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글밭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세중 Jun 16. 2023

등교길과 등굣길

'무도한' 맞춤법

같은 연합뉴스인데 6월 16일 기사에서는 등교길, 6월 13일 기사에서는 등굣길이라 했다. 국어사전을 찾으면 등굣길만 있고 등교길은 없는데 연합뉴스가 6월 16일 기사에서 등교길로 쓴 것은 실수일까, 의도적일까. 궁금하다. 궁금함을 풀지 못해 아쉽지만...


등교길이라 제목을 뽑은 기자는 국어사전에 등굣길로 돼 있음을 알았을까, 몰랐을까. 알고도 등교길로 썼다면 국어사전을 따르지 않은 용기에 갈채를 보내고 싶고 모르고 그렇게 썼다면 그건 그것대로 잘한 일이지 탓할 일이 아니라 본다. 


표준어 규정이라는 게 있다.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말이 표준어라고 원칙을 삼고 있다. 한글 맞춤법에는 이와 비슷한 말이 없다. 그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게'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고만 돼 있다. 이 어법이 문제다. 뭐가 어법인가. 


필자는 비록 한글 맞춤법에 어법에 대해 명시적 정의가 나와 있지 않지만 이 어법에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이라는 의미가 깔려 있다고 생각한다. 표준어 규정에서처럼 말이다. 어법은 하늘에서 떨어진 게 아니다. 사람들이 두루 쓰니까 어법이 된다. '시물' 하지 않고 '시물'이라 적는 것은 한글 맞춤법 제40항(합성어를 이루는 뒷말이 된소리로 소리나면 사이시옷을 받쳐 적는다)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시물'이라 적는 게 자연스럽고 '시물'이라 적는 것에 사람들이 거부감을 느끼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빛'이라 적지 않고 '빛'이라 적는 게 자연스럽듯이.


똑같은 논리로 등교길이 사람들에게 익숙한 표기이고 등굣길이 사람들에게 거슬리는 표기라면 등교길이 어법에 맞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그런데 우리의 국어사전은 그렇게 보지 않는다. 한글 맞춤법 제40항이 곧 어법이라고 간주한다. 그래서 국어사전 표제어로 등교길이 없고 등굣길만 있다. 등교길은 틀렸고 등굣길이 맞다는 것이다.


맞춤법이 먼저 있고 말이 그 뒤에 있는 게 아니다. 말에 따라 맞춤법을 정했을 뿐이다. 그런데 지금 맞춤법은 사람들이 쓰는 말을 왜곡했다. 햇빛이든 등굣길이든 다 사이시옷을 붙여야 한다고 돼 있다. 그걸 국어사전이 충실히 따르고 있다. 그 결과 갯과, 솟과, 참나뭇과, 은행나뭇과 같은 말이 당당히 국어사전에 올라 있다. 정작 그 말을 주로 사용하는 생물학계에서는 단단히 이를 외면하고 개과, 소과, 참나무과, 은행나무과라고 하고 있는데 말이다. 해당 분야에서 한결같이 개과소과참나무과은행나무과라고 하는데 국어사전만 독야청청 갯과솟과참나뭇과은행나뭇과 하고 있으니 코미디와 다를 게 없다. 30년 넘게 이런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연합뉴스가 등교길로 쓴 것은 신선하다. 맞춤법이 언중의 습관에 맞추어야 하나. 언중이 맞춤법에 맞추어 말을 해야 하나. 말이 있고 맞춤법이 있지 맞춤법이 있고 말이 있지 않다. 얼마 전 한 신문사 교열부장이 그 신문에 쓴 칼럼에서 과도한 사이시옷 적용에 대해 '무도한 맞춤법'이라고 한 말이 떠오른다.  어문규범을 준수하는 데 가장 앞장서는 전문가의 입에서까지 맞춤법이 무도하다는 말이 나왔다. 우리 맞춤법이 그런 실정에 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