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제이쌤 Sep 05. 2023

공교육 멈춤의 날을 바라보며

나를 돌아보는 계기가 되기를..

공교육이 멈췄다.


최근 연이어 이어지는 교사들 관련된 사건들을 보며 도대체 얼마나 비 상식의 행동으로 교사를 대했길래 그런 극단적인 선택을 했을까, 목숨을 끊을 정도의 각오라면 다른 선택들을 할 수는 없었을까 안타까운 마음이 컸다.


공교육 멈춤의 날에 참여하는 교사들의 부담이 이루 말할 수 없었을 것이다. 정당한 나의 권리를 주장하는 것이, 내가 사랑으로 책임지고 있는 아이들을 볼모로 삼는 것처럼 보이지는 않을까, 다른 방법없을까를 고민하기도 했을 것이다. 사라는 직업, 누군가를 가르친다는 직업의 무게를 통감한다. 어렵게 옮겼을 이 걸음들이 헛되이지 않기를 바란다.


나는 사교육에 종사하면서, 또 세 아이의 엄마이기도 하다. 이 사건들을 보며 터질 일이 터졌다는 생각이 든다. 비단, 교권의 문제뿐이 아니라 지금 시대에 자식을 키우는 부모들의 여러 문제들 중 하나의 문제라고. 내 새끼를 건드리면 다 가만두지 않겠다는 그 서슬 퍼런  칼날을 공교육 교사에게만 들이밀었겠는가. 학부모들끼리, 사교육 교사들에게, 사회를 향해 누구든 내 새끼한테 입만 대봐라, 하는 이 집단 피해의식의 원인은 무엇일까.



나도 많은 아이들을 만나며, 가끔은 정말 그 아이를 아끼는 마음으로 부모님께 아이의 문제점을 이야기해주고 싶을 때가 있었다. 그것이 나의 잘못된 판단일 수도 있어서 망설이기도 했지만, 그런 이야기를 진심으로 고깝지 않게 받아들일 부모가 얼마나 있을까, 나라면 그것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나조차도 자신이 없는 일이라 그저 덥기로 하는 일들도 있었다. 공교육 선생님들은 오죽하겠는가. 임 교사가 아이의 문제 행동을 엄마에게 얘기했다가, 그 교사가 우리 아이를 미워하는 증거들이라며 긴 글을 커뮤니티에 올리는 걸 본 적도 있다.


이런 이야기 끝에 나를 돌아보며 100프로 자신은 없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선생님께 아이 맡긴 엄마로서 이 정도 이야기도 못하나, 나는 정중하게 물었고, 정중하게 부탁드렸으니 나는 아니라고, 나는 그런 적이 없다고 단언할 수 있을까.


이런 집단행동으로 교사들이 바라는 것, 그리고 고쳐져야 할 것들은 법 개정, 진상 규명만큼이나  자식을 키우는 부모들의 의식 것이다.


교사도 물론 학생을 인격적으로 대하고, 책임을 다 하도록 애써야 함은 물론이다. 마음이 아픈 사람이 너무 많은 이 시대에 , 마음이 병나서 감정 조절이 안되고, 나만 옳다는 아집에 파묻히고, 짓밟지 않으면 나를 누군가 공격할 것만 같은 생각들이 든다면 부모든 교사든 마음을 치유해 주는 병원이나 상담 센터등의 문을 두드려 보면 좋겠다. 상담과 치유는 금쪽이 아이들만 필요한 게 아니다. 우리만의 문제로 끝날 일이 아니기에, 부모도 교사도 모두 아이들을 책임지고 있는 사람이니까.



이 일련의 일들을 바라보며, 많은 부모들이 나와 같은 마음으로 한 번쯤은 자신을 뒤돌아 보는 기회가 되면 좋겠다는 바람이다.  아이는 절대 어떤 피해도 보면 안 된다는 우리의 이 고집은 어디서 온 것일지도 한번 생각해 보면 좋겠다.



목숨을 던질 만큼 힘에 겨웠을 선생님들의 삼가 명복을 빕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엄마' 충전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