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지유 Feb 17. 2021

UXUI 디자인을 하고 싶은 디자인과 후배들에게

1년 차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Q&A

최근 UXUI 디자인에 관심 있어하는 대학생 후배들과 함께 Q&A 시간을 가졌는데요. 제가 현업에서 일을 시작한 지 이제야 1년가량 되었기 때문에 시니어보다는 대학생 후배들의 이야기에 공감하고 알려줄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시니어가 되기 전에 냉큼 만났답니다. 함께 나눴던 이야기들을 글로 정리해보았는데 후배들과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는 대학생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좀 더 편하게 이야기를 나누기 위해서 평어를 사용했기에 아래부터는 그대로 정리했습니다.




우선 이야기를 나누기 전에 간략하게 나에 대해 소개할게. 나는 지금 Dataframe이라는 미국 테크 회사에서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고, 미국 회사지만 한국에서 원격으로 근무하고 있어.

처음에는 신소재공학과로 입학했고 산업디자인과를 복수 전공했어. 그리고 다른 학교 학생들은 뭘 배우는지 궁금해서 타학교 학점 교류를 하면서 학회에서 활동하기도 했어. 그 후에는 디자인 대외활동, 국내 스타트업 인턴, 글로벌 인턴십 프로그램을 거쳐 현재의 회사에 일하고 있어.




UX∙UI Q&A


UI∙UX 분야에서의 취업


1. UXUI 디자이너들은 보통 어느 쪽으로 취업을 많이 하나요?

⇒ 우선 크게 인하우스, 에이전시, 프리랜서 디자이너로 나뉘는데 ① 인하우스 디자이너 - 직접적으로 서비스를 만드는 회사 내에서 디자인 ② 에이전시 디자이너 - 에이전시에서 클라이언트의 서비스를 디자인 ③ 프리랜서 디자이너 - 독립적으로 프로젝트 기반으로 디자인해. 우리가 쓰는 앱, 웹 등의 서비스를 '프로덕트'라고 하는데, 보통 프로덕트를 만드는 IT기업이나 에이전시에 가장 많이 취업하는 것 같아. 우리가 평상시에 쓰고 있는 수많은 앱, 웹 프로덕트를 만드는 회사들을 생각하면 돼!


2. UXUI 디자이너로 취업을 하셨을 때 좋았던 점이나 어려웠던 점이 있으신가요?

⇒ 가장 좋은 점은 내가 한 디자인이 그저 그림으로만 남아있는 게 아니라 실제로 구현되고, 사용하는 유저가 생긴다는 거! 그게 가장 좋은 점인 것 같아. 어려운 점은 수 십 가지겠지만.. 유저가 계속해서 즐겁게 잘 사용할 수 있는 프로덕트를 만들기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는 것!


3. 우리나라 기업 취업과 해외 기업 취업의 차이점이 있나요?

⇒ 국내 기업과 해외 기업 간의 차이도 있겠지만 우선은 회사 바이 회사! 회사마다 규모, 문화, 일하는 방식 정말 많은 게 달라. 그래도 내 경험으로 차이를 생각해본다면 어느 정도의 문화 차이는 있는 것 같아. 내가 지금 다니는 회사는 일하는 시간과 공간에 제약이 없지만 그 대신 결과로 말하는 문화가 있어. 하지만 국내 기업이더라도 좋은 문화를 가지고 있거나 해외 기업이어도 대기업인 경우에는 확연히 다를 수 있어.


4. 현업에서 원하는 인재상은요?

⇒ 이것도 회사 바이 회사! 현업에서 원하는 인재상보다는 회사에서 원하는 인재상이 각기 달라. 직무 능력이 탄탄해야 하는 건 기본이지만, 그다음 사내 문화, 팀원들과 얼마나 잘 맞는지를 평가하는 건 정말 회사마다 다른 듯해. 가고 싶은 회사가 있다면 그 회사의 채용 공고, 사내 문화를 찾아보는 걸 추천해!




UI∙UX∙프로덕트 디자이너가 하는 일   


5. UXUI 디자인의 분야와 분야별 업무 프로세스가 어떻게 되나요?

⇒ 우선 분류를 해볼게. 크게 UI 디자이너, UX 디자이너, UXUI 디자이너, 프로덕트 디자이너 이렇게 부르는 이름이 다양한데 약간씩 차이가 있어. UX 디자이너는 사용자가 제품을 잘 쓸 수 있도록 설계하고, UI 디자이너는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고 싶게 시각화해. UXUI디자이너는 UX와 UI가 결합된 직군이야. 그리고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이것과 더불어 프로덕트 오너십을 가지고 프로덕트의 방향을 정하고 반복해서 개선해. 회사마다 하는 일은 같지만 부르는 이름만 다를 수 있으니 이름만 보기보다는 하는 일을 잘 보면 좋을 것 같아.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뭐예요?' 이 글을 참고해줘.


6. 실제로 UXUI 디자이너는 디자인만 맡아서 하나요? 실제 회사에서 UXUI 디자이너들의 역할은 어느 정도인가요? (정말 디자인만 하나요? 무슨 작업을 위주로 하나요?)

⇒ 내 경험을 바탕으로 설명할게. 이게 전혀 정답은 아니야!

① Research: 기획자나 PM이 어느 정도 기능에 대한 큰 비전과 요구 사항을 정리해줘. 그럼 그 내용을 잘 숙지하고 관련해서 리서치하면서 레퍼런스를 찾거나 관련 내용을 정리해.

② Lo-fi Sketch: 그리고 손으로 대강 스케치를 하면서 플로우나 화면에 대해 고민해봐. 이때는 하나의 안을 열심히 그리는 게 아니라 여러 개의 안을 대강 그려보는 단계야.

③ AS-IS & TO-BE 정의: 그리고 본격적인 UI 디자인에 들어가기 전에, 글로 AS-IS와 TO-BE를 정리하고 여러 개의 시안 중에 우선 디자인할 안을 선택해.

④ UI Design: Figma에서 UI 디자인을 하면서 완성도를 높여.

⑤ Prototyping: UX Flow를 확인하고 커뮤니케이션 코스트를 줄이기 위해서 프로토타이핑을 해.

⑥ Share & Iteration: 디자인한 UI와 프로토타입을 맥락과 함께 팀원에게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아. 여러 개의 안을 보여주고 각각의 장단점을 설명하기도 해. 그리고 팀원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반복해서 수정해.


이 과정에서 프로덕트를 개선하기 위해 데이터를 분석하기도 하고 유저 테스트를 진행하기도 하고, 효율적이고 통일된 UI를 만들기 위해 디자인 시스템을 만들기도 해. 하나의 고정된 일 아니라 프로덕트를 개선하기 위한 많은 일을 한다고 생각하면 쉬울 것 같아. 물론 회사의 규모에 따라 이 일들을 한 사람이 다하는 게 아니라 전문적으로 나눠서 하기도 해!


7. UX 디자인을 할 때 리서치 과정에서 필요한 자료는 어디서 가져오나요? 디자인하기 전 사람들의 요구를 어디에서 가져오나요? (개인 경험? 설문조사?)

⇒ 기업의 규모에 따라 다른데 리서치를 전문적으로 하는 리서쳐가 있는 경우도 있어. 리서쳐가 따로 없는 회사라면 보통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하는 툴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설문조사나 UT(User Test)를 진행하기도 해.




현업에서 사용하는 UXUI 툴


8. 실무에서도 어도비 XD를 자주 사용하나요? XD, 포토샵, 일러 외에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프로그램들이 더 있을까요?

⇒ 회사마다 다르지만 요새는 Figma를 많이 사용하는 추세야. Sketch라는 프로그램도 많이 사용해. 우리 회사는 Figma를 사용하고 있는데 클라우드 기반이라서 모든 파일이 클라우드에 저장되고 협업이 편리해서 좋아. 그리고 Figma, Sketch, XD는 UI 디자인에 최적화된 기능이 많아서 이런 기능을 잘 활용하면 좋아! 아직 사용해본 적 없다면 XD나 Figma를 사용해 보는 걸 추천할게! 포토샵을 사용하는 곳도 있긴 하지만 나는 따로 사용해본 적은 없어.


9. 사용해야 하는 툴과 툴 별 수준 정도는 어느 정도 필요한가요?

⇒ UI Design과 Prototyping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아래와 같은 툴이 있어.

① UI Design - Figma, Sketch, XD

② Prototyping - Figma, Proto.io, Protopie, Framer

나는 회사에 들어오기 전에 Figma 써본 적이 없었지만 XD랑 스케치를 써봤어서 쉽게 배웠던 것 같아! 셋 중 하나는 능숙하게 사용하는 게 좋을 것 같아. 그리고 나는 프로토파이와 프레이머를 따로 배웠었는데 회사에서는 피그마 프로토타이핑으로 충분해서 아직 사용하지 않고 있어. 자신이 프로토타이핑에 강점을 갖고 싶다면 따로 공부하는 것도 추천해!

혹시 그 외에 업무에서 사용하는 툴이 더 궁금하다면  '노션, 슬랙, 피그마, etc —테크 스타트업이 사용하는 업무용 툴' 이 글을 참고해줘!



디자이너에게 필요한 코딩/개발 실력


10. 구직 사이트를 보면 웹디자이너 같은 경우에는 코딩이 거의 필수인데, 어느 정도 코딩 수준을 의미하나요? 디자이너가 개발까지 같이 하나요?

⇒ 웹 퍼블리셔(디자인된 페이지를 웹 화면으로 구현하는 직무)가 아니라면 디자이너가 직접적으로 코딩을 하는 경우는 정말 적어. 그리고 프로덕트를 만드는 경우라면 회사에서 개발자가 핵심 인력이기 때문에 개발자들이 많아! 백엔드 개발자는 서버를 개발하고, 프론트엔드 개발자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구현해. 하지만 개발자들과 잘 소통하고 개발이 가능한, 개발 리소스가 적게 드는 디자인을 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기본적인 개발 지식은 알아두는 게 좋아! 나는 웹 디자인을 하면서 HTML, CSS 기본을 배웠는데, 요새는 노코드 툴이 점점 많아지고 있어서 꼭 해야 할 필욘 없어. 혹시 필요하다면 '생활코딩' 이 강의를 추천해.




UXUI 공부하기


11. UXUI 관련해서 학교에서 배우는 것들 외에 더 공부하거나 배워놓으면 좋은 것들이 있나요? UXUI를 공부하실 때 어떻게 공부하셨나요?

 복수전공을 시작하고 UXUI에 대해 전혀 모를 때는 책을 많이 읽고 리서치 신공을 발휘해서 구글에서 좋은 PDF 자료들을 긁어모았어. 그때는 집착에 가까울 정도로 논문도 많이 봤던 것 같아... 책이나 PDF는 깊은 내용을 논리적으로 정리해둬서 초반에 공부하기에 좋아. 그리고 여기서 배운 내용들을 학교에서 과제할 때 프로젝트할 때 꼭 적용해보려고 했어. 당시에는 방법론을 끼워 맞추는 것 같고 의미 없어 보이기도 했지만, 그렇게라도 억지로 방법론도 써보고 적용해보면서 '어떤 상황에서 어떤 방법론을 쓰면 좋은지', '이렇게 하면 의미가 없구나' 이런 교훈을 얻었어.

② 이제 어느 정도 기본에 대해서 이해했을 때는, 사이트에서 정보를 많이 얻었어. 세상에는 정말 유용하고 좋은 사이트와 글이 많더라고. 실질적인 사례, 최근의 사례들을 볼 수 있어서 좋아. 나는 살짝 정리벽이 있어서 그런 글을 최대한 디지털 문서로 남겨두거나, 요약했어! 이렇게 자기가 언제든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는 자신만의 아카이브를 만들면 좋아.


12. UXUI와 관련해서 추천 서적, 사이트가 있나요?   

뉴스레터

지금 써보러 갑니다 00.00: 앱/웹 요소 분석

디독: 해외 디자인 아티클 번역 뉴스레터

디자인나침반: 웹, 뉴스레터 둘 다 있어

Maily: 뉴스레터 모음

Unread: 뉴스레터 모음 → 여기서 더 흥미 있거나 필요한 거 찾아봐!  

사이트

Mobbin: iOS 앱 실제 UI

Awwwards: 트렌디한 Web/app 디자인

Producthunt: 글로벌 프로덕트를 순위별로 볼 수 있어

Disquiet: 한국 프로덕트를 모아 볼 수 있어

그 외, Behance, Dribbble, Pinterest  

서적

'Hooked', '사용자를 생각하게 하지 마', '터치를 위한 디자인하기'

그 외에 더 보고 싶다면 'UX 디자이너를 위한 필독서 추천' 이 글을 참고해줘.


13. 현재 UX 트렌드와 변화하는 트렌드를 읽는 법

⇒ UX에도 분명 트렌드가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UX는 좀 더 본질에 집중하는 것이라고 생각해. 사용자가 좀 더 사용하기 쉽게, 익숙하게, 사용하고 싶게 만드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 같아. 많은 프로덕트를 직접 사용해보고 생각해보면서 기를 수 있어. 내가 학생일 때는 사실 별생각 없이 앱, 웹을 사용했었는데 지금 와서 보니까 플로우가 어떤지, 어떤 문구를 썼는지 생각하면서 보게 되더라고. 화면 넘길 때마다 캡처하는 병이 생겼어... 혼자 하기가 어렵다면 커뮤니티, 페이스북 그룹을 적극적으로 이용해봐!




기타


14. UXUI의 잘 만들어진, 좋은 예시가 궁금합니다!

⇒ 정말 많은 예시가 있을 것 같은데, 최근 사람들에게 많이 언급되는 한국 서비스로는 '토스', '당근마켓', '오늘의집'이 있는 것 같아! 나는 최근에 사용하고 있는 '스픽'이라는 영어 회화 어플이나 네이버에서 만든 '웨일' 브라우저가 좋았어. 평소에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앱, 웹을 생각해보면 어떨까? '배달의 민족, 넷플릭스,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우리가 평소에 막힘없이 매끄럽게 또 자주 쓰고 있는 서비스가 있다면 분명 좋은 예시일 거야 : )


15. UX/UI에서 주로 쓰는 폰트는 어떤 건가요? 한글과 영어 폰트가 궁금합니다!

⇒  프로덕트에서는 폰트의 심미성보다는 웹, 앱에 적합한 폰트를 써야 해. 폰트 용량이 적어야 서버에서 폰트를 빠르게 불러올 수 있거든. 보통 산세리프가 디지털 환경에 적합해. 한글은 Apple SD Gothic NEO, Saumsung One, Nanumn Gothic, Noto Sans을 많이 사용하는 것 같기도 해. 영어 폰트는 Google fonts를 참고해봐!




관련 글

오늘도 밤샘 중인 디자인과 후배들에게 - 1년 차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말해주고 싶은 이야기 (2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