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소운 Sep 13. 2021

어머니

큰집 금줄 너머로 울려 퍼진 고고지성은

온전한 제 울음소리가 아니었습니다.

제가 저인 줄 몰랐으니 그렇지 않겠습니까.    


식솔 많던 촌락

곤궁한 보릿고개 시절에

그렇게 건넛방 주인공이 되어 있었습니다.   

 

“아가, 고생했다.. 고추다!”

할머니가 방을 나가신 뒤

고개 돌려 저를 보는 어머님 그 눈빛을

알아채지 못했습니다.   

 

제가 어머님의 속내를 알 수 있었던 때는

갓 스무 살 무렵입니다.

가게에 온 아주머니들과 나누는 대화를 어깨너머로 들었죠.

더 이상 출산 고통을 넘겨주지 않고

사회적 약자로부터 자유롭기를 바라는 마음.

그래서 아들만을 갖고 싶었다 하였습니다.  

  

초등학교 시절

어머님이 물건 하려 부산으로 가시면

제 소임은 둘째 동생을 챙기는 것이었습니다.

남들 눈이 부끄러워

방 안에서 띠를 둘러매고

보채는 동생을 달래고 또 달래었습니다.

겨우 재워놓고 방을 나서면

제 가슴속 한편에 이해하지 못할 불만이 자리하였습니다.

‘왜 우리 집에는 여동생이 없을까?’    


이제는 많은 며느리들이 부르는 시누이

한 사람 정도 있었으면

얼마나 어머님에게 위안이 될까 생각을 해 봅니다.  

  

대학병원의 복도에서

옷을 곱게 차려입은 할머니와

손잡고 있는 여자들을 볼 때가 있습니다.

그 여자가 딸인지 며느리인지

유심히 바라보는 버릇이 생겼습니다.    


병원 현관을 나서며

제가 어머님에게 물어본 적이 있습니다.

“어머니, 우리 형제들 중 누가 딸이었더라면 좋겠어요?”

“아니네, 그래도 아들이 좋은 걸.”

“진짜?”

“그럼..”    


바람에 어머니 머릿결이 날리고

숨겨놓은 파뿌리도 드러나 보였답니다.

먼 산을 보며

제가 어머님 손 꼭 잡던 것을 기억하시겠습니까.

매거진의 이전글 시계탑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