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새 열이 내리지 않아 어머님을 병원 응급실로 모셨다. 여러 가지 검사와 함께 수액 주사를 놓으며 결과는 기다리라고 했다.
응급실에는 어머님 말고도 서너 환자가 누워 있었다. 또 다른 환자가 이송되어 들어왔다. 나이 든 할머니인데 환자 가운을 보니 인근 요양시설에서 온 것 같았다. 구부려 세운 양 무릎에 몸은 성냥개비처럼 말라 임종을 며칠 앞둔 것처럼 보였다.
조금 후 친척으로 보이는 아주머니가 들어왔다. 할머니를 몇 번 불러본다. 가냘픈 몸 이곳저곳을 만져보며 안쓰러운 표정이 역력했다. 보호자에게 연락하라는 의료진의 말에 어딘가 전화를 걸고 있었다. 연락이 닿았는지 자리를 비운다.
십여 분 지났을까. 출입문이 요란하게 열리며 한 사내가 성큼성큼 들어왔다. 아들인 듯했다. 옷차림으로 미루어 야외 작업 현장에서 불려 온 것 같았다. 대뜸 큰소리를 질렀다.
“아니? 왜 빨리 안 죽고 난리야!”
내 귀를 의심했다. 어머님이 들었을까 덜컥 겁부터 났지만 치매 환자셨다. 곧바로 가슴속에서 뭔가 치밀어 올라왔다.
‘저 O이 아들 맞아?’
양손 허리에 짚은 채 모친을 내려다보며 또 뭐라고 쏘아붙인다. 원무과로 가는 것 같았다.
저 할머니가 조금 젊었더라면 뭐라고 할까?
“그래, 우리 아들아 미안하다. 내가 왜 이렇게 안 죽겠니?”
아니면 이렇게?
“이놈아! 네를 낳고 돌아앉아 미역국 먹은 내가 원수다, 원수!”
귀향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때였다. 이 희한한 풍경에 어안이 벙벙할 수밖에 없었다. 이질적이고 삭막함을 너머 슬픈 분노를 느꼈다.
요즘은 지방이라도 요양 시설이나 병원의 접근성이 좋다. 약제나 의료 서비스의 질이 과거와는 비교불가다. 다 죽어가던 노인도 병원만 가면 멀쩡해서 돌아온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그럼에도 퇴행성 질환은 몇 번의 고비를 맞기도 한다. 병원은 불시에 보호자를 찾는다. 사는 게 팍팍하다면 부모의 의료비용이 부담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도 이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