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글밭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세중 Mar 07. 2023

챗GPT에 대한 좋은 글

합리적인 행동

"......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우선 침착함과 냉철함이 중요하다. 생성형AI는 이미 막을 수도, 피할 수도 없다. 피할 수 없으면 가장 먼저 사용해 보고 남들보다 먼저 가장 효율적인 활용 방법을 찾는 게 중요하다. 챗GPT 때문에 작가와 기자와 변호사는 사라지지 않는다. 단, 그런 기술을 잘 사용하는 변호사, 기자, 그리고 작가들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같은 직군 직업인들이 사라질 수는 있겠다.


두 번째는 질문의 중요성이다. 챗GPT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은 인류가 만들어낸 대부분의 지식을 하나의 거대한 확률적 지도로 가지고 있다고 생각해볼 수 있겠다. 우리가 원하는 답은 어딘가 있지만, 원하는 답을 얻기 위해서는 끝없는 질문과 검증이 필요하다. 새로운 지적 결과물을 대량 생산하는 것이 생성형AI의 핵심이라면, 새로운 질문을 통해 기계를 유도하고, 기계의 결과물을 검증하는 것은 여전히 인간의 몫이다."


오늘 신문기사를 뒤적이다가 챗GPT에 대한 좋은 글을 읽었다. 카이스트 김대식 교수의 "막을 수도, 피할 수도 없는 ‘생성형 AI 시대’"라는 제목의 글이었는데 최근 한 달여 동안 쏟아져 나온 챗GPT에 대한 글 가운데 이보다 더 와 닿는 글은 없었다. 더구나 어제는 어떤 지인 교수들이 챗GPT에 대해 냉소적인 이야기를 하는 걸 듣고서 좀 우울하던 차였다. 한 교수가 말했다. "엥? 챗GPT에는 우김 기능까지 있네." 했던 것이다. 챗GPT가 완전하지 못해 엉터리를 말하고도 맞다고 우긴 것을 가리켜 그렇게 말한 것이었다. 코끼리의 한 부위를 만져보고 코끼리를 다 안다고 말해선 안 될 것이다.


김 교수의 글 중에서 몇 군데가 특히 인상적이었다. 그는 침착함과 냉정함이 중요하다고 했다. 왜 그렇게 말했을까. 잘 모르겠다. 하지만 공감이 간다. 챗GPT에 대해 세상이 난리법석인 가운데 침착과 냉정을 잃지 말아야 한다고 말한 속뜻이 짐작이 된다. 너무 들떠서도 안 되겠고 너무 무시해서도 안 되겠다는 뜻 아닐까 싶다.


'가장 효율적인 활용 방법을 찾는 게 중요하다'고도 했다. 그렇다. 챗GPT는 사람에게 뭘 해줄지 모른다. 내가 몰랐던 간단한 지식을 알려줄 수도 있지만 어떤 주제에 대해 글을 써 줄 수도 있다. 말하자면 무궁무진하다. 그러니 효율적인 활용 방법을 찾는 게 어찌 중요하지 않을까. 문제는 효율적인 활용 방법을 어떻게 찾느냐이다. 그것마저 챗GPT에게 물으면 알려줄까. 아닐 것이다. 그건 사람이 찾아야 할 것이다.


이것과 관련해 김 교수가 사용한 또 다른 단어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검증이다. 검증은 챗GPT가 해주지 못한다. 사람이 해야 한다. 챗GPT는 전지전능하지 않다. 엄청나게 유능한 듯이 보이지만 치명적인 실수를 하기도 한다. 곧이곧대로 믿어서는 안 된다. 그러니 검증을 해야 한다. 검증을 어떻게 해야 하나. 딱히 방법이 없다고 본다. 의심을 하면서 챗GPT가 내놓는 답을 쓰는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제 챗GPT는 시작이다. 다른 많은 AI가 쏟아져 나올 것이다. 김 교수 글의 마지막 문단에서 흥미로운 비유가 있었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말을 타던 시대가 끝나가고 자동차의 등장을 더 이상 막을 수 없다면, 우선 운전면허증을 따는 게 가장 합리적인 행동이겠다.


그렇다. 자동차가 나왔으면 자동차를 이용할 준비를 해야 한다. 그것은 운전면허증을 따는 것이다. 챗GPT에 있어서 면허증이란 무엇일까. 다른 게 아니고  써보는 것이다. 써보는 가운데 내게 필요한 좋은 활용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챗GPT가 말도 알아듣는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