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진솔 Aug 24. 2020

[나의 방] by.자나

몇 년전부터 미니멀리즘이 라이프스타일로 화두가 되고 있다. 꼭 필요한 것만, 최소한으로 소비하고 소유하는 생활방식으로 물건들을 비울수록 내면은 채워진다는 말들과 함께 새로운 라이프 트렌드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나는 이런 트렌드와 맞지않는 일명, '맥시멀리스트'이다. 미니멀리스트가 되려는 노력? 수도없이 해봤다. 물건들을 버리고 정리하고 나눔하고... 그럼에도 내 방은 언제나 물건들로 꽉꽉 채워져 있다.

아주 어릴때부터 나는 무엇인가에 꽂혀 모으고, 또 모았다. 좋아했던 아이돌의 cd, 굿즈는 아직도 서랍안에 모셔져 있고
가장 좋아하는 초록색의 필기구, 스티커 등은 경제력이 따라주는 만큼 보이는 족족 사서 모았다.

대학에 와서는 화장품을 사모았고, 화장을 하지않기로 다짐한 일년 전부터는 화장품을 사모으던 돈으로 노트와 메모지를 사모으고 있다. 이런 내 모습을 보며 지금은 연이 끊긴 친구는 애정결핍에서 비롯된 맥시멀리스트 같다고 이야기했다. 공허한 마음을 채우기위해 무언가 사모으는 것을 멈추지 못하는 사람같다고 말이다.

애정결핍이라는 말을 들었을 때 나는 물음표를 여러개 띄웠다. '나는 모부로부터 주체할 수 없는 애정을 받아 힘든 사람이고 그 누구의 애정도 갈구하지 않는다. 나는 사람들이 싫고 그냥 제발 혼자 내버려뒀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들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말, 어쩌면 그친구의 말이 맞을지도 모른다. 나는 필요이상의 많은 물건에 욕심을 부리고 주체할 수도 없는 것들을 자꾸 사서 모은다. 사람들과의 지속적인 관계에서 오는 소모적 공허함과 달리 물건들을 살 때는 행복해지고 그것들을 가지고 있으면 풍족한 기분이 든다.  크고 대단한 것들이 아니라 작고 소소하고 쓸데없는 것이라 내가 더 쉽게 사서 모으는 것일지도 모른다. 큰 것 한 개를 사서 잠깐의 기분좋음을 만끽하기보다 작은것을 여러개 사서 행복을 분산시키려는 시도를 하는 것일지도.

애정을 아무리 많이 받아도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받지 않는다면 채워지지않은 외로움이 있는 것, 아니 어쩌면 내가 원하는 방식으로 애정을 받아도 늘 채워지지 않는 외로움이 있을 것이다. 나는 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온정을 물건으로부터 느끼는 것이다. 그게 내가 절대로 미니멀리스트가 될 수 없는 이유가 아닐까?

매거진의 이전글 [나의 방] 퇴사 후 버킷리스트를 실천해본 적 있나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