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희 Oct 29. 2022

우리들의 원고 일지

서로의 마감이 되어주기로 했다

 

내겐 아픈 손가락이 하나 있다. 하면 할수록 어렵고 만나면 만날수록 까다로운 얼굴을 내미는 글쓰기가 그렇다. 매일 쓰고 매 순간 실패하면서도 도무지 놓을 수가 없다. 무 자르듯 잘라버리고 싹 잊으면 될 텐데 ‘이제 그만’이란 다짐이 무색하게 부유하던 문장은 머릿속에 다시 또아리를 튼다.      


첫 번째 독립출판 에세이를 만들 땐 마지막 창작물이란 생각으로 많은 순간을 버텼다. 책과 함께 거북목을 얻었고 알량해서 더 소중한 근육을 잃은 터라 다음 책은 엄두도 내지 않았다. 인쇄 후에 이어진 입고, 홍보, 발송 같은 분주한 과정도 다시 오지 않을 순간이라 여기며 기꺼이 즐겼다. 출간을 마무리하고 나선 책 후기에 설레기도 하고 간간히 입금되는 작고 소중한 정산을 확인하며 오랜만에 허락된 여유를 맘껏 누렸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마음속에 바람이 살랑살랑 불었다. 쓰고 싶은 마음이 슬며시 나를 건드리고 지나갔다.   

   

그 마음에 대답하듯 책 리뷰를 남기기 시작했다. 그렇게 모인 글을 읽을 때마다 리뷰는 핑계일 뿐, 뭐든 써야 풀리는 내 마음이 더 선명해졌다. 책 이야기보다는 나의 사소한 경험과 스쳐가는 생각을 주워 담느라 바빴다. 글 분량도 갈수록 많아져서 업로드 가능한 글자 수를 넘기기 일쑤였다. 퍼낼수록 내 안에 생각이 고였지만 마음먹고 글쓰기를 시작하진 못했다. 글쓰기를 위해 포기해야 했던 기회와 감당해야 하는 인내의 시간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하지만 첫째 낳은 엄마들이 산고를 잊듯 첫 번째 책을 만들면서 힘들었던 시간은 점차 희미해졌다. 이따금 올라오는 독자의 반응은 또 얼마나 달콤한지, 첫 번째 책이 부리는 재롱에 마음을 빼앗겼다.    

  

그사이 눈 내리듯 글이 쌓였지만 내 글을 읽을 때면 뿌듯함만큼이나 부족함도 함께 목도해야 했다. 열망을 따라가지 못하는 조건과 상황, 매 순간 각오와 결심을 요구하는 혼자 쓰기에 지쳐갔다. 내 글을 함께 읽어줄 누군가가 필요했다. 내 글을 분석하고 파헤쳐줄 타인을 기다리는 심정으로 글쓰기 모임을 기웃거렸다. 궁하면 통한다고 했던가. 좋아하는 작가님의 코멘트를 들을 수 있는 글쓰기 과정이 막 열렸다. 때마침 불어닥친 팬데믹 덕분에(?) 각종 온라인 모임이 우후죽순 생기는 중이었다. 주제에 맞춰 한 주에 글 하나씩을 올리고 3-4개의 글이 모이면 내 글에 대한 작가님의 피드백을 들을 수 있는 짧은 과정이었다. 기간이나 글쓰기 분량이 부담되지 않았고 평소 좋아하던 작가님의 편지를 받을 수 있다니 고민할 필요 없이 일단 저지르고 봐야 했다.    

  

그간 써놓은 글을 밑천으로 몇 주의 마감을 마친 뒤 고대하던 작가님의 편지를 받았다. 자라나는 새싹을 어떻게든 보듬어 주려는 작가님의 시선이 느껴지는 글이었다. 그렇다고 막연한 칭찬과 응원만 가득한 피드백도 아니었다. 제법 자기 객관화가 된(그렇게 믿고 싶은) 내가 보기에도 조언과 격려의 균형이 어우러진 답장이었다. 내 글에 대한 당장의 해법을 받고 싶다는 생각은 애초에 없었다. 그런 해법은 내가 찾아 헤매야 하는 내 몫의 과제이기 때문이다. 다만 나는 작가님의 답장을 통해 확인하고 싶었다.


‘과연 나는 계속 써도 되는 사람인가.’


던지지 않은 질문이라 작가님의 답을 들을 수는 없었다. 그러나 그 편지에는 계속 써도 된다는 지지의 목소리가 흥건했다. ‘한 권의 책으로 묶을 주제를 잡아 글을 모으라’는 작가님의 조언이 그랬고 편지 속에서 마주한 나 자신으로부터 흘러나온 목소리가 그랬다.      


고민 중이라고 떠들고 다녔지만 난 여전히 쓰고 싶었다. 굳이? 네가?라는 질문에 “응 쓸 거야. 잔말 마.”라고 대답할 용기는 없지만 그때마다 머릿속에 떠올릴 지지의 문장 하나쯤은 필요했던 거다. 나만 아는 비밀처럼 그 문장에 기대 슬쩍 웃어버리는 여유를 기다렸다. 작가님의 답장은 나에게 그 문장이 되어 주었다. 옳다구나, 싶었다. 머뭇거릴 때마다 등 떠밀어줄 문장이 생겼다. 당분간 쓰는 나로 살아가기에 충분한 힘을 주는 문장이었다.      


하지만 글쓰기는 호락호락하지 않아서 작가님이 말씀하신 큰 주제와 가닥이 좀처럼 잡히지 않았다. 첫 번째 책은 ‘이사’와 관련된 경험과 변화를 담은 책이었는데 어제가 오늘 같은 지금의 상황에선 큰 줄기는커녕 작은 가지 하나 잡히지 않았다. 이따금 두 번째 책에 대해 남편이 관심을 보이면 ‘몰라, 쓸 거 없어’ 라며 답답함을 담아 퉁명스러운 답을 했다. “그럼 또 이사 가야 되는 거야?”라는 남편의 농담에 웃어넘겼지만 해결되지 않은 숙제를 끌어안은 기분이 되고 말았다.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라거나 소재가 중요한 게 아니라 그걸 다루는 방식이 중요하다는 말도 정도가 있지, 이렇게나 무덤덤한 매일에서 큰 주제가 다 무어란 말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 열망은 작가님 문장을 움켜쥔 채 더듬이를 꾸준히 세웠고 발화점에 도달하자 작은 씨앗 하나를 남기며 드글드글 끓어올랐다. 그간 꾸준히 두드렸던 새로운 시도와 작은 시작이 떠오른 것이다. 소소하지만 잠시도 쉬지 않았던 나의 무모함을 모아보니 하나의 주제가 잡혔다. 이제는 쓰는 일만 남았다. 희미한 방향 따라 그쪽으로 가면 되었다. 가다가 길을 잃더라도 그 길마저 소재가 될 테니까. 빵부스러기를 따라 길을 찾던 헨젤과 그레텔처럼 내 앞의 한 발을 따라 시작을 주워 담았다.   

   

그렇게 책 한 권 분량이 뚝딱 모였다... 면 얼마나 좋겠는가. 글쓰기란 아픈 손가락은 좀처럼 아물지 않았고 나를 자주 멈추게 했다. 우직하게, 꾸준하게, 기다려주는 이 없는 마감을 지킨다는 건 무척이나 낯간지러운 일이기 때문이다. 내가 뭐라고, 무슨 계약이라도 한 거야? 먹고살기 힘들다는 요즘 같은 때에 이렇게나 비효율적인 일에 매달린다고? 글 쓰려고 카페 출근? 솔직히 커피 마시고 싶어서 그런 거 아니고? 나의 능력과 정체성을 스스로 의심하게 만드는 질문이 꼬리를 물었다.      


마땅한 대답을 찾아 헤매다가 오랜 글벗의 연락을 받았다. 벌써 두 번째 책 출간이라니, 샘나는 마음 하나 없이 깨끗한 축하를 보낼 수 있는 몇 안 되는 벗이었다. 우리는 당장 만났다. 분야는 다르지만 쓰는 사람이란 공통점은 쉴 새 없는 공감과 깊은 탄식을 불러왔다. 그 교감 때문이었을까? 생각지 못했던 한마디가 불쑥 튀어나왔다.   

   

“작가님, 우리 원고 일지 나눌까요?”   

  

글벗 작가님께도 써야 할 세 번째 동화와 쓰고 싶은 소설이 있었지만 역시나 진도가 더딘 상태였다. 고민할 필요가 없었다. 우리는 기다렸다는 듯 서로의 마감이 되어주기로 했다. 목표는 매일 쓰기. 합평이나 만남 없이 일주일에 한 번 SNS에 한 주의 계획을 일지로 남기고 일주일 후 그것이 지켜졌는지 서로 확인해보기로 했다. 매주 월요일 밤 12시를 마감으로 잡았다. 지난 한 주를 조용히 돌아보며 실패를 인식하고 새로운 시작을 다짐하기에 좋은 시간이었다.      


그렇게 우리는 서로에게 최소한의 강제가 되어주었다. 처음부터 세세한 규칙을 정하진 않았다. 느슨하지만 길게 이어진 우리 인연만큼이나 서로에게 심리적 공간을 허용하고 싶었다. 업무로 얽힌 빡빡한 사이는 피하되 불필요한 수다나 넋두리는 삼가는 게 좋겠다고 생각했지만 글벗에게 꺼내어 말하진 않았다. 그럼에도 우린 미리 약속된 것처럼 그 시간만큼은 촉촉한 우리 사이를 접어둔다. 건조한 스텐스를 유지하며 한 주간의 목표와 실행 정도를 보고하고 서로의 일지를 읽는다. 일상을 나누는 대화는 최대한 자제하고 서로의 쓰는 시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짐짓 예의를 갖추는 것이다. 각자의 작업을 공유한 뒤엔 풀리지 않는 마음의 옹이도 슬쩍 내놓는다. 찰나 같은 나눔이지만 네 마음이 내 마음이니 금방 알아챈다. 누군가에게 일러바치듯 스스로 평가하고 다가온 7일의 각오를 함께 다진다. 못 썼다고 뭐라 하는 사람도 없고 얼마나 썼는지 확인하는 사람도 없지만 한 주 내내 은근한 긴장 위를 걷는다.  


한 주에 하나씩 생각 부스러기가 모인다. 원고 일지가 아니었다면 산산이 부서져 허공 속에 날아가는 먼지가 되었을지 모른다. 끝이 안 보이는 퇴고가 남아있지만 그렇게 모은 초고는 긁지 않은 복권만큼이나 설레게 한다. 책을 만드는 과정은 허허벌판에 집을 짓는 것 같다는 생각을 자주 한다. 우리의 원고 일지는 막막한 그 과정을 함께 해 나갈 든든한 목수가 되어줄 것이다. 일지 위에 적어간 우리의 계획과 다짐은 꿋꿋한 초석이 되고 우리의 문장은 뜨겁게 구워낸 벽돌처럼 단단하게 빚어질 것이다, 같은 마음으로 기다려주는 글벗의 존재란 얼마나 소중한지. 넉넉히 품어주는 서로의 거처에서 마음껏 쉬다 가면 그 또한 좋지 아니한가.        



작가의 이전글 사랑보다 연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