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볕이드는창가 Sep 05. 2020

공격포인트는 다른 곳에

지역전문가 면접, 그 날

우여곡절 끝에 지원서를 낸 후, 1차 합격자 발표는 생각보다 빨리 났다. 이후 전해 듣기로는 지원자의 약 절반 정도가 남았다고 한다. 하지만 진정한 복병은 바로 며칠 후 봐야 하는 면접이었다. 지원서를 바탕으로 면접관 분들 앞에서 말로만 때우는 면접이라면 차라리 낫겠지만, 이 면접은 달랐다. 지역전문가 지원 동기, 그리고 그 면접 때 면접관 분들께 보여주기 위한 PPT 작성도 필요했다. 시간이 없었다. 하지만 입사 때부터 꿈꿔 왔던 목표를 이룰 수 있는 기회를 무조건 잡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자 여느 때보다 훨씬 동기부여가 되었다.



면접 통보를 받고 가장 먼저 한 일은, 면접 경험이 있는 분들의 경험담을 듣는 것이었다. 면접 진행 방식, 면접장의 분위기, 오고 갔던 질문들, 그에 대한 대답 등 경험담은 많이 들으면 들을수록 좋다고 생각했다. 개중에는 본인의 능력 때문이 아니라 거시적인 이유로 면접에서 탈락했던 분도 계셨는데, 좀 죄송하기는 했지만 그분에게도 많은 것들을 물어보았다. 사실 지원서 작성 때부터 이 분이 나를 제일 많이 도와주셨는데 결국은 회사에서 다른 좋은 기회를 잡았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뿌린 대로 거둔다(善有善报)"는 말이 딱 맞는 듯하다.


두 번째로 한 일은, 내가 파견되고자 하는 지역인 중국에 대해서 심도 있게 분석한 책을 속독하는 것이었다. 대학교를 다닐 때의 전공은 중어중문학이었고, 교환학생 경험도 있고, 한 때는 국제대학원에서 중국학을 전공하고 싶다는 꿈도 키웠던 나지만, 회사를 다니기 시작하면서 중국은 내게 그저 '거래선이 위치한 나라', '내가 말을 알아들을 수 있는 나라'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다. 거래선에 치일 때는 중국이, 또 나의 전공이 원망스러울 때도 적지 않았고, 중국의 트렌드를 읽고 공부를 해보려고 해도 몸과 마음의 여유가 없었다. 그런데 면접 준비 과정에서 왜 중국에 가야 하는지를 적어보려고 하니 중국의 '지금'을 몰라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선 키워드 중심으로 속독을 진행했다.


세 번째로, 면접에서 사용할 PPT 얼개를 짜고 내용을 작성하였다. PPT의 양식은 정해져 있지 않았지만, 면접 공고에 어떤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는지는 간략하게 나와 있었다. 우선 이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을 빈 종이에 적어두고, 어떤 내용을 어떤 방식으로 풀어나갈지 브레인스토밍 해 보았다. 그리고 PPT 장표에 내용을 적어내려 갔다. 최종적으로 6장의 장표에 아래 내용이 담겼다.


회사에서 꼭 포함시켜야 한다고 했던 필수 내용에 살을 붙여 짰던 얼개


마지막으로 예상 질문 목록을 만들고 어떤 식으로 답변할지 간단히 적어보았다. 사실 면접 준비 과정 중 이 부분에 가장 공을 많이 들였다. 준비해 간 PPT의 내용도 중요하겠지만, 아무래도 면접관 분들도 사람인지라 현장에서 나오는 돌발 질문에 어떻게 대처하는지도 중요하게 생각하실 것이라는 판단에서였다.


당시 예상했던 질문들은 아래와 같다.


지역전문가 파견을 나가기엔 너무 이른 것 같지 않나?

중국에서 문화충격을 받았거나 중화지역에서 Business할 때 실수했던 경험은?

중화지역 영업담당으로서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

'중국통'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중국어 전공에 급수도 높고 중화 영업도 이미 하고 있는데 꼭 지역전문가 파견이 되어야 하는가?

현업에서 지금 빠지게 될 경우 부서에 타격은 없는가?

현지에 가게 되면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가?

앞으로의 회사 생활에서 현지 경험이 꼭 필요한가?




대망의 면접날이 다가왔다. 팀장/그룹장으로 구성된 면접관들 앞에서 파견 나가고 싶은 나의 마음을 최대한 진실하게 표현해야 했다. 우선 준비한 PPT를 바탕으로 지원 동기 및 파견 후 계획 등을 어필했다. 특히 마지막 페이지에는 입사 자기소개서에 있던 문구 한 단락을 인용하여 지역전문가 과정을 입사 지원할 무렵부터 꿈꿔왔음을 설명했다. 지원자 중 입사지원서를 가지고 이야기한 사람은 없었던 모양인지 이 부분에서 면접관 분들의 눈이 빛났던 것 같다.


다음 단계는 질의응답 시간. 당시 시사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었던 미중 무역분쟁(中美贸易战)에 대한 질문이 가장 먼저 들어왔다. 중국이 국제사회에서 현재 처한 상황에 대해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는지를 묻고 싶으셨던 것 같다. 거시적인 주제로 질문이 들어왔을 때 전문적이고 정확한 답을 하기가 어렵다면 개인적인 경험을 통해 출발해 답을 찾는 것이 좋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당시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해 내 거래선들이 보인 변화의 양상을 중심으로 현황을 설명하고, 결말이 어떨지 간단한 추측을 덧붙였다. 물론 많은 면접들이 그러하듯 답이 맞는지 틀린지는 사실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어차피 면접 당시 질문을 던지신 그분도 이 무역분쟁의 결말은 예측할 수 없는 일이었을 테니.


다소 긴장됐지만 대체로 예상했던 범위 내의 질문이 오갔기 때문에 최대한 겸손한 자세로 마음을 담아 답변하는 데 집중했다. 하지만 진짜 복병은 다른 곳에 있었다. 영업팀 보스들의 질문이 다 끝나고 난 뒤 인사팀의 질문이 시작되자 지금까지와는 다른 범주의 질문이 나오기 시작했다. 그건 바로 결혼 및 가족과 이 프로그램을 연관지은 질문이었다.


지역전문가 지원에 대해 가족과 상의는 되었나?
배우자는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나?
지역전문가는 1년이지만 주재원을 나가게 되면 4~5년인데, 그런 것까지 다 준비가 되어 있나?
배우자는 그렇다 치고, 시댁도 동의하나?


지난 글에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지역전문가라는 이 프로그램은 회사에서 직원을 믿고 1년간 해외 각지에서 생활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다. 혹자는 이를 두고 '방학'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그만큼 현업에서는 완전히 벗어나서 현지 생활을 할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에 많은 직원들이 그 기회를 잡고 싶어 한다. 다만 모든 일에는 양면성이 있듯 이 제도도 한 가지 단점이 있다. 그건 바로 '가족을 만날 수 없다'는 것이다. 현지에 있는 시간 동안 더 집중해서 알차게 생활하게끔 하기 위해 가족의 방문은 제한되어 있다. 또 당사자도 피치 못할 사정을 제외하고는 자유롭게 한국으로 돌아갈 수 없다. 본인은 자유로워진다고 볼 수도 있지만 가족의 입장에서는 생이별을 하는 것이나 다를 바가 없다. 따라서 회사 입장에서는 지역전문가를 선발할 때 기혼자보다는 미혼자를 선발하는 것이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이 된다. 그렇기에 기혼자인 내가 지역전문가에 지원하는 순간 이러한 공격포인트를 몸에 달고 전장에 나서게 되는 것이다.


물론 지원서를 쓰기 전부터 이 부분에 대해서는 가족과 상의를 해왔다. 아빠는 늘 내 편이기에 두 손 들고 찬성이었고, 남편도 내가 얼마나 이 기회를 잡고 싶어 하는지 잘 알았기에 군말 없이 동의했다(내가 파견된 후 그가 겪었던 외로움은 논외로 하고). 시댁 입장에서는 아들을 혼자 한국에 남기고 중국으로 떠나겠다는 며느리의 결정이 독단적이라고 생각되었을 법도 하지만 시부모님 두 분 다 인자하고 좋은 분들이셨기에 동의해주심은 물론이고 혼자 잘 생활할 수 있을지를 도리어 걱정해주셨다. 그렇기에 결혼이나 가족에 대해 질문을 받더라도 나는 충분히 인사팀을 설득할 자신이 있었다.


다만, '지역전문가는 1년 이별이지만 주재원이 되면 4~5년인데'라는 이야기는 다소 씁쓸했다. 질문의 의도는 뻔했다. '당신도 남편도 둘 다 직장이 있는데, 당신이 주재원으로 파견 나가게 되어도 남편이 직장을 그만두지는 못할 것이고, 그러면 단신 부임으로 4~5년 동안 가족과 떨어져서 지내야 할 수도 있는데 준비가 되어 있는가?'라는 질문이었다. 마침 그즈음 아이 둘을 데리고 단신 부임으로 주재를 나가신 여자 차장님 얘기도 들렸고, 여성 직원이 주재원이 되려면 차라리 부양가족이 없는 경우에 더 가점이 있다는 '썰'도 있었다. 지역전문가 면접에 주재원 얘기는 왜 물어보지? 내가 '남성' 지원자라면 이러한 질문은  나오지 않았을까? 질문에 대한 답변은 회사가 원하는 방향으로 잘했지만, 면접장을 나오면서 이런 씁쓸한 생각은 마음속에 계속 머물렀다.


어찌 됐든, 주사위는 던져졌다. 진인사대천명(人事而待天明)! 초조하게 결과를 기다리는 하루하루가 시작되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다시없을 1년의 기록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