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brbr Sep 11. 2020

대리만족 가족

‘순풍 산부인과’가 주는 기쁨과 슬픔

번역일을 시작한 뒤론 늦은 밤의 새로운 루틴이 생겼다. 저녁 6시부터 새벽 2~3시까지 일을 하고 잠들기 전 왓챠에서 ‘순풍 산부인과’를 본다. 시간상 긴 영화를 보기에도 애매한데 에피소드 당 20분 정도라 딱 좋다. 너무 집중해서 볼 필요도 없고 웃긴 부분에서 깔깔대면 그만이다. 단 걸 별로 좋아하지 않은 나에겐 하루의 당충전 같은 존재이기도 하다. 


허다하고 김간과 사위 영규를 타박하면서 동시에 자기도 모르게 새어 나오는 웃음에서 어쩔 수 없는 인간미를 보여주는 오지명을 중심으로 가족과 이웃사촌끼리 복작복작댄다. 여리지만 푼수끼가 다분한 용녀, 미선 부모의 구박에 굴하지 않고 자기만의 생존법으로 아웅다웅하며 처가 살림에 잘 얹혀가는 백수 영규, 그런 영규지만 부부의 사랑으로 늘 감싸고 남편의 ‘편’이 되어주는 미선, 천연덕스러움으로 평생 먹고 살 것만 같은 뽀짝스러운 미달이. 첫째인 미선이 다음으로는 둘째 소연과 혜교가 있다. ‘순풍’의 의사인 소연이는 비교적 코믹함이 덜한 캐릭터지만 90년대 여성의 서울 말씨를 제대로 들을 수 있다는 점에서 문화적 가치가 있어 보인다. 우리가 아는 지금의 송혜교가 아닌 발랄한 여대생 ‘오혜교’를 보고 있노라면, 송혜교라는 배우가 왜 그간 ‘가을동화’ 이후부터 슬프고 아련한 이미지에 소비되었는지 의구심을 품을 만큼 능청스러운 시트콤 연기를 펼친다. 미달이 친구 의찬이의 아빠이자 순풍의 의사이기도 한 이혼남 찬우. 그런 찬우 집에 세입자로 살며 마누라보다 더 집안일을 많이 해서 늘 서러운 코미디 방송작가 오중은 소연의 남자친구이기도 하다. 순풍의 김간과 표간, 중간에 하차한 장간(배우 고 장진영이 이 역할이었다), 이후 들어온 송간 등 감초들도 다양하게 출연하는데, 단연 쌍절곤을 날리며 지명에게 도전적으로 나오는 김간의 코믹 비중이 큰 편이고, 가끔 출연하는데 그 때마다 역할이 바뀌는 윤기원과 정웅인이야말로 순풍의 보는 재미를 배가하는 매우 비중 있는 존재들이다. 


에피소드가 워낙 많아서 다 열거할 순 없겠지만 ‘순풍’이 관통하는 주제는 결국 가족이라는 생각이 든다. 고 김대중 대통령이 한창 금 모으기를 하며 환난을 극복했던 IMF(97년 금융위기) 시기에 나와 유일하게 웃음을 줬던 시트콤이었다. 이때 많은 가구들이 경제위기로 타격을 입었을 뿐만 아니라 해체에 이르는 경우도 많았고, 나 역시 같은 경우였다. 가족에 대한 즐겁고도 유쾌한 기억이 정확히 언제 끊긴 지는 모르겠지만 중학교 이후였고, 고등학교에 들어서 독립적으로 완고해진 내 자아엔 ‘가족’이라는 단어를 상실한지 오래였다. 그래서인지 ‘순풍 산부인과’는 대리만족과 동시에 보고 나면 슬프기도 한, 나에게 있어는 웃픈 시트콤이다. 각자 다른 캐릭터의 대가족 구성원들이 복작복작, 아웅다웅 대면서도 그렇게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삼시 세끼를 오손도손 함께한다. 가족이니까, 그리고 이웃사촌이니까 무수히 많은 해프닝(물론 시트콤이니 늘 상황은 주어지겠지만) 속에서도 한바탕 웃고 넘긴다. 가족주의를 옹호하는 건 아니지만, 문득 ‘가족이니까’ 하는 말이 서글프게 가슴을 후빈다. 늦은 밤, ‘순풍 산부인과’를 매일 틀고 그들의 가족에 빠져든다. 현실 가족을 묻어둔 채.

작가의 이전글 꿈, 비디오테이프 그리고 영화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