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8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왜 단결정은 만들기 어려울까?

하나로 뭉치기 어렵다

by 잔박 Nov 27. 2024

실리콘 원자들이 만드는 구조 가운데 가장 안정한 구조는 다이아몬드 구조이다. 그렇다면 실리콘 원자들을 잔뜩 뭉쳐놓으면 알아서 다이아몬드 구조의 실리콘이 될까? 정답은 “그렇지 않다”. 그 과정에서 넘어야 할 장벽이 많기 때문이다.


바둑판 안에 교차점들마다 사람이 있다고 상상해 보자. 이 교차점에 있는 사람은 줏대가 없어서 청기 또는 백기를 들 수 있고 주변 네 사람 가운데 다수가 들고 있는 깃발을 든다고 해보자. 그렇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모두가 청기를 들고 있다면 아무 일이 일어나지 않고 계속 청기만 들고 있을 것이다. 사람들이 무작위로 들고 있는데 청기가 더 많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청기가 더 많아져 결국 청기로 뒤덮일 것이다.


만약 서쪽에 있는 절반은 청기를 들고, 동쪽에 있는 절반은 백기를 든다면? 이 경우는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경계에서 먼 사람들은 깃발을 바꾸지 않을 것이고, 경계에 있는 사람들도 그 주변 사람들이 절반씩 청기와 백기를 들고 있어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모두가 청기만 들게 하고 싶다면 청기를 조금 더 유리하게 바꿔줘야 한다.


다시 단결정 문제로 돌아오자. 단결정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모래알같이 작은 단결정들을 한 데 모아두더라도 커다란 단결정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각 원자들은 이미 조그만 단결정에 맞게 원자들의 위치가 배열되어 있어서, 인접한 단결정에 맞게 위치가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좀 더 과학적으로 말하자면 원자의 위치가 바뀌려면 커다란 장벽(barrier)을 넘어야 히는 것이다. 커다란 단결정을 만들려면 온도를 올려서 불안정한 위치로 움직일 수 있게 해 주고, 천천히 온도를 내려야 한다.


이런 현상이 물리학에서도 꽤나 흔한데, 자석도 그중 하나이다. 깃발을 스핀으로 바꾸고, 사람을 스핀을 가진 원자로 바꾸면 동일한 상황이 된다.

매거진의 이전글 결정은 목욕탕 타일이다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