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은균 Aug 07. 2017

교피아 동문회나 동창회 때문일까

교육부 마피아와 교육적폐 청산에 대하여

1     


교육부 마피아, 교피아 동문회가 궁금하다.   

  

2     


학교 동문회 나가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동문회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아 애착이 갈 만한 동창회도 관심 밖이다. 우리나라 특유의 ‘우리 학교’ 문화가 과잉 분출되곤 하는 그 끈적한 분위기가 내겐 그다지 유쾌하지 않다.


직장이 학교이다 보니 동료 교사들이 학교 안팎에서 동문과 동창으로 연결되면서 미묘한 관계망 아래 묶이는 걸 자주 목격한다. 교무실 안에 있으면 교사들끼리 사소한 이해 문제로 인간관계가 뒤엉킬 때가 있다. 그때 동문이나 동창이라는 말이 위력을 발휘한다. 그것들이 교사들 간에 생긴 갈등을 해소하는 데 일조하는 것 같다.


동문회나 동창회 문화의 순기능적인 면이 없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대체로 역기능적인 면이 더  것 같다. 항시 그런 것은 아니겠지만, 공적 교육기관이라는 학교에서 사적인 친연관계에 따른 업무 처리가 궁극적으로 학교교육의 공공성을 해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학교와 교사와 학생 모두가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3     


고질적인 동문회‧동창회 문화가 교육부 같은 정부 관료 조직 안에 어떤 방식과 수준으로 퍼져 있는지 잘 모르겠다. 보통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은밀하고 세련된(?) 방식으로 서로 밀어주고 끌어주는 관계를 유지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나는 이 앞 글에서 교육적폐 청산 시 인적청산의 중요성을 강하게 피력하였다. 그렇지 않으면 주요 개혁 시책들이 공염불에 그치고 말 것이라는 취지에서였다. 교육부 관료 조직 사이에 널리 퍼져 있을지 모르는 동문회나 동창회 문화가 그들로 하여금 내부자 의식을 강화하게 하면서 개혁에 저항하는 핵심 진지 구실을 할 것 같기 때문이었다.


그들 관료 조직이 교육 기득권 세력을 대변한다는 점은 주지하는 바다. 개혁의 대상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교육적폐세력을 주요 타겟으로 하는 인적청산 주장이 전혀 근거가 없지는 않으리라 본다.


우리나라 권부의 주요 인맥 네트워크는 SKY(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출신들이 그 핵심을 차지한다. 이와 같은 ‘상식’을 통해 보건대, 지금 교육부 관료 집단 역시 특정 대학 특정 학과 출신이 핵심 보직과 그를 뒷받침하는 자리들을 과점하고 있을 개연성이 높다. 지나친 유추의 오류일 수도 있겠지만 말이다.


작년에 “국민은 개돼지”, “신분제 공고화” 발언들이 우리 사회에 일파만파 퍼지고 있을 때였다. 나는 예의 발언의 주인공인 나향욱 전 교육부 정책기획관이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출신이라는 뉴스를 유심히 지켜보았다.


그 뒤 나 전 정책기획관의 직속상관인 이기봉 기획조정실장이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출신으로 나 전 정책기획관과 동문 관계라는 것을 알았다. 실없이 고개를 끄덕인 기억이 난다. 기획조정실장은 교육부에서 장관과 차관에 이어 ‘넘버 3’에 해당하는 자리다.     


4     


이 글을 쓰면서 교육부 누리집에 들어갔다. 조직 편제표를 확인해 보았다. 기획조정실 산하에 ‘나향욱’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정책기획관’ 직함이 박혀 있었다. 그 아래 기획담당관, 예산담당관, 규제개혁법무담당관, 교육통계담당관 들이 주르르 달려 있었다.


그 사이에 있는 묘한 이름 하나가 문득 눈길을 끌었다. ‘창조행정담당관’. 박근혜 정부의 모토가 ‘창조’ 아니었던가. 창조행정담당관이 하는 일을 알아보려고 포털 검색창에 ‘창조행정담당관’을 입력해 보았다. 놀라웠다.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묘사해 보면 어떨까.


X개 부서의 창조행정담당관이 화면을 질주했다. 제1 부처의 창조행정담관이 살아 있었다. 기상청이다. 제2 부처의 창조행정담관이 살아 있었다. 문화체육관광부다. 제3 부처의 창조행정담관이 살아 있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다. 제4 부처의 창조행정담관이 살아 있었다. 해양수산부다. 제5와 제6 부처의 창조행정담관이 살아 있었다. 국가보훈처와 고용노동부다.


나는 그들에게 시인 이상의 말을 빌려 이렇게 말해주고 싶었다. 길은 막다른 골목길이 적당하다. 이제 사라지라. 그러고는 퍼뜩 이런 생각도 들었다. ‘교육부 마피아’, 교피아도 그렇게 사라져야 하지 않을까.    

 

5     


그러나 교피아는 오늘도 국립대나 광역시도교육청이나 교육부 산하기관을 오가며 꿋꿋하게 살아간다. 그들에게는 ‘막다른 골목’이 없나 보다. 교피아 동문회나 동창회 때문일까.


* 제목 커버의 배경 사진은 교육부 조직도 일부를 캡처한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학교생활기록부의 ‘가격’이 알고 싶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