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손으로 머리를 쓸어 넘기며 귀에 대고 말했다. 처음에는 목소리가 또박또박했지만 다음에는 그렇지 못했다. 치매가 중증인 어머님은 날 알아보지 못한 지 꽤 오래됐다. 그나마 눈을 뜨면 내게는 운이 좋은 날이고 사진을 찍어 형제들과 공유하기 바쁘다.
병원에서 치료가 끝난 어머님을 옆 건물 요양원에서 곧 모셔간다 했다. 올해는 오월부터 벌써 다섯 번째 병원 신세다. 폐렴과 신우신염이 주요 증상인데 이번엔 폐렴이었다. 하지만 면역력이 바닥을 드러내는 거의 구순 노인이고 입원일수는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장기 입원에 배겨 날 장사가 어디 있겠는가. 어디를 가나 손에서 휴대폰을 놓치지 않는 게 습관화되었다.
집에 돌아오니 화단 가까운 마당 바닥이 매화, 사과며 석류나무가 떨궈낸 낙엽들로 무성하다. 뒤처리의 수고로움은 내게 베풀어준 벅찬 희열에 비하면 지나치게 부족한 것이다. 빗자루로 쓸 때마다 바스락거리며 코끝에 와닿는 게 있으니 외할아버지 곰방대에 다져진 봉초기억들이다.
나무 가지들마다 누가 더 벗겨졌네 하고 호들갑을 떨어도 태연자약하게 내려다보는 양반이 있으니 동백이다. 날이 추워진 뒤에야 진면목을 드러낸다는 송백처럼. 예전 부모님이 심었던 것인데 이제는 훌쩍 자라 내 키의 두 배가 넘는다.
선운사 동구
-서정주
선운사 골째기로
선운사 동백꽃을 보러 갔더니
동백꽃은 아직 일러 피지 않았고
막걸릿집 여자의 육자배기 가락에
작년 것만 상기도 남었습디다
그것도 목이 쉬어 남었습디다
아버님 2주기를 올 가을에 맞았지만 동백이 나를 그렇게 흔들어 놓지 않았다. 우리 집 동백은 어쩌면 어머님의 꽃이기에 그게 가능했는지 모른다.
어느 날 아버님 서재에서 흑백 사진을 우연히 발견했다. 약관의 부친, 방연 18세 모친의 결혼식 사진이었다. 크기가 14x10이니 요즘 같으면 칠순, 팔순에 사용하는 큰 사이즈 사진과 견줄만할 것이다.
뒤로는 병풍을 둘려 가림막 역할을 하고 있는데, 아랫단은 산수화 그 위에 화조 병풍을 올렸다. 마당에 깐 멍석, 초석을 밟고 서있는 두 분. 두루마기 차림에 흔치 않을 운동화를 신고 또 치마저고리에 특이한 부케가 손에 들려있다. 자세히 들여다보니 잎만 달린 동백나무 가지들이다.
웃음기는 물론이고 화실의 석고상처럼 굳어버린 표정에서 감정을 유추해 보기란 대단히 어려웠다. 그나마 이제 성인이 돼 혼례의식을 치른다는 진중함은 엿보였다. 내가 태동하기 전, 먼 옛날 일상사 중 단 1초의 시간을 도려낸 결혼사진. 몽환적인 이미지에 겹쳐 까닭 모를 서러움이 왜 묻어나는 것일까.
오늘날 부케는 아름다운 또는 의미를 담은 꽃들을 다발로 묶어 신부 손에 쥐어진다. 그러나 부모님 결혼식은 초여름 7월 중순에 치려 졌다. 동백꽃이 다 진 계절이니 잎들만 무성한 것은 의심할 여지는 없다지만, 딴 꽃들도 많은데 왜 굳이 동백이었을까.
가령 7월이면 참나리, 원추리, 접시, 백합, 심지어 무궁화도 핀다. 그럼에도 꽃도 없는 동백 잎 다발을 들고 있다. 사시사철 변함없는 동백 잎처럼 부부의 삶도 늘 그러기를 축원하는 의미가 아닐까.
마당에 나가 동백나무를 쳐다보니 이제 알겠느냐고 묻는 것 같다. 예로부터 양반들은 도화 빛 도는 복숭아나 꽃이 뚝뚝 떨어지는 동백나무를 집에 들이지 않았다. 우리 집 동백은 부모님의 지고지순한 염원이 서려 있기에 오래도록 나랑 같이 할 것이다.
이 시간 요양원에서 말없이 누워계실 어머님.
답답함에 겨운 동백꽃 몽우리들이 살포시 빨간 입술 드러내며 말한다.
‘할머니 우릴 기억해 보세요. 너무나 아름다웠던 그 시절을요.’
얼마 후면 먼데 갔던 동박새마저 돌아와 포롱 포로롱 꽃잎을 넘나들며 목이 쉰 꽃들을 거들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