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을 상품으로 거래하는 삶의 무감각성
빈곤층의 거주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쪽방촌에서 일주일을 살아보고, 배달플랫폼의 실태를 알리기 위해 직접 오토바이를 몰며, 눈보라가 휘몰아쳐도 아랑곳하지 않고 보도를 이어나가는 언론인들을 바라보며 대중은 댓글과 반복되는 뉴스피드로 그들의 노고를 높이 샀다. 어쩌면 시각적인 그림과 극한이라는 자극이 만들어낸 기획에서 뉴스는 정보전달이 버라이어티의 계획된 흥미유발과 무엇이 다른지 고민하는 듯하다. 동시에 마치 모든 것이 융합해서 시너지를 내야 할 것만 같은 흐름에 역행하는 건 아닌지 자아비판에 빠져야 하는 모순에 이르며 불순한 의도를 배제한 채로 아슬아슬하게 오늘도 ‘단독’, ‘현장르포’, ‘특집’이라는 누구보다 우월한 훈장으로 가공되어 뉴스는 고객에게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작가 개인의 경건한 고백처럼 보이는 고통 구경하는 사회에 대한 고발은 곧 누구나 알고 있지만 애써서 명확하게 드러내지 않는 공공의 적처럼 언급되지 않은 부분이다. ‘좋아요’와 ‘구독하기’ 그리고 ‘알림 설정’이라는 철저한 관계가 구조화된 관심경제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고도화된 관망하기로 그 역할을 더욱 견고히 다지며 충실히 타인의 고통을 반복재생하기 때문이다.
대중과 사건이라는 희박한 연결고리 사이에서 언론인은 과연 어떤 자세로 존재해야 하는가에 대한 작가의 고민은 바로 이런 변화된 상황가운데 마주해야 할 당연한 질문처럼 보였다. 이를 진지하게 마주할 것인지 아니면 시류에 스쳐 지나가는 한 때의 고민으로 치부할지는 사회를 바라보고자 했던 각각의 입장에 따라 매우 다를 것임에 분명했다. 저자는 보도를 하며 놓치는 것은 없는지, 너무 당연하게 미디어에서 그려진 과장된 연극을 공적인 유산으로 개인에게 떠넘긴 건 아닌지 고민을 했다. 개인은 얼마나 섬세하고 예민하게 정보를 처리하고 수용하고 있을까? 생각 없이 사고를 수동적으로 이끄는 디지털 화면 위의 뉴스피드는 단순 반복되며 의도적으로 가장한 거리감으로 친밀감을 내보일 것이다. 때문에 취재에서 끝난 현실이 아닌 현재를 살아가는 이야기로써의 기사가, 겉도는 휘발성 감정이 아닌 끊임없이 관심과 이해를 촉구하는 지속적인 기여는 손에 넣을 수 없는 아련한 추억처럼 슬픈 감정을 일으키는가 보다.
카메라를 응시하고 펜을 들며 기록해 나아가고 있는 작가의 모습에 나는 무덤덤히 살아가면서 무엇을 고민하며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지 의문이 들었다. 이에 대해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며 뭉뚝하게 마주했던 나에게 작가는 기사에 담기지 못한 선예도를 날카롭게 건드리며 스스로가 훑지 못한 누락된 부분을 돕는다. 그런 섬세하고 배려 깊은 언론인이 그래도 한 명쯤은 여기에 있음을 내보이면서.
아마 지면과 러닝타임이라는 제약에서 작동하는 시스템의 효율성을 뛰어넘어 이상향을 바란 작가의 세계는 결코 오지 않을 것이다. 오지 않으면 어떻겠는가. 꿈꾸는 것은 깨어있어 노련한 개인에게만 보이면 충분한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