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은영 작가의 책은 사놓고 늘 며칠에서 몇 달까지 묵히게 된다. 조금 긴장이 된다. 최은영 작가는 데뷔작 이래로 나를 실망시킨 적이 없고 책을 사기 전에 리뷰를 보아서 이번에도 탁월한 작품을 썼구나 예상하고 있는데도 뭐랄까 마음의 준비 같은 게 필요하다.
나는 문체나 구조나 형식도 중요하지만 소설에서 제일 중요한 건 작가의 관점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순문학을 읽는 이유는 진실을 알고 싶기 때문이다. 포장지 같은 이야기의 겹을 조심스레 뜯어냈을 때 그 안에 자리하는 정수. 그 과정이 고통스럽다고 할지라도. 작가의 예리한 올가미 안에서 꿈틀대는 진실을 볼 때 나는 카타르시스를 느낀다. 그리고 그 진실이 내게 선사하는 것은 인간다운 삶이다. 세상 오만가지 인간 군상이 복작대는 이야기 속에서 진짜 나를 만나는 것이다. 후진 나, 염치없는 나, 최은영 작가의 책을 읽으면 만나는 나는 바로 이런 나다. 그녀의 책을 읽고 나면 나는 늘 부끄러워진다.
참으로 놀랍다. 최은영 작가는 어떻게 이토록 굳셀 수 있을까? 어쩜 이토록 집요하고 따스할 수 있을까? 그럼에도 우리는 서로를 사랑하며 연대해야 하고 살아가야 한다는 말을 하기 위해 얼마만큼 자신을 고통의 최전선으로 몰아붙였을까? 예리한 문장 몇 줄로 세상의 정의에 빚 갚는 대신 우리가 감히 보기 두려워하는 세상의 외진 곳들을 가만히 응시하는 그녀의 강한 마음이 정말이지 나를 한없이 부끄럽게 만들었다. 무턱대고 내뱉고 무심코 해버리고 마음으로만 품어서 괜찮을 거라 생각한 나의 오만이 최은영 작가의 이야기 속에서 내게 말을 걸었다. 그러나 최은영 작가는 정말 자애로워 “부끄러워도 돼요. 부끄러운 건 귀여워요.” 하고 나를 위로해 주고. 나 정말이지 이 작가님 언니라고 부르고 싶다. 언니 저 한 번만 안아주시면 안 될까요? 왠지 품도 따스할 거 같아서 나는 정말이지 숨이 턱 막힐 때마다 산소를 마시듯 언니의 작품을 펼칩니다.
각설하고,
나는 또 정말이지 요즘 환멸이 드는데 무슨 놈의 부끄러움을 모르는 사회가 된 것 같아 그렇다. 부끄러움은 정말 중요하다. 부끄러워하는 나 자신이 부끄러울 수는 있다. 그건 자신의 과오를 인정한다는 소리이고 어쨌거나 실수했고 잘못했고 구질구질하게 굴었다는 증거니까. 하지만 부끄러움은 우리가 타인과 더불어 사는 이 사회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감정이다. 부끄러움은 우리가 잘못된 행동을 하거나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놓였을 때 느끼는 감정 아닌가. 부끄러울 때 우리는 자신의 행동을 돌아본다. 그리고 그 부끄러움을 반면교사로 삼아 이후에 더 나은 선택을 하려고 노력하지 않나? 인간이라는 게 워낙 불완전하고 갈대 같은 존재이긴 해도 부끄러움을 통해 조금 더 올바른 쪽으로 가려고 하는 건데 요즘 너무 더워서 그런가 이 부끄러움이 다 녹아내린 것 같다.
예전에 희귀질환을 앓는 여자아이에 관한 다큐를 본 적이 있다. 아마 선천성 무통각증이라는 병이었을 거다. 어딘가를 다치거나 몸 안에 병이 생겨도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고 했다. 자세히는 모르지만 아무튼 신경세포가 유전자 변이를 일으켜 고통을 뇌로 전달하지 못하는 것 같았다. 어린 마음에 다쳐도 안 아프면 좋은 거 아닌가? 생각했지만 아픔을 느끼지 못한다고 다치지 않는 것은 아니니까 혹여라도 상처가 방치되어 치료 시기를 놓칠 수 있기에 아이의 부모는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나는 사람들이 정신적으로 선천성 무통각증이라는 위기 처한 게 아닌가 걱정이 된다. 아픔을 경험하지 못한 사람들이 타인의 아픔을 알 수 있을지. 부끄러움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과오를 깨달을 수 있을지. 온통 긍정과 자유라는 단어를 앞세워 덮어버린 자리에 썩어가는 소외와 멸시와 고통과 혐오 같은 진실들. 이런 소리를 해대는 나도 뭐 세상 부끄러운 짓은 다 하고 살지만 그래도 최은영 작가의 책이 있어 다시 한번 정신이 번쩍 들었다. 많이 혼났고 많이 반성했고 많이 배웠고 많이 위로받았다. 소설이 할 수 있는 본연의 의무를 충실히 해낸 <아주 희미한 빛으로도>에 박수 세 번 짝짝짝. 끊임없는 응시와 고통으로 빚어낸 이 희미한 빛을 쑥하고 마늘 삼아 나도 동굴 같은 내 방에서 수양하고 인간이 되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