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달해 Jul 01. 2016

'디어 마이 프렌즈' 수작의 종영을 아쉬워하며...

[대중문화 이야기]


이토록 뜨거운 드라마에 어찌 열광하지 않을 수 있을까. 실력파 드라마 작가 노희경의 대본은 빈틈을 찾아볼 수 없을 만큼 탄탄하고, 평생 한 분야에서 실력을 다진 원로배우들의 연기는 뾰족한 칼날처럼 감성을 찌른다. 그들 사이에서 심지어 귀엽게 느껴지는 40대 톱스타 고현정도 내로라하는 선배 연기자 사이에서 중심을 잡고 제 몫을 다한다. 불과 2회밖에 남지 않은 tvN 금토 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의 종영에 즈음해 이 뛰어난 드라마를 조명하는 글을 남기기로 했다. 원로배우들을 중심으로 노인들의 이야기를 풀어내는 과감한 기획, 눈을 의심하게 만드는 올스타 캐스팅, 유머와 페이소스에 눈물까지 섞어 요리한 절절한 스토리 라인 등 칭찬해야 할 구석이 한두 군데가 아니다. 



드라마를 문학적 감성으로, 노희경 대본의 힘 

이미 정평이 나 있는 노희경 작가의 필력은 이번에도 거침이 없었다. 흐트러짐 없이 주제를 부각시키는 집중력, 매력적인 캐릭터를 빚어내는 뛰어난 조형, 감성적인 명대사들과 몰입도 높은 새로운 구성 능력까지. 그동안 문학적 감성을 담아 그려낸 노희경표 드라마의 노하우가 고스란히 녹아들어 ‘디어 마이 프렌즈’를 만들어내고 있었다. 

그동안 노희경 작가가 내놓은 작품들을 살펴보자. 1990년대부터 지금까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거짓말’ ‘우리가 정말 사랑할 수 있을까’ ‘바보 같은 사랑’ ‘그들이 사는 세상’ ‘빠담빠담…그와 그녀의 심장박동소리’ ‘그 겨울, 바람이 분다’ ‘괜찮아, 사랑이야’ 등 제목만 들어도 알 만한 화제작이 무수하다. 원작 소설을 내놨을 때나 드라마 극본을 내놨을 때나 그 탄탄한 완성도와 문장력으로 극찬을 끌어냈다. 

다만, 매번 시청률이 담보되는 작품을 내놓은 게 아니었기에 ‘타율 높은 스타작가’ 대열에 들어가진 못했다. 대신 예술성까지 논할 수 있는 수작으로 자신만의 위치를 공고히 다진 작가다. 



노희경 작가는 데뷔 초부터 삶의 희로애락이 담긴 신파를 세련된 터치로 그려 보는 이들의 마음을 헤집었다. 혹 다른 작가의 손에 들어갔으면 흔해 빠진 사랑놀음이나 억지눈물을 뽑아내는 후진 작품이 될 수도 있을 법한 소재도 많다. 

노희경은 이런 소재마저도 자신만의 손맛으로 버무려 경쟁력 있는 작품으로 완성시켰다. 이 손맛이 고급스러운 멜로를 만들어내고, 또 세련미 넘치는 신파를 만들어냈다. 1990년대 멜로를 주로 쓰던 작가들이 시대의 트렌드를 따라잡지 못해 좌절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노희경은 매 작품을 내놓을 때마다 그 시기 젊은이들의 감성까지 반영하며 호평을 끌어냈다. ‘빠담빠담’에 판타지를 가미하는 파격적 시도를 성공시키고, ‘괜찮아, 사랑이야’에서 현대인의 심리를 파고들며 시청자들에 위로를 건넬 수 있었던 것도 매너리즘이란 단어와 거리를 두고 한 발씩 나아가는, 노희경 작가의 ‘전진형 작업 스타일’이 만들어낸 성과다. 



흥행 대박보다는 ‘완성도’ 보증수표

고공 시청률을 담보로 한다거나 또는 고가로 해외 시장 판매를 노린다면 ‘태양의 후예’ 김은숙 작가나 ‘별에서 온 그대’ 박지은 작가를 섭외하는 게 옳다. 

반면, 노희경 작가와 함께 일하는 이들은 상업적으로 ‘대박’을 노리기보다 ‘완전한 드라마 한 편’을 만들어내는 데 보람을 느끼며 작업한다고 보는 게 맞다. 

‘중박’ 이상의 흥행 성과를 올리지만 사실 노희경 드라마가 상업적으로 ‘대박’을 터트린 예가 드물기 때문이다. 대신 작품성에 대한 호평은 빼놓지 않고 고스란히 자기 몫으로 챙긴 인물이다. 

신구-나문희-김혜자-고두심-윤여정 등 정상급 원로배우들을 한자리에 모아 에피소드별 주인공을 연기하게 만들고 여기에 톱스타 고현정을 투입, 심지어 조인성을 조연 캐릭터로 캐스팅할 수 있었던 건 노희경에 대한 배우와 제작진의 신뢰가 기반이 됐기에 가능했다. 제작사가 이 쟁쟁한 배우들의 몸값을 감당하고 해외 로케이션까지 병행하느라 들어간 고액의 제작비를 댈 수 있었던 것도 오롯이 노희경의 필력에 대한 신뢰가 있었기 때문이다.



애초 이 드라마는 노년 캐릭터들을 주인공으로 다룬다는 사실만으로 ‘흥행과 거리가 멀다’는 평가를 들을 수밖에 없었다. 특히 트렌디한 드라마가 주를 이룬 tvN 금토 드라마 시간대라 ‘아무리 역발상이라 해도 이번엔 힘들 것’이란 말이 나왔다. 틀린 말은 아니었다. 젊은 스타급 연기자가 주연을 맡아도 흥행이 보장되지 않는 시점에, 아무리 연기력이 좋다 한들 원로배우들의 조합으로 승부를 건다니 아무리 좋게 생각하려 해도 무모해 보였다. 

그러나 뚜껑을 열고 ‘맛’을 본 뒤 생각이 바뀌었다. 드라마의 맛이라면 역시 재미있는 스토리와 매력적인 캐릭터라고 볼 수 있는데, ‘디어 마이 프렌즈’는 이 두 가지 요소를 확실히 갖춘 작품이었다. 노년 캐릭터가 주인공이라고 해서 드라마의 톤이 어두운 것만은 아니었다. 오히려 밝고 유쾌하고 즐거웠으며, 이 유쾌함은 자연스레 삶의 풍파를 두루 거친 이들의 감동적인 스토리와 연결돼 진한 여운을 남겼다. 가슴을 울려 눈물을 흘리게 만들지언정 억지를 쓰며 기계적으로 시청자를 울리려 하지 않았다. 

여기에 고현정과 조인성의 로맨스를 추가해 보는 재미를 배가시켰다. 회차를 거듭할수록 시청률도 올라가 결국 7%에 육박하는 기록을 올렸다. 노희경의 감성이 이번에도 통했다. 소재 선택 역시 영리했고 풀어내는 솜씨는 기가 막혔다. 



원로배우 연기대결에 탄성

중견이나 원로배우들의 극중 롤이 이 정도로 부각된 작품은 근래 찾아보기 힘들었다. 주로 주말극에 대거 투입돼 흔한 아버지나 어머니를 연기하는 경우가 많은데다 대개 이런 작품에서 스포트라이트는 젊은 연기자에게 돌아갈 때가 많다. 그나마 기대했던 김수현 작가의 ‘그래, 그런거야’도 진부하다는 혹평 속에 답보상태를 이어가고 있다. 김수현 작가의 드라마에서 항상 부각됐던 중견 연기자들도 안타깝게 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디어 마이 프렌즈’는 원로배우들의 능력을 최대치로 끌어올려 ‘진한 연기의 참맛’이 어떤 것인지 시청자에게 알려줬다. 한평생 연기만 하고 살았던 명배우들을 극의 중심에 세워두고 제대로 능력 발휘할 기회를 줬으니 불꽃이 튀는 게 당연하다. 



집 안에서는 혼자 할 수 있는 일이 없고 그저 욱하는 성격에 호통만 치는 가장 신구, 그리고 평생 가족만 위하고 희생하다 말년에 이혼서류를 들이미는 나문희의 조합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부모님들의 모습이라 애달프다.

60대 중반의 나이에 학구열을 불태우고 젊은 사람들과 어울리려 애쓰는 윤여정이나, 혼자서 딸을 키우며 자수성가한 고두심의 캐릭터도 설득력 있게 다가온다. 치매에 맞서 희미해지는 정신줄을 붙잡으려 애쓰는 김혜자의 연기도 가슴 아프다. 



주름진 얼굴로 울고 웃으며 지난한 삶을 표현하는 명배우들의 ‘진짜 연기’는 어느 하나 과장된 구석 없이 진실되게 느껴진다. ‘나는 가수다’에 출연한 보컬리스트들의 고음경쟁을 보는 듯 화려하지만 스스로 ‘치고 나갈 때’와 ‘빠질 때’를 알고 수위를 조절하며 연기해 자연스레 조화를 이루고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낸다. 앞으로도 이들을 한자리에 모으거나 이만큼 절절한 캐릭터가 완성되는 과정을 보는 건 쉽지 않을 듯하다. 그래서 16부작 ‘디어 마이 프렌즈’의 짧은 여정이 아쉽다. 

정달해(대중문화칼럼니스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