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은균 Aug 29. 2021

학교전 (1)

잃어버린 학교를 찾아서

1


교사들은 학교의 황금 시절을 그리워하는 경향이 있다. 교직 경력이 많고 나이가 많을수록 과거의 학교가 좋았으며, 현재의 학생들을 그때의 학생들과 비교하면 한숨부터 나온다고 말하곤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과거의 학교가 좋았다며 지나간 황금기를 찬양하는 교사들의 말을 들으며 코웃음을 칠 것이다. 학교는 오래 전부터 우리 곁에 있어 왔기 때문에 그만큼 친숙하지만 학교만큼 거리감을 주는 곳도 거의 없을 것이다. 학교의 원형, 이상적인 학교에 관한 진실은 무엇일까.


2


중국 고대 유교 경서 중 하나인 《예기》 제18편은 ‘학기(學記)’라는 표제가 붙어 있다. ‘학기’는 중국 고대의 학교교육과 구체적인 교육방법의 대강이 담겨 있다. 


한 민족이나 나라의 교육은 이웃한 민족이나 국가가 미치는 영향 아래서 만들어지고 바뀌는 경향이 있다. 중국은 정치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우리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래서 몇 년 전 우리나라 학교 역사를 통시적으로 정리하고 싶은 마음이 처음으로 들었을 때, 나는 주저하지 않고 《예기》를 집었다.  


3


책장을 넘겨 차례를 훑어 보다가 ‘학기’라는 제목을 보고 곧장 본문이 있는 쪽으로 넘어갔다. 교화와 학문, 가르침[敎]과 배움[學]의 의미와 중요성에 관한 이야기가 짤막하게 나오다가 고대의 학교제도를 간명하게 서술한 대목이 나왔다. 


“고대의 학교제도를 보자. 가(家)에 속한 자들은 마을에 있는 숙(塾)이라는 학교에 다녔다. 당(黨)에 속한 자들 중 승급된 자들은 상(庠)에서 배웠다. 국성(수도)에는 가장 높은 학교인 학(學)이 있었다.”


4


나는 깜짝 놀랐다. 기원전 고대 시기에 이렇게 짜임새 있는 학교교육 시스템을 만들어 운용했다는 사실이 새삼스럽게 다가왔다. 그 후 ‘학기’의 구절들에 주석을 달아 상세하게 해설을 단 책과 글들이 역사적으로 면면하게 이어져 온 것을 알았다. 《논어》와 《맹자》에 대한 주석서인 《논어집주》나 《맹자집주》에도 《예기》 ‘학기’ 편에서 소개하는 학교 시스템을 설명하는 대목이 여러 곳에 있었다.


이들 해설서를 보면서 중국 고대의 학교 체제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자세히 살펴볼 수 있었다. 고대에는 25개의 가(家)가 1개의 여(閭)가 되었는데, 모두가 1개의 마을에 모여 있었다. 이 마을 입구에 문이 있고, 그 측면에 숙(塾)이라는 마을 학교가 있었다고 한다.


가(家) 500개는 1개의 당(黨)이 되었다. 당(黨)에는 상(庠)이라는 학교가 있었다. 12,500개의 가(家)는 1개의 주(州)가 되었으며, 주에는 서(序)라는 학교가 있었다. 당(黨)에서 승급된 학생들이 서(序)에서 배웠다. 천자가 도읍으로 삼은 곳이나 제후의 국성(國城)에는 천자와 제후의 적장자 및 나머지 아들들, 경‧대부‧사의 자제, 향학(숙, 상, 서) 출신 중 덕행과 재예가 뛰어난 학생들이 입학하는 국학(國學)이라는 학교가 있었다.


5


다음 몇 가지 사실을, 중국 고대 학교 제도에 관한 《예기》 ‘학기’ 편의 소개와 그에 대한 해설을 읽고 난 뒤 얻은 주요 특징으로 기록해 둔다.


첫째, 최말단의 기초 행정 단위부터 학교교육이 시행되었다.
둘째, 행정 단위의 확대에 따라 학교급이 달라지며, 이에 따른 학생 평가와 선발 제도가 차별적으로 적용되었다.
셋째, 학교급별로 단계적인 교육과정을 시행하였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