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넘어져도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실패 #실수 #재도전 #집요함 #근성

실수해도 괜찮아실패해도 괜찮아~


 

거긴 위험해여기이쪽으로 와서 놀아~”


거 봐그럴 줄 알았지… 내가 뭐랬어?”

 

 

 

부모의 지나친 관심과 개입으로 아이의 자발성을 죽이는 순간들… 이번에도 또 저지르고 나서야 다시 한 번 반성합니다.

 

특히 안전에 관해서만큼은 지나칠 정도의 저의 민감증 때문에 민 군이 아주 어려서부터 이것저것 못하게 하는 게 많았거든요.

 

이 안 돼라는 말이 아이에게 어떤 일에도 스스럼없이 도전하게끔 하는 마음을 자라기 어렵게 만드는 게 아닐까 언젠가부터 걱정이 되기 시작했죠.

 

유럽 여행 중 지켜야 할 규칙 중 하나로 안 돼라는 말을 금지한 것도 그런 이유였죠역시 잘 지켜지지는 않았지만






실수란 인간적인 것이다어떤 것도 시도하지 않기에 실수를 하지 않는 사람도 있다.”


-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1832), 독일의 작가, 철학자, 과학자

 


 


아빠가 뽑아 주는 이. 웃는 건가 우는 건가? ㅎㅎ





페니실린엑스선나일론전자렌지… 놀라운 과학적 발견이나 발명 중에는 원래 의도와는 달리 우연한 실수나 시행착오 끝에 이뤄진 것이 적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 부모들은 아이가 다칠까봐또 아이를 아낀다는 이유로 과보호하고 시행착오를 줄여주려고 합니다.

 

엄마가 이미 다 해 봤어.’

그렇게 하면 안 돼~ 이렇게 해야 해!’

 

그런데언제까지 이렇게 다 해 줄 수 있을까요매번 실수 없이실패 없이 이뤄내고 성공하는 길을 영원히 곁에 머물며 도와줄 수는 없잖아요?



어떤 도전이든 매번 성공하고이뤄낼 수 있는 방법을 부모가 하나하나 가이드 해 줄 수는 없습니다.

 

당분간은 그게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아이는 스스로 세상을 헤쳐나갈 힘을 기르지 못하고 누군가 해 주지 않으면 안 되는 수동적 존재가 될 거에요.

 

되도록 스스로 터득하게 해야 합니다실수가 당연한 거고실패해도 괜찮은 거고 아무렇지 않게 털고 일어나 다시 해 보면 된다는 걸 알게 해야 합니다.

 

실수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아이들은 새로운 일을 시작하는 것이 두려워 시도조차 하지 않게 됩니다.

 

매번 똑같은 일상에서 같은 것만 반복하는 생활에 젖게 됩니다틀에 박힌 생각을 하게 되고그 너머 새로운 게 있으리라는 생각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매너리즘에 빠진 멋진 작업보다는 창의적인 실수가 더 낫다.”


- 필립 스탁(Philippe Starck, 1949), 프랑스의 제품 디자이너

 



내 아이 꽃길만 걷게 하고 싶은 마음에 하나하나 도와주고그걸 넘어 간섭하고관여하는 건 창의성을 죽이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실수하지 않게끔실패하지 않게끔 도와 주기보다는 실수와 실패 속에서 스스로 깨닫고배울 수 있도록 하고,

 

되도록 혼자 할 수 있도록 믿고 맡겨두고 곁에서 관찰하며 격려하고 응원하고 피드백을 주는 정도로도 충분합니다.

 




 

강원도 여행 중 워터파크에서 닥터피시와 노는 민 군.

 





특정 분야에서 영재성을 보이는 아이들을 보더라도 뭔가 재미 있어서 해 보다가 잘 안 되면 처음부터 다시또 다시… 이렇게 끈질기게 붙어서 해내고야 마는 집요함을 많이 보인다고 하죠.

 

타고난 재능이 있다 하더라도 실패를 딛고 다시 도전하고끝까지 해내고야 마는 근성이 더 중요한 것입니다.

 

종이접기만 하더라도초반에는 쉽게 잘 되다가도 중후반부 어딘가는 꼭 한 군데라도 막히는 고비가 있잖아요애초부터 근성이 있는 성정이라면 좋겠지만쉽게 포기하는 아이라면 부모가 도움을 줄 수 있으면 좋습니다말처럼 쉽지 않죠.


 

부모부터 모범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테면작은 일 하나를 하더라도 실패했을 때 짜증을 부리고좌절감을 표현하기보다 대수롭지 않은 듯 다시 시도해 보는 모습을 보이는 것.

 

저만 하더라도 부품을 직접 조립해야 하는 DIY 가구 같은 것을 만들 때 저도 모르게 이걸 어떻게 하란 거야에이설명서 잘 좀 해 놓지…” 하고 불만을 내뱉어 버리는 경우가 많거든요아이가 그걸 다 보고 배우는 거죠.

 

이럴 때일수록 엄마아빠가 어라별 것도 아닌 게 승부욕에 불을 지르네~?’ 하면서 마치 재미있는 게임 하듯 유쾌하게 팔 소매를 걷어 부치고 끝까지 즐겁게 해결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그리고 결국에는 해냈다!’ 하는 성취감에 아이처럼 신이 나서 즐거워하는 모습도 보여주고요.

 

그렇게 어떤 일을 대하는 데 있어서 다소 어려움이 있더라도 과정 자체를 즐기는 모습또 성취에 기뻐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아이에게도 모범이 된다는 거지요.






늘 하던 대로의 편한 길이 아니라 조금은 낯설고 어려워도 새로운 무언가를 끊임 없이 시도하게끔 하기.

 

내 앞의 경계를 허물고 가능성을 넓혀 익숙함과 낯섦 사이에서 균형을 잡고 모험하도록 하기.

 

그리고처음 가는 길에서 실패나 실수는 당연한 과정일 뿐 그 실패를 통해 배울 수 있다면 그것으로 좋은 일임을 알게 하기.

 

어쩌면 이런 정도가 우리 아이들이 창의적으로 자라나기 위해 배워야 할 전부인지도 모릅니다.

 

 



수영 마스터 클래스 레벨 합격. 민 군 초등학교 2학년 때.


이전 28화 당신은 어떤 부모입니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