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종보 Mar 15. 2022

유아기의 영향 - 명사 편향

스티븐하이네의<문화심리학CulturalPsychology>

  어린 시절의 초기 경험에 대한 또 다른 관점은 언어 학습이다. 보통 18개월 정도의 어린아이들은 어휘가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는 가속 단어 학습의 시기에 들어간다. 그러나 광범위한 연구는 이러한 증가가 모든 다른 형태의 단어들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어린아이들이 배우는 첫 번째 단어들은 명사이다(예: Gentner, 1982; Huttenlocher & Smiley, 1987). 동사 및 기타 관계형 단어에 비해 명사가 우세한 것을 명사 편향noun bias이라고 한다.

  연구자들은 명사 편향이 동사와 같은 다른 단어에 비해 명사가 더 두드러지고, 더 구체적인 개념을 언급하며, 환경과 분리되기 쉽다는 것을 나타내며, 이것이 아이들이 먼저 배우는 이유라고 주장해왔다(Gentner, 1982; Gleitman, 1990).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우리는 어디에서나 그리고 모든 언어에서 명사 편향의 증거를 볼 수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연구는 북미 지역에서 수행되었으며, 광범위한 증거에 따르면 북미 어린이는 동사보다 명사를 훨씬 더 빨리 배우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명사 편향은 일부 다른 문화 집단들, 특히 동아시아에서 확인하기가 더 어렵다. 예를 들어, 한 연구에서는 중국 유아들이 명사보다 동사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졌고(Tardif, 1996), 다른 연구에서는 한국 유아들 사이에서 명사 편향이 있다는 증거가 없었다(Choi & Gopnik, 1995). 명사 편향은 원래 예상했었던 것만큼 보편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또 다른 연구는 북미 대학생들에게 엄마와 아이 사이의 대화에서 들을 수 없는 단어를 추측하도록 요청했을 때, 명사라고 추측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Lavin, Hall, & Waxman, 2006; also see Gillette, Gleitman, Gleitman, & Lederer, 1999); 그러나 중국어를 사용하는 대학생들은 같은 명사 편향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문화적 차이에 관한 가능한 설명 중 하나는 문화적 설명이 아니라 언어적 설명이다. 아마도 언어의 본질에는 명사나 동사를 더 두드러지게 만드는 무언가가 있을 것이다. 영어 구문에서 명사는 "He dented his new car."와 같이 문장 끝과 같은, 눈에 띄는 위치에 오는 경향이 있다. 반면, 일부 동아시아 언어(예: 일본어와 한국어)는 문장의 끝에 동사를 배치한다. 누군가가 쿠키를 먹었다고 일본어로 말하려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말해야 한다: "She cookie ate." 영어와 달리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는 모두 문맥이 명확할 때 명사 (그리고 대명사)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해 동사가 문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도록 한다. 사실, 일본어로 "사랑해 I love you"라고 말하려면, "Love"라고 말하는 것만으로도 넘어갈 수 있으며, 누가 누구를 사랑하는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그것이 문맥에서 명확하지 않다면, 당신은 아마도 그것을 말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명사 편향의 문화적 차이는 다양한 언어가 명사와 동사를 어떻게 다르게 강조하는지를 단순히 반영하고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한 가지 증거는 북경어와 영어로 이중 언어를 구사하는 어린이가 북경어보다 영어로 말할 때 명사 편향을 더 많이 보인다는 것이다(Xuan & Dollaghan, 2013). 이 언어적 설명은 정확한 것으로 판명될 수 있지만, 왜 동아시아 언어는 명사 또는 대명사 탈락을 허용하는 반면 영어와 기타 많은 서양 언어는 허용하지 않는지에 대한 물음에는 여전히 답을 내어 놓지 못한다(Kashima & Kashima, 1998).

  다른 설명은 비교 문화적인데, 어린아이들이 사물에 대해 다르게 의사소통하는 법을 배운다는 것이다. 북미 지역의 어머니는 트럭과 같은 장난감을 가지고 1살짜리 아이와 어떻게 놀 수 있을까? 우리는 그녀가 다음과 같은 말을 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 트럭을 봐. 크고, 강한 트럭이야! 봐, 여기 다른 트럭이 있어. 노란 트럭이네. 검은색 바퀴가 있어. 빨리 달릴 수 있어. 트럭, 차고로 가자." 이러한 의사소통은 트럭이 환경과 어떻게 분리되어 있는지 강조하고 트럭의 특성 측면에서 트럭을 설명한다. 대조적으로, 같은 트럭을 가지고 아이와 노는 동아시아 어머니는 이렇게 말할 것이다. “여기 아빠 트럭이 온다. 형 트럭에게 안녕하고 인사를 하네. 아빠 트럭은 형 트럭을 사랑해. 그들은 같이 해변으로 소풍을 갈 거야." 이 같은 소통은 두 트럭의 관계를 부각한다. 이런 종류의 대화는 어떻게 아이들이 그들의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을 형성할 수 있을까? 한 가지 중요한 연구 부문에서는, 서양인들은 세계를 분석적으로 인식하여 사물을 개별적이고 분리된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는 반면, 동아시아인 들은 사물 간의 관계를 강조하면서 세계를 전체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예: Nisbett, Peng, Choi, & Norenzayan, 2001). 명사 편향의 문화적 차이가 세상에 대한 생각의 이러한 차이를 반영한다는 것은 그럴듯하다.

  많은 연구는 위의 트럭의 예와 같이 엄마와 아이의 상호작용이 문화에 따라 다양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북미 지역의 어머니는 동아시아인보다 사물에 주의를 집중할 가능성이 더 높다(Bornstein et al., 1992; Senzaki, Masuda, Takada, & Okada, 2016). 이러한 차이는 매우 어린 영아와 부모의 상호작용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모든 문화권의 부모들은 아이와 장난감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러나 서양의 엄마들은 장난감 자체에 대해 더 많이 이야기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동아시아 엄마들은 사회적 일상의 일부로 장난감을 더 자주 사용한다(Tamis-LeMonda, Bornstein, & Cyphers, 1992). 동아시아 엄마들은 북미 엄마들보다 행동을 더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북미 엄마들은 동아시아 엄마들보다 사물을 더 효과적으로 소통한다(Lavin, Hall, & Waxman, 2006; Lavin, Hall, & Leung, 2006). 영아와 유아들의 초기 세계는 조직적인 면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서양의 아이들은 사물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배우는 반면, 동아시아 아이들은 사물 사이의 관계를 지향하도록 배운다.

작가의 이전글 유아기의 영향 - 양육 방식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