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Lattenote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지선 May 16. 2018

'석양주'와 형들

금주 또는 음주 일기 05

오후 5시. 어떤 계절이든 하루가 저무는 시간이다. 적어도 직장인들에게는 그렇다. 이 시간쯤이면 오늘 하루의 할 일을 대략 마무리하거나 혹은 오늘 안에는 절대로 끝나지 않을 일들을 미워하기보다는 인정하며 야근을 준비하는 때다. 아직 한낮의 기운이 쨍쨍한 여름이든, 이미 어둠이 시작된 겨울이든 오후 5시는, 그래서 마음이 좀 풀어지고 오늘 저녁 하루 마무리를 어떻게 해야 할지를 가늠하는 여유를 갖게 되는 시간이다. 


한국일보에 다닐 때, 오후 5시는 '석양주'라는 주신이 마음속으로부터 입 밖으로 터져 나오는 시간이었다. 대개는 마감된 원고를 최종적으로 데스킹을 마치고 한 숨 돌린 차장급 형들로부터 시작됐다. 

  "야, 석양주 한 잔 하러 가자!"

레이다에 걸리는 눔덜에게 이 한마디면 줄래 줄래 굴비 엮이듯 형을 따라 회사 부근 술집으로 향했다. 


95년부터 1년 반 정도 한국일보를 다녔는데 (그 당시) 놀라운 문화 두 가지는 보통 언론사에서 '선배'라고 부르는 호칭을 그곳에서는 '형'이라 부른다는 것과 술 잘 마시는 것이 능력으로 인정받는다는 것이었다. 부장 급 정도 되면 술 왕창 마시고 크게 실수한 경험담이거나 선배, 혹은 높은 사람에게 당당하게 기어오른 무용담 하나 정도는 다들 가지고 있었고 그것을 적당히 자랑하여도 흉이 되지 않은 문화였다. 


선배를 형 (남녀 구분 없다)이라 부르는 것은 처음엔 정말 적응이 안됐다. 하지만 부르다 보니 선배보다는 한껏 정겨운 것도 사실이었다. 일 년 남짓밖에 근무를 안 해서 내가 느꼈던 한국일보의 문화가 일반적인 것이었는지 모르겠지만 적어도 내가 있었던 부서에서 느꼈던 건, 한국일보의 선후배 관계가 다른 언론사의 그것에 비해 훨씬 떠 끈끈하다고 생각되었다. 어쩌면 '형'이라고 부르는 호칭에서 비롯된 착시였는지도 모르지만. 


고백하건대 나는 석양주 마시러 가는 것을 좋아했다. 사실 석양주는 대개 오후 5시에 시작해서 6시 내지 7시면 끝이 났다. 그 시간이면 기자들은 회사로 돌아가 다음날 신문 가판 (예전엔 조간신문을 그 전날 저녁에 발행해서 버스정류장이나 지하철역 등에서 판매를 했다)을 확인해야 했다. 혹여 내 기사 내용에 틀린 부분은 없는지, 더 중요하게는 다른 신문 가판을 보면서 물먹은 내용은 없는지를 확인하고서야 그날 저녁을 맘 편히 보낼 수 있었다. 


따라서 석양주 모임에서는 하루 노동을 끝내고 조금 편안한 마음으로 소주나 막걸리를 "캬~!"하는 감탄사도 뱉어가며 맛있게 한 모금 들이킬 수 있었다. 우리는 마치 가족들이 저녁 상에 모여 앉아 두런두런 하루를 정리하는 것처럼 그날 취재하면서 겪은 얘기도 나누고 형들을 술자리에서나마 놀리기도 하며 웃을 수 있었다. 그렇게 한 시간 정도로 마무리되는 술자리는 깔끔하고 산뜻했다. 물론 일주일에 한 번 정도는 (혹은 그 이상이었을지도... -_-) 막내를 보내 가판을 확인하고 2차로 이어지는 술자리도 있었지만.


한국일보 형들은 따뜻한 사람들이었다. 96년 내가 사업을 해보겠노라고 회사를 그만두고 나왔을 때 탐탁지 않아하던 형이 회사를 만들고 한 달 여 되었는데 밥 사준다며 나를 불렀다. 


  '너 영어 좀 하지? 인터넷 신문에 국제 기사를 좀 보강하기로 했어. 하루에 한 건 정도 외신 종합해서 기사 작성 좀 해라.'


예의 퉁명스러운 말투로 말했지만, 회사라고 차려놓고 굶어 죽지 않을까 걱정스러워 '일감'을 연결해 줬던 거였다. 그래, 그땐 그랬었다. 아무런 조건 붙이지 않고 후배를 도와주는 선배도 있었고, 그 마음 씀에 고마워하며 더 열심히 노력해야지 결심하기도 했었다. 


이제 와서 석양주가 그리운 옛 추억으로 남게 된 것은 술맛 때문만은 아니다. 술과 함께 들이켰던 형들의 따뜻한 마음이 기억 속에 묻어 있기 때문은 아닐는지... 




매거진의 이전글 여성이라서 참아야 했던 술자리 불쾌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