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종보 Mar 14. 2022

유아기의 영향 - 양육 방식

스티븐하이네의<문화심리학CulturalPsychology>

2011년 초 북미 부모들 사이에서 저녁 식사 시간에 인기 있는 대화는 에이미 추아의 책인 타이거 마더 (Battle Hymn of the Tiger Mother)에 대한 광범위한 뉴스 보도였다. 한동안 내가 만난 거의 모든 부모(그리고 중국 학생)가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 하는 것 같았다.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 사는 추아는 두 딸의 양육 경험에 대해 설명했고, 많은 서양 부모들은 충격을 받았다. 딸들에 대한 그녀의 규칙 목록은 다음과 같다: 놀이 시간 금지, 밤샘 금지, TV나 컴퓨터 게임 금지, 자신의 과외 활동 선택 금지, 학교 연극에 참여하지 않음(또는 학교 연극에 참여하지 않는 것에 대해 불평 금지). 딸들은 하루에 3시간 동안 바이올린이나 피아노를 연습해야 했으며(다른 악기는 허용되지 않음) 체육과 드라마를 제외한 모든 과목에서 최고 학생이 되어야 했다. 추아는 자신의 육아 방식을 "중국식 육아"라고 불렀지만, 그녀도 자신의 변형 방식이 중국(또는 모든 문화권) 기준에도 극단적이라는 점을 인정했다 (그림 5.10). 


그림 5.10 육아 유형. 에이미 추아가 딸을 키운 방식은 육아에 대한 매우 엄격한 접근 방식을 나타낸다. 


추아의 책 출간 이후, 부모들이 엄격한 육아의 효능과 비용에 대해 토론하는 과정에서 많은 신문 기사와 사설들이 등장했다. 논쟁의 큰 부분은 불편한 사실에 집중되었다: 추아의 아이들은 학교와 음악 부분에서 매우 성공적이었다; 그들은 하버드와 예일대에 진학한 전 과목 A 학생이었고, 한 명은 카네기 홀에서 피아노를 연주했다. 이 장의 뒷부분에서 다시 논의하겠지만, 중국 어린이들은 특히 수학 및 과학 학업 성취도에서 정말 빛을 발한다. 극도로 엄격한 양육 방식이 실제로 성공적이고 건강한 자녀로 이어질 수 있을까?

  양육 방식의 영향을 이해하기 위한 가장 잘 연구된 접근 방식은 발달 심리학자 다이애나 바움린드Diana Baumrind(1971, 1991)의 분류 체계였다. 권위주의적Authoritarian 양육은 부모와 자식 사이의 열린 대화가 거의 없고 엄격한 규칙으로 아이들에게 높은 요구를 한다. 그것은 전형적으로 아이에 대한 부모의 낮은 수준의 따뜻함이나 반응성을 포함한다. 권위있는Authoritative 양육은 부모가 자녀의 성숙에 대한 기대를 높게 갖고, 자녀의 감정을 이해하려 노력하고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가르쳐주며, 행동에 대한 한계와 통제를 유지하면서 자녀가 자립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아동 중심적 접근법이다. 이 접근 방식은 부모의 따뜻함, 반응성, 그리고 민주적인 추론과 관련이 있다. 허용적Permissive 양육은 부모가 자녀에게 매우 관여하고 부모의 따뜻함과 반응을 많이 표현하지만, 자녀의 행동에 제한과 통제를 거의 두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방임적Neglectful 양육은 부모가 냉담하고 무반응적이며 자녀에게 무관심하다는 특징이 있다. 서양 사람들에 대한 연구 결과는 상당히 일관적이었다: 권위있는 양육은 부모의 따뜻함, 수용성, 높은 학업 성취도, 독립성 및 자립감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결과로 이어졌다 (예: Leung, Lao, & Lam, 1998; Steinberg , Lamborn, Dornbusch, & Darling, 1992: Trommsdorff, 1985).

  이러한 양육 방식과 관련된 보편적인 결과가 있을 수 있지만(Sorkhabi & Mandara, 2013 참조), 일부에서는 바움린드의 분류가 발달에 대한 서양의 문화적 이해와 너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다른 곳의 양육 방식을 적절하게 포착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언뜻 보기에, 추아를 극단적인 예로 든 중국의 육아 방식은 권위주의적인 것으로 가장 잘 설명되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사실 이러한 엄격한 양육 방식은 이집트, 이란, 터키, 라틴아메리카는 물론 동아시아, 동남아, 남아시아 등 비서양 문화권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예: Dornbusch, Ritter, Leiderman, Roberts, & Fraleigh, 1987; Harwood, Miller, & Irizarry, 1995; Huang & Lamb, 2014; Kagicibasi, 1996; Rudy & Grusec, 2006). 그러나 다양한 비서양 문화의 지배적인 양육 방식의 특정 요소는 권위주의 범주와 일치하지 않는다. 첫째, 아이의 발달 단계에 따라 부모의 접근 방식이 다르다. 예를 들어, 많은 아시아 문화권에서 영유아는 부모가 훨씬 더 엄격해지는 학령기에 도달할 때까지 요구나 기대가 거의 없이 상당히 관대한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예: Conroy, Hess, Azuma, & Kashiwagi, 1980; Kim, Kim, & Rue, 1997; Morrow, 1989). 둘째, 부모가 따뜻함과 반응성을 전달하는 방식은 문화에 따라 상당히 다르며, 한 문화에서는 차갑게 보이는 행동이 다른 문화에서는 차갑게 인식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서양인은 아시아인 부모보다 키스하고 자녀에게 사랑한다고 말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더 노골적인 경향이 있는 반면, 아시아인 부모는 자녀의 근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함으로써 따뜻함을 나타낸다(예: Cheah, Li , Zhou, Yamamoto, & Leung, 2015). 셋째, 권위주의적 범주는 중국과 다양한 비서양 양육 방식에서 공통적인 양육의 중요한 요소인 훈련의 역할을 배제할 수 있다. 차오(Chao, 1994)는 훈련(Jiao xun, 教训)이 중국 육아의 핵심 부분이라고 주장한다. 아이들이 사회적으로 원하는 행동을 따르도록 하는 것은 부모의 헌신과 희생뿐만 아니라 역할 모델이 되는 것을 포함한다. (추아는 딸의 숙제와 피아노 연습을 감독하는 데 매일 몇 시간을 할애했다.) 중국의 양육 방식 분류는 훈련을 핵심 요소로 할 가능성이 높다.

  일부 양육 방식은 문화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낳는 것처럼 보인다. 일반적인 패턴은 특정 문화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양육 방식(대부분의 다른 부모들도 같은 일을 할 때 고등학교 자녀의 숙제에 관여하는 것과 같이)이 지역 문화 규범과 상충되는 양육 방식보다 아이들에게 더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Lansford et al., 2018). 강력한 부모의 통제는 중국, 일본, 한국에서 가족의 화합을 높이고 부모의 따뜻함과 수용력을 인식하며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Leung et al., 1998; Nomura, Noguchi, Saito, & Tezuka, 1995; Rohner & Pettengill, 1985; Steinberg, Dornbusch, & Brown, 1992; Trommsdorff & Iwawaki, 1989; 또한 Kim, Wang, Orozco-Lapra, Shen, & Murtuza, 2013 참조). 대조적으로, 다양한 서양 국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강력한 부모의 통제는 긍정적인 결과가 적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유럽계 미국인 고등학생은 어머니로부터 오는 모든 유형의 압력을 부정적이고 지원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지만, 아시아계 미국인 고등학생은 어머니의 압력을 부정적인 것으로 보지 않는다. 그리고 아시아계 미국인 학생들이 과제를 열심히 하라고 압박하는 어머니를 떠올렸을 때, 그들은 스스로 과제를 완료하려는 동기가 더 강해졌다(Fu & Markus, 2014). 일본인의 육아를 연구하는 한 연구자가 지적했듯이, "일본의 청소년들은 부모의 통제도 거의 없는 더 넓은 자율성을 경험했을 때 부모로부터 거부감을 느끼기도 한다." (Trommsdorff, 1985, 238쪽). 따라서 엄격하고 통제적인 육아는 일부 문화권에서 다른 문화권보다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다른 한편, 권위주의적 양육은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어머니와 관련이 있으며(Su & Hynie, 2011), 중국을 포함한 다양한 서양 및 비서양 문화권의 어린이들에게 심리적 문제를 초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Qin, Pomerantz, & Wang, 2009; Sorkhabi, 2005). 일반적으로, 아이들은 강하게 통제하는 부모에 대해 덜 행복하며, 이는 비교 문화적으로도 사실이다(Pomerantz, Ng, Cheung, & Chu, 2014; 예외는 Rudy & Grusec, 2006 참조). 

  요약하자면, 지나치게 엄격하고 통제적인 육아는 서양 문화권 사람들 사이에서 많은 종류의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지만, 비서양 문화권에서는 가족 간의 유대감이 높아지고 성적이 향상되나 아이의 행복도는 떨어지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양육 방식에는 상충 관계가 있으며, 엄격하고 통제적인 양육이 전반적으로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올지 여부는 문화가 우선시하는 가치(예: 행복 또는 성취)에 달려 있다.


- 이후 명사 편향이 이어집니다.

작가의 이전글 유아기의 영향 - 애착 유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