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봄소리 Sep 10. 2017

슬픔을 통한 예술의 완성

영화 <시인의 사랑> 리뷰

** 이 글은 브런치 무비패스 리뷰이며, 영화의 스포일러를 담고 있습니다.


여기 한 명의 시인이 있다. 시인이라고 하지만 예술가보다는 처연하고 현실에 궁핍한 소시민의 모습이다. 부인과의 관계도 불편한 시인은 어느날 도넛 가게에서 일하는 소년의 모습에서 성적인 환타지를 느끼게 된다. 처음에는 그 감정에 당황스러워하다가 항상 지켜봐주고 도와주고 싶은 알수없는 감정이 결국 사랑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처음 '시인의 사랑'을 보기 전에는 막연히 포스터와 제목을 보고, 이창동 감동의 '시'와 비슷한 류의 영화이겠거니 생각했었다. 하지만 이 영화는 시에 대한 사랑이 아니라, 말 그대로 시인의 사랑을 다루고 있다.  그 대상이 일반적인 이성이 아니라 남자이다. 그리고 그의 나이에 비해 굉장히 어린 소년이다. 일반적이지 않은 대상과의 미묘한 감정은 시인뿐만 아니라 그의 가족과 관객 모두에게 혼란스러움을 안겨준다. 이 감정은 동성애에 대한 발견인가, 동정심인가, 인류애인가... 하지만 그 감정은 굳이 정의하지 않더라도 솔직하고 진정성이 있다. 사람을 좋아하는데 이유가 필요한가. 시인은 그가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소년을 사랑한다.  


초등학교의 시 수업시간에서 한 꼬마가 시인에게 묻는다.

"시인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해요?"

"슬프고 아픈 사람들을 위해서 대신 울어주는게 시인이야."


누군가의 슬픔을 같이 아파하고 함께해주고 싶은 마음, 그의 사랑은 그가 정의한 시인의 정의와 같다. 소년을 사랑하게 되며 그는 소년을 항상 지켜본다. 무료하던 일상이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하고, 자연스럽게 시상이 떠오른다. 시인은 결국 가족의 굴레 때문에 소년과 이별하게 되지만 그의 사랑은 시가 되었다. 이별 후 소년과의 우연한 만남에서 시를 통해 받은 상금을 건네던 시인은 집에 돌아와 한방울의 눈물을 흘린다. 결국 이룰 수 없는 사랑을 통해 시를 완성한 시인은 슬퍼도 괜찮은 것일까.


시인의 사랑이 일반적인 소녀였다면 진부한 스토리였을텐데 상대가 소년이였기 때문에 감정에 대한 복잡함과 섬세함이 더 잘 살아났다. 상뻬의 만화중 "내가 시인이었으면 좋았을텐데. 그럼 내 슬픔을 시라도 만들 수 있었을텐데" 라는 장면이 있다. 우리는 굴곡진 현실에 대한 아픈 감정이 예술적으로 승화되는 것에 대한 환상이 있다. 하지만 슬픔은 그저 슬픔일뿐, 그것이 예술로 만들어지는 것은 하나의 표현 방법일 뿐이다. 예술이 아름답다 하더라도 현실은 그렇지 않다. 현실이 예술로 변화되는 과정, 그리고 다시 예술에서 현실로 돌아오는 순환고리를  영화 '시인의 사랑'은 다루고 있다. 결국 시가 되어버린 그의 사랑은 아름다운 예술이 아니다. 슬프고 아픈 과거의 기억일 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역사적 비극 vs 현실적 희극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