰, 독서, 토론을 통해 스스로 성장한다. 



<참고하면 좋을 사이트>


- 넷플릭스 홈페이지 : https://www.netflix.com/kr/

- 넷플릭스 Culture Deck (SlideShare) : http://www.slideshare.net/reed2001/culture-1798664?ref=https://jobs.netflix.com/


매거진의 이전글 매장 하나와 작별인사를 한다는 것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