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해야 하는 이유
우리가 영화를 좋아하는 이유는 뭘까? 가장 큰 이유는 영화를 보는 동안 보는 것과 내용을 사실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영화는 허구지만 뇌가 사실로 인식하기에 몰입할 수 있다. 공포영화를 보며 중간중간 "이건 영화지 사실이 아니야"라고 생각하지만 잠시일 뿐 공포 상황에 자연스럽게 빠져든다. 또는 화려한 액션 신을 보며 주인공과 같이 현실에서 직접 느끼는 것과 같은 감정과 신체 자극을 체험할 수 있다. 현실에서 쉽게 체험할 수 없는 다양한 감정과 신체 자극을 손쉽게 체험할 수 있기에 영화의 인기가 쉽게 사그러 들지 않는다. 오감을 자극하여 현실과 똑같이 느낄 수 있는 4D 입체영화가 인기가 있는 것은 더욱 사실감을 극대화해주기 때문이다.
우리 뇌는 왜 감각자극에 쉽게 빠져들어 상상과 현실을 동일하게 받아들이게 됐을까? 그것은 생존을 위한 진화의 결과이다. 원시시대는 생존을 위해 감각을 빠르게 느끼고 재빠르게 행동하는 것이 중요했다. 사자와 맞닥뜨렸을 때 본능적인 신체 변화와 행동이 없다면 잡아먹힐 확률이 높았을 것이다. 다급한 위험상황에서 생존을 위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무엇일까 생각하고 결정했다면 지금까지 인류는 생존하지 못했을 것이다. 오랜 시간 동안 진화를 통해 위험상황을 즉각 느끼고 반응하는 메커니즘이 오늘날까지 신체의 중요한 기능으로 발달하게 되었다. 지금은 사자와 같은 위협은 없어졌지만 대신 실업, 대출이자, 시험, 상사의 스트레스 등 다양한 생존 위협으로 전환되어 이 기능이 퇴화되지 않았다.
위에 정면을 겨누고 있는 권총을 바라보자 우리는 실제 상황이 아닌 사진으로 인지하지만 거부감과 불편함이 함께 느껴진다. 이것은 공포와 두려움을 감지하는 편도체가 활성화되었기 때문이다. 이렇듯 우리 뇌는 실제와 가상에 구분 없이 자극에 반응한다. 또는 예전에 불쾌했던 일을 떠올려 보자 불쾌감이라는 감정을 느끼기 위해서는 불쾌감의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민산이나 글라이신이 분비돼야 느낄 수 있다. 우리 뇌는 불쾌했던 상황을 떠 올리는 것만으로도 그때와 동일한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여 동일하게 불쾌감을 느끼는 것이다. 즐거웠던 기억도 마찬가지다. 도파민이라는 쾌락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어야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이는 실제 상황이 아니라도 상상만으로 뇌가 즐거움을 느끼는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하는 것이다.
우리 뇌는 1천억 개의 뉴런 신경세포와 셀 수 없이 많은 신경회로로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뉴런은 일상생활 속의 행동과 생각, 끊임없는 자극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강화된다. 정보가 전달되는 과정은 전기신호에 따른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로 이뤄진다. 그다지 복잡한 구조가 아닌 각 기능을 담당하는 뇌 부위가 전기적 반응을 통해 서로 신호를 주고받는 활동이 전부이다. 실제로 맞닥뜨린 상황에 대한 반응이든 상상을 통한 반응이든 또는 선과 악의 구별 없이 반응에 따른 뉴런 간의 연결을 물리적으로 강화될 뿐이다. 우리의 사고는 복잡한 고도의 인지 기능을 수행하지만 실제 뇌 속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단지 뉴런 간 신경회로가 연결되거나 또는 사라지는 것이다.
우리는 부정적이든 긍정적이든 지속적인 감정에 노출되면 몸이 그 감정 상태에 적응하게 된다.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의 지속적인 노출로 중독이라는 상태로 접어드는 것이다. 담배나 술, 마약 역시 지속적인 약물로 인해 쾌락 중추가 중독되어 그러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계속적인 자극을 요구한다. 슬픔, 자괴감, 우울증 등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우리 몸은 더욱 이 상태를 원하게 된다. 그래서 우울증이 심해지면 빠져나오지 못하고 자살까지 진행되는 것이다. 나쁜 남자를 만난 여자는 헤어지더라도 나쁜 남자와의 감정 상태에 익숙해져 다시 나쁜 남자를 찾게 된다. 반대로 행복, 즐거움이라는 감정 상태가 지속되면 우리는 계속해서 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하게 되고 더 쉽게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뇌의 특성을 우리 삶 속에서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까? 우리가 추구하는 사랑, 행복, 즐거움, 고마움, 성취감 등 이러한 감정 상태가 가득 차게 하기 위해서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뇌는 반복되는 감정과 생각에 의해 연결되고 더욱 강화된다. 이것은 강물이 계속 흐르면서 깊고 넓은 강을 만드는 것처럼 강한 자극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물길이 처음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많은 물이 필요하듯 원하는 연결을 만들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강한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즉, 일상 속에서 모든 것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시각과 즐거움을 잃지 않으려는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것은 시크릿에서 말하는 긍정적인 태도와 원하는 것이 이뤄졌을 때처럼 행동함으로써 뇌를 물리적으로 동일한 상태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것이 뇌의 가소성(brain-plasticity)이다.
뇌는 상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한다. 단지 지속적인 자극에 연결되고 강화될 뿐이다. 또는 연결이 약해지거나 사라질 뿐이다. 우리가 어떻게 되든 그저 생각하고 행동하는 대로 만들어질 뿐이다. 우리가 살면서 가장 많이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들로 연결되며 그렇게 살아지기 위한 방향을 설정한다. 평소에 긍정적으로 생각하라 서로 사랑하며 살아가라고 얘기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자신의 가치관과 성격에 따라서 자신의 운명이 바뀌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영화 매트릭스에서 모비어스가 네오에게 빨간 약과 파란 약을 보여주며 선택을 요구했던 것처럼 어떤 감정을 강화하고 약화시킬 건지의 책임은 전적으로 본인에게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