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우리는 입술 사이로 여린 바람이 새어 나오는 이 이름에 가장 먼저 시선을 사로잡히고, 그다음으로는 그녀의 작품에 사로잡힌다. 꿈속의 풍경을 조각조각 이어붙인 것 같은 이미지에 반해 한 장 한 장 넘기다 보면, 그 속에 철학적인 사유가 숨어있음을 알아차리게 된다. 저 멀리 폴란드에서 흐미엘레프스카가 차분하고도 힘 있게 전해오는 이야기들에 귀 기울여 보자.
폴란드 출신의 그림책 작가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이 길고 어려운 이름이 다소 낯설지라도, 그녀의 일러스트를 몇 편 보고 난 후엔 생각이 바뀔지도 모른다. 그녀는 <생각하는 ㄱㄴㄷ> 등의 그림책을 펴내고, 황선미 동화작가의 일러스트를 맡는 등 한국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는 작가다. 어디선가 오려낸 듯한 사진이나 알록달록한 천 조각을 서로 이어붙이기도 하고, 펜 대신 실과 바늘로 이미지를 표현하는 독특한 기법과 작품세계에 녹아 있는 상상력까지. 한 편 두 편 작품을 접하다 보면 어디까지 뻗어 나갈지, 어떤 새로운 모양을 만들어낼지 쉽게 짐작할 수 없는 종이 위의 물감이 떠오른다. 사실 흐미엘레프스카는 대학에서 미술을 공부한 후 회화와 일러스트레이션, 무대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해왔다. 특유의 아이디어는 이렇게 다채로운 경험에서 피어났는지도 모른다.
흐미엘레프스카는 이렇게 만들어낸 이미지로 추상적인 개념에 형체를 부여한다. 누구나 생각해볼 수 있지만 막상 표현해내기는 쉽지 않은 것들. 조금만 깊이 생각해볼라치면 머릿속에서 뿌연 안개처럼 흩어져버리기 일쑤인 것들. 그것이 흐미엘레프스카가 주로 다루는 소재다. 아이처럼 말랑말랑한 상상력은 이러한 소재와 한 몸처럼 어우러진다.
‘생각이란 무엇일까?’
그림책 <생각>은 이러한 질문에서 출발한 작품이다. 바닥이 보이지 않을 만큼 깊고 투명한 유리그릇. 서로 마주보고 있어 그 속의 물체가 끝없이 늘어나는 거울. 아무에게도 들키지 않게 비밀을 깊숙이 감춰둔 상자, 혹은 영화처럼 장면이 계속해서 바뀌는 화면. 이 작품을 통해 그녀는 아무것도 아니지만 동시에 모든 것이 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림책 <두 사람> 역시 비슷한 듯 다른 매력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사람과 사람이 만나 이루어가는 관계에 대해 고찰한다. 관계는 종종 녹슬거나 한쪽이 사라지기도 한다는 점에서 열쇠와 자물쇠 같기도, 따로 보면 각자 다른 풍경을 보여주지만 한눈에 보면 더 넓은 풍경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두 개의 창문 같기도 하다. 때로는 앞뒤로 엮여 있어 하나의 이야기가 온전한 책 한 권으로 존재할 수 있게 하는 표지 같기도, 번번이 엇갈리는 낮과 밤 같기도 하다. 이렇듯 흐미엘레프스카의 작품에는 신비로운 은유가 곳곳에 녹아 있다.
<여자아이의 왕국>은 이러한 은유가 가장 돋보이는 작품이다. 여성으로서 겪게 되는 성장 과정을 다루고 있는 이 작품은 처음부터 끝까지 은유로 이루어져 있다. 아무렇게나 떨어지는 폭포, 폭발하는 화산, 높은 탑과 그 주변을 서성이는 매서운 용……. 신체적·감정적 변화를 고전동화 속 인물들과 연결시켜 이야기를 풀어내는 방식, 오래된 레이스와 실크 천을 사용한 콜라주 기법도 흥미롭지만 용을 길들이고 탑에서 내려오는 방법을 찾아내는 등 왕국을 다스리는 법을 배워가는 주인공의 긍정적인 변화가 제일 인상적이다. 여성으로서의 삶을 평생 벗어날 수 없는 족쇄가 아니라 자신만이 다스릴 수 있는 하나의 왕국이라고 표현한 것에서, 흐미엘레프스카가 새로 피어나는 어린 여성들에게 어떠한 시각을 보여주고 싶어 했는지 알 수 있다.
이렇듯 흐미엘레프스카의 가치관은 그녀의 작품이 빛나는 가장 큰 이유이기도 하다.<네 개의 그릇>에서는 그녀가 작가로서 가지고 있는 책임감을 엿볼 수 있다. 제목처럼 그릇 네 개가 등장하는 이 작품은 팔랑팔랑 돌아가는 바람개비, 소나기를 막아주는 우산, 새벽 내내 작가의 책상을 밝혀주는 스탠드로 끊임없이 변신하는 그릇을 따라가며 진행된다. 화려한 변신에 넋을 놓고 페이지를 넘기다 보면 다음과 같은 문장을 마주하게 된다.
여기서 우리는 그녀가 어떤 마음가짐을 지닌 작가인지 어렴풋하게나마 짐작해볼 수 있다. 이야기를 하나의 생명체로 여기는 그녀가 어떤 이야기를 세상에 풀어놓을 것인지, 그 이야기가 어떤 역할을 해낼지 깊이 고민하는 모습이 눈앞에 그려지는 듯하다.
읽을 때마다 이해와 해석의 깊이가 달라지는 것. 그것이 우리가 고전이라고 부르는 작품들의 가장 큰 특징이다.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의 작품을 반복해 읽을 때마다 드는 생각이기도 하다. 은유와 수수께끼와 철학적인 사유가 가득한 그녀의 그림책은 독자의 마음속에 무언가를 심어준다는 점에서 한 편의 아름다운 시(詩)와도 닮았다. 훗날 흐미엘레프스카의 그림책들도 고전으로 자리 잡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상해본다.
***
이 글은 제가 '인디포스트'에서 쓴 기사입니다!
미처 다 옮겨오지 못한 동영상들을 함께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http://www.indiepost.co.kr/post/6368 여기로 놀러와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