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소운 Mar 10. 2021

응급실

 밤새 열이 내리지 않아 어머님을 병원 응급실로 모셨다. 여러 가지 검사와 함께 수액 주사를 놓으며 결과는 기다리라고 했다.    

 

 응급실에는 어머님 말고도 서너 환자가 누워 있었다. 또 다른 환자가 이송되어 들어왔다. 나이 든 할머니인데 환자 가운을 보니 인근 요양시설에서 온 것 같았다. 구부려 세운 양 무릎에 몸은 성냥개비처럼 말라 임종을 며칠 앞둔 것처럼 보였다.  

  

 조금 후 친척으로 보이는 아주머니가 들어왔다. 할머니를 몇 번 불러본다. 가냘픈 몸 이곳저곳을 만져보며 안쓰러운 표정이 역력했다. 보호자에게 연락하라는 의료진의 말에 어딘가 전화를 걸고 있었다. 연락이 닿았는지 자리를 비운다.    


 십여 분 지났을까. 출입문이 요란하게 열리며 한 사내가 성큼성큼 들어왔다. 아들인 듯했다. 옷차림으로 미루어 야외 작업 현장에서 불려 온 것 같았다. 대뜸 큰소리를 질렀다.


“아니? 왜 빨리 안 죽고 난리야!”


 내 귀를 의심했다. 어머님이 들었을까 덜컥 겁부터 났지만 치매 환자셨다. 곧바로 가슴속에서 뭔가 치밀어 올라왔다.

‘저 O이 아들 맞아?’    


 양손 허리에 짚은 채 모친을 내려다보며 또 뭐라고 쏘아붙인다. 원무과로 가는 것 같았다.    

 

 저 할머니가 조금 젊었더라면 뭐라고 할까?

“그래, 우리 아들아 미안하다. 내가 왜 이렇게 안 죽겠니?”

 아니면 이렇게?

이놈아! 네를 고 돌아앉아 미역국 먹은 내가 원수다, 원수!”    


 귀향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때였다. 이 희한한 풍경에 어안이 벙벙할 수밖에 없었다. 이질적이고 삭막함을 너머 슬픈 분노를 느꼈다.     


 요즘은 지방이라도 요양 시설이나 병원의 접근성이 좋다. 약제나 의료 서비스의 질이 과거와는 비교불가다. 다 죽어가던 노인도 병원만 가면 멀쩡해서 돌아온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그럼에도 퇴행성 질환은 몇 번의 고비를 맞기도 한다. 병원은 불시에 보호자를 찾는다. 사는 게 팍팍하다면 부모의 의료비용이 부담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도 이건 아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옛집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