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종보 Jan 28. 2021

인간의 뇌는 서로에게서 배운다.

스티븐 하이네의 <문화심리학Cultural Psychology>

위의 분석은 인간이 아닌 영장류의 두뇌가 어떻게 사회 학습에 있어서 그렇게 크게 되었는지를 보여준다. 하지만 인간은 어떠한가? 앞서 언급했듯이 영장류의 뇌가 다른 포유류에 비해 크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뇌는 훨씬 더 크다. 이처럼 비용이 많이 드는 큰 두뇌를 진화시키는 것으로부터 인간은 어떤 적응적 이익을 얻었을까?


이 질문에 접근하는 한 가지 방법은 인간이 다른 영장류를 능가할 수 있도록 하는 인지 능력의 종류를 보는 것이다. 두뇌의 크기가 더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당신은 인간이 다른 영장류보다 사실상 모든 지적 요구가 많은 일을 할 때 더 똑똑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사실, 침팬지와 같이 가장 똑똑한 영장류 사촌들에게 확실한 우위를 점하는 일은 단지 몇 가지밖에 없는 것 같다. 어떤 일에는 침팬지들이 우리 인간들에게 돈을 벌게 해 줄 수 있다. 한 연구에서는 작업 기억 과제에서 대학생들을 침팬지와 비교했는데, 그 작업 기억 과제에서는 1에서 9까지 숫자가 아주 잠깐 화면에 비추고 나서 참가자가 숫자 순서대로 숫자가 나타난 곳을 두드려야 했다 (Inoue & Matsuzawa, 2007). 대부분의 인간이 대부분의 침팬지를 이길 수 있었지만, 이 게임의 챔피언은 침팬지 팀으로부터 나왔다: 가장 난도가 높은 게임에서는 숫자가 0.2초만 깜박였을 때 5세짜리 아유무라는 침팬지가 사람이든 침팬지든 모든 참가자들 중에서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그림 2.10). 마찬가지로, 참가자가 파트너가 하려는 일을 일치시키거나 불일치하여 점수를 획득하는 전략적 갈등 게임에서 침팬지가 성인 인간과 맞붙었을 때, 평균적으로 침팬지들이 인간을 능가했다 (Martin, Bhui, Bossaerts, Matsuzawa, & Camerer, 2014). 그러므로, 인간은 훨씬 더 큰 두뇌에도 불구하고 모든 종류의 일에 있어서 침팬지보다 압도적으로 지적인 이점을 가지고 있는 것 같지는 않다.

그림 2.10 인지 능력, 침팬지 대 인간. 이 작업 기억 과제에서, 침팬지 아유무는 인간 참가자들을 능가했다.


우리가 논의한 바와 같이, 영장류는 큰 집단 내에서 사회 학습을 위한 기회를 통해 얻은 이익 때문에 큰 뇌를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Street et al., 2017). 그러나, 영장류는 매우 사회적인 포유류이지만, 많은 면에서 인간은 "초사회적ultra-social" 종이라고 말할 수 있다 (Boyd & Richerson, 1998). 인간이 다른 영장류보다 훨씬 더 사회적임을 알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인간이 살고 있는 집단의 크기이다. 그림 2.9를 다시 보면, 그래프의 오른쪽 상단에 인간의 신피질 비율을 나타내는 별표가 있다. 다른 영장류들의 신피질 비율과 평균 집단 크기 사이의 연관성을 고려하면, 우리는 인간 조상들의 평균 크기가 147.8 또는 약 150명이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 추론에 의해 인간은 평균 150명의 구성원을 가진 집단으로 진화했어야 했고, 이것은 약 150명의 관계를 추적할 수 있는 인지 능력으로 이어졌어야 했다. 하지만 분명히, 산업화된 사회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150명보다 더 큰 지역사회에서 살고 있다. 내가 살고 있는 그레이터 밴쿠버의 인구는 250만 명이 넘는다.


그러나 많은 인구가 비교적 최근의 현상이라는 것을 기억하는 것은 중요하다. 약 10,000년 전 농업이 시작되기 전, 모든 곳의 인간은 작은 생계 사회에서 살았다. 진화심리학자인 로빈 던바Robin Dunbar(1993)는 현대 생계 사회의 민족지학적 기록을 조사한 결과 30에서 35명 정도의 소규모 야영지, 부족tribe은 전형적으로 1,500에서 2,000명 안팎에 달할 수 있지만, 씨족clan의 평균 규모는 148.4명으로 나타났다. 씨족은 원숭이와 유인원을 특징짓는 집단과 유사한 많은 사회적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Dunbar, 1996), 대부분의 생계 집단의 주요 사회적 단위를 반영하고 있다. 나아가, 조상의 출생률을 감안할 때 150명은 4대 이후에 조상의 인간 부부가 탄생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는 살아있는 후손(아내, 남편, 자녀 등 모두 포함)의 수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인간이 약 150명의 집단으로 구성된 집단에서 가장 잘 기능하도록 인지 능력을 진화시켰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암시한다.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의 일부 증거는 이 아이디어와 일치한다. 페이스북이 계정을 조사한 결과 평균 친구 수가 120명에서 130명 사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Dunbar, 2011 참조), 트위터 팔로워 수를 분석한 바로는 한 명이 상호 작용을 유지할 수 있는 이론상 최대치가 100명에서 200명 사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Goncalves, Perra, & Vespignani, 2011). 지금은 물론 소셜 미디어 사이트는 개인들이 이 수를 훨씬 능가할 수 있게 한다. 어떤 사람들은 수천 명의 페이스북 “친구”를 유지하고 있고, 저스틴 비버Justin Bieber는 어떻든 5천만 명 이상의 트위터 팔로워를 끌어들였다. 표면적으로 이것은 던바의 수를 위반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들의 대부분은 전형적으로 매우 빈약하며, 의미 있는 상호 관계의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요약하자면, 인간은 150명 정도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인지 능력을 진화시킨 것으로 보인다. 이것이 그들이 조상들의 환경에서 점유했던 집단 크기이기 때문이다. 150명 이상의 집단은 공식적인 제도 구조 없이는 관리하기가 너무 불편해졌지만, 작은 집단은 많은 수가 가지는 이점을 잃게 될 것이다.


그래서 인간은 그들이 유지할 수 있는 관계의 수 측면에서 다른 영장류보다 더 사회적인 존재이다. 하지만 그들은 다른 면에서도 더 사회적이다. 인간은 그 어느 영장류보다 주변의 다른 이와 훨씬 더 교제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남들이 하는 일에 끊임없이 관심을 기울이고, 남에 대해 늘 험담하며, 우리 주변의 다른 사람들이 하는 일로 우리의 행동이 크게 인도되고, 다른 사람들을 모방함으로써 배운다. 인간과 다른 영장류의 사회성에 있어서 매우 큰 차이는 뇌 크기의 매우 큰 차이와 유사하다. 이것은 인간이 그들의 거대한 두뇌의 엄청난 에너지 비용을 정당화하는 사회 학습으로부터 특별한 이익을 얻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이 주장에 대한 증거가 있는가?


한 연구는 종을 구별하는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2.5세 인간 어린이와 침팬지, 오랑우탄의 인지 능력을 대조하였다(Herrmann, Josep, Hernàndez-Lloreda, Hare, & Tomasello, 2007). 참가자들에게는 물리적, 사회적 두 종류의 문제 해결 과제가 제공되었다. 물리적인 문제 해결 과제에는 참가자가 도구를 가지고 그것을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낼 때까지 원하는 대상을 가질 수 없도록 제시하였다. 예를 들어, 참가자들은 원하는 물체를 자신들 쪽으로 당기기 위해 어떻게 막대기를 구멍에 꽂을 수 있는지 알아내야 했다. 사회적 문제 해결 과제도 장치에서 원하는 대상을 가져오는 것이었지만, 먼저 모델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도록 했다. 그들은 모델이 한 것과 똑같은 행동을 했을 경우에만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참가자들은 어떻게 했을까?


그림 2.11a는 물리적 문제 해결 과제에 대한 세 종의 성과를 보여준다: 그 종족들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종류의 과제일 때에는, 2.5세 아이들은 다른 유인원들만큼만 똑똑할 뿐이다. 이는 적어도 어린이에게는, 이러한 과제에 특별한 인간적 이점이 없기 때문에 인간의 초대형 두뇌의 진화가 물리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어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대조적으로, 그림 2.11b는 사회적 문제 해결 과제에 대한 성과를 보여준다. 여기에서 인간이 빛을 발했다. 2.5세 아이는 두 종의 유인원에 비해 모델이 한 일을 정확하게 따라 할 가능성이 훨씬 더 높았다. 침팬지와 오랑우탄의 공통적인 반응은 그들만의 선택적 모방 학습 방식을 사용하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내려고 노력하는 것이었다. 반면에, 인간 아이는 모델이 취하는 단계들을 보고 따라 했다. 다양한 특정 하위 과제가 사회적 문제 해결 과제를 구성했으며, 인간이 다른 유인원을 가장 능가하는 과제는 모방 하위 과제가 유일했다. 대부분의 아이는 100% 정답을 맞힌 반면, 대부분의 유인원은 0% 정답을 맞혔다. 인류는 문화 학습을 하고 있었다.

 그림 2.11 아이들과 침팬지의 인지 능력. 이 연구는 2.5세 어린이, 침팬지, 오랑우탄의 물리적 문제 해결 과제와 사회적 문제 해결 과제에 대한 성과를 대조했다.

출처: Herrmann 외, 2007에서 각색.


다른 사람들로부터 배우는 능력의 이러한 차이는 왜 인간만이 진정으로 문화적 축적을 가지고 있는 유일한 종인 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잘 배울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혁신을 기반으로 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독특한 인간 능력은 다음 연구에서 명확히 볼 수 있다 (Dean, Kendal, Schapiro, Thierry, & Laland, 2012). 소규모 아이들(3-4세) 집단과 비슷한 규모의 신세계 원숭이 중에서 가장 지능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는 매우 사회적인 종인 침팬지와 흰목꼬리감기원숭이 집단을 경쟁시켰다. 그들에게 정확한 순서로 수행되어야 할 일련의 세 가지 단계를 배워야 풀 수 있는 퍼즐 박스를 주었다. 이 퍼즐은 문화 축적에 관련된 순차적 과정을 포착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세 번째 단계는 첫 두 단계를 순서대로 완료하지 않고는 완성될 수 없었다. 성공적으로 수행된 각 단계마다 참가자들에게 점점 더 가치 있는 보상(어린이들을 위한 스티커와 유인원을 위한 당근, 사과, 포도 등)이 주어졌다.


퍼즐 과제를 가지고 수십 시간 동안 제시한 결과, 흰목꼬리감기원숭이 30마리 중 2마리만이 2단계를 풀 수 있었고, 단 한 마리도 3단계를 풀 수 없었다. 침팬지는 조금 더 나았다. 수십 시간 후에 33마리의 침팬지 중 4마리가 2단계에 도달했고, 1마리는 3단계에 도달했다. 대조적으로, 35명의 아이들 중 15명은 다른 영장류들의 시간의 10% 미만 동안 상자를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3단계에 도달했다. 아이들은 서로 다른 단계를 겪을 수 있었고, 따라서 그들의 문화 학습은 축적되었는데, 왜냐하면 그들은 다른 영장류들보다 서로를 모방할 가능성이 더 높았고, 서로 가르쳐 줄 가능성이 더 높았고, 스티커를 공유함으로써 서로에게 보상을 할 가능성이 더 높았기 때문이다. 이 모든 행동들은 아이들의 성공적인 수행을 예측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침팬지와 흰목꼬리감기원숭이 집단내에서 가르치거나 공유하는 사례는 없었고, 모방행위 또한 거의 없었다. 아이들이 그들의 영장류 사촌들에 비해 지적인 이점은 바로 문화의 축적을 촉진하는 그런 종류의 능력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간을 다른 영장류들과 구분하는 주요 방법은 다른 이로부터 배우는 능력에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침팬지, 오랑우탄, 흰목꼬리감기원숭이는 모두 뛰어난 문제 해결 능력, 좋은 작업 기억력, 빠른 반응시간, 강력한 전략 기술을 가진 고도로 지적인 종이다. 더구나, 이 종들의 모방 능력은 인간이 아닌 영장류들 사이에서 기록된 것들 중 최고이다. 그러나 다른 이로부터 배우는 그들의 능력은 인간의 능력에 비해 미미하다. 다른 사람들로부터 배우는 것이 문화의 축적을 이끄는 것이고, 이것은 더 큰 두뇌에서 파생된 인간의 주요 장점인 것으로 보인다. 만약 이 추론이 맞다면, 비용이 많이 드는 인간 두뇌의 진화를 이끈 일차적인 힘은 그들이 정기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상당히 큰 집단의 의도와 활동을 인지하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인간의 능력과 관련이 있다. 이것은 그들이 모방하고 배울 수 있는 재능 있는 모델을 찾고, 궁극적으로 유익할 새로운 기술을 개발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했다. 문화 학습과 관련된 인지 능력을 개발함으로써, 비록 문화 학습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더라도, 인간은 그들이 정착한 다양한 환경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도전에 적응할 수 있었다.


이렇게 생각해 보면 인간은 마법의 문턱을 넘어 문화적 존재가 될 수 있을 정도로 생물학적으로 진화만 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오히려 문화 학습에 종사하는 능력 자체가 인간이 마지막으로 다른 영장류와 공통된 조상을 공유한 이후 인간 진화를 형성한 선택적 힘이었다 (Henrich, 2015; Richerson & Boyd, 2005 참조). 요리하는 법을 배우는 인류 조상들의 초기 사례는 문화 학습이 우리의 생물학적 진화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를 보여준다. 인류학자 클리포드 기어츠Clifford Geertz(1973)에 따르면, 문화는 인류 진화의 중심 “재료ingredient”였다. 우리의 유전자는 문화 학습에 의존하도록 진화했고, 수천 년 동안 우리는 계속해서 이 학습에 더 의존하게 되었다. 문화 학습을 가장 잘하는 우리 조상들은 살아남은 자손을 가질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람들이었다. 따라서 문화와 인간의 두뇌의 생물학은 유전자와 문화의 공진화를 통해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우리가 인간 본성의 근본을 찾을 때, 우리는 문화를 발견한다.


생각해보자   

어떤 면에서 특정 동물들이 문화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는가?


인간이 다른 명성 있는 사람들에게 끌리게 되는 결과의 일부를 말해보라.


선택적 모방 학습과 모방 학습의 각각의 장점은 무엇인가?


가까운 미래에 가장 빠른 문화 축적이 어디서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


인간이 문화 세계에 산다는 말이 무슨 뜻인지 설명해보라.


음식을 요리하는 것과 두뇌가 큰 것의 관계를 설명해보라.


우리가 침팬지 지능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인간이 멸종한다면, 어떤 종류의 침팬지 사회가 발전하리라 보는가? 영화 혹성탈출Planet of the Apes에서처럼 그들이 세계를 점령할 것인가?


제안하는 자료


Henrich, J. (2016). 호모 사피엔스, 그 성공의 비밀 The secret of our succes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Richerson, P. J., & Boyd, R. (2005). 유전자만이 아니다 : 문화는 어떻게 인간 진화의 경로를 바꾸었는가 Not by genes alone: How culture transformed human evolution.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Tomasello, M. (1999). The cultural origins of human cogni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Wrangham, R. (2009). 요리 본능 : 불 요리 그리고 진화 Catching fire: How cooking made us human. New York: Basic Books.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