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종보 Feb 03. 2023

9장 인지와 지각(8)-언어 상대성(3)

스티븐하이네의<문화심리학CulturalPsychology>

공간 인식


언어 상대성은 공간 묘사의 측면에서도 고려될 수 있으며, 이는 언어마다 크게 다를 수 있다. 영어 화자는 종종 왼쪽, 오른쪽, 앞, 뒤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화자와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장소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잡화상은 냉동 완두콩이 방울다다기양배추 앞과 피에로기 왼쪽에 위치해 있다는 것을 알려줌으로써 쇼핑객들을 슈퍼마켓 냉동고로 안내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쇼핑객이 다른 쪽에서 냉동고에 접근한다면 이러한 방향은 적용되지 않을 것이다; 거꾸로 되어야 할 것이다. 방향은 화자와 관련해서만 정확하다. 반대로 호주 원주민 언어인 구구이미티르어Guugu Yimithirr 화자가 제공하는 동일한 종류의 방향에는 상대적 용어가 포함되지 않는다. 쇼핑객은 완두콩이 (화자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인) 방울다다기양배추의 동쪽과 피에로기의 남쪽에 있다는 말을 듣고 안내를 받을 것이다. 즉, 구구이미티르어 화자는 나침반의 방위로 묘사되는 절대적 용어(상대적 용어가 아님)로 공간을 식별한다. 


구구이미티르어에는 상대적인 방향 용어가 없기 때문에, 그들의 세계와 상호작용할 때 항상 나침반 방위를 염두에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 않으면 그들이 본 것에 대해 물었을 때 공간적 위치를 설명할 방법이 없을 것이다. 대조적으로, 영어 화자는 공간을 생각할 수 있고 신체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를 사용하여 다른 사람과 의사 소통할 수 있기 때문에 방위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다. 


"좋아, 태양이 있으니까 그 방향은 '위'야."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자신이 마주치는 장면을 어떻게 기억할까? 한 연구는 구구이미티르어 화자와 네덜란드어 화자가 장면을 다르게 기억하는지 여부에 대한 워프식 질문을 테스트하려고 했다(Levinson, 1997). 네덜란드어는 상대적 방향 용어가 있다는 점에서 영어와 같다. 참가자들에게 한 방에 있는 탁자 위에 소, 돼지, 사람 모형을 한 줄로 보여주었다(그림 9.19). 탁자가 북쪽 벽에 붙어 있어 참가자들은 북쪽을 향하고 있었다. 그런 다음 그들은 같은 모형이 있는 비슷한 탁자가 있는 다른 방으로 가도록 요청받았다. 단, 지금은 탁자가 남쪽 벽에 붙어 있어 참가자들이 남쪽을 향하고 있었다. 그들은 첫 번째 방에서 본 것과 같은 장면을 만들기 위해 모형을 배열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대부분의 네덜란드 화자는 세 모형을 자신과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장면을 배치했다. 원래 방에 사람의 왼쪽에 돼지, 돼지 왼쪽에 소가 있었기 때문에, 그들은 새로운 방에서 이러한 상대적인 위치를 유지했다. 극명한 대조로, 대부분의 구구이미티르어 화자는 상대적인 용어 대신에 방위 방향을 사용하여 장면을 배열했다. 북쪽을 향하고 있던 첫 번째 방에서 사람의 서쪽에 돼지, 돼지의 서쪽에 소가 있었기 때문에, 그들이 남쪽을 향한 두 번째 방에 있을 때 그들은 동서남북 방향에 따라 모형의 위치를 보존했다. 이것은 이제 사람의 오른쪽에 돼지, 돼지의 오른쪽에 소가 있다는 것을 의미했는데, 이것은 네덜란드어 화자들이 만들어낸 배열과 정반대였다! 

그림 9.19 공간 인식과 상대적 방향 용어의 사용.

그림 9.19 공간 인식과 상대적 방향 용어의 사용. 

이 연구에서 네덜란드어와 구구이미티르어 화자들은 한 줄의 모형을 본 후 다른 방향을 향해 있는 다른 방으로 안내되었다. 이전 순서와 일치하도록 동일한 모형을 배열하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네덜란드어 참가자는 항목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배열했고 호주 원주민 구구이미티르어 화자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배열했다. 이 결과는 두 집단이 공간을 인식하는 방식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출처: Levinson, 1997 발췌. 
 

워프식 설명은 구구이미티르어 화자의 공간 언어가 방위에만 기반을 두기 때문에 해당 방향에 대해서만 세계의 배열을 생각한다는 것이다. 대조적으로 네덜란드어 화자는 자신의 신체와의 상대적인 위치로 장소를 설명하므로 대부분의 상황에서 방위에 집중할 필요가 없다. 구구이미티르어 화자가 자신의 신체 위치와의 상대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방향을 생각하는 경향은 전 세계적으로 자급자족 집단 사이에서 더 흔하게 나타나며 침팬지가 방향을 이해하는 방식과 더 유사하다(Haun, Rapold, Call, Janzen, & Levinson, 2006). 자신의 자기중심적인 위치와 관련하여 방향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은 비교적 최근의 발전이며, 많은 비산업화된 문화에서는 볼 수 없는 발전이다. 


이 연구에 이어, 연구원들은 서로 다른 공간 참조를 가진 언어가 사람들이 시간의 흐름을 표현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탐구했다. 연구는 이미 시간에 대한 사람들의 이해가 공간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Boroditsky, 2000). 연구자들은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 화자가 시간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르는 것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고 추론했다(Boroditsky & Gaby, 2010). 그래서 예를 들어, 영어 화자들이 그림 9.20(다양한 연령대의 보로디츠키Boroditsky 할아버지의 사진)의 이미지를 정확한 연대순으로 배열한다면, 그들은 그들이 어떤 방향을 향하든 상관없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배열할 것이다. 

그림 9.20 공간 참조와 시간의 흐름.

그림 9.20 공간 참조와 시간의 흐름. 영어 화자는 시간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지나가는 것으로 생각하는 반면, 호주 원주민은 시간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지나가는 것으로 생각한다. 원주민들은 자신이 향하고 있는 방향에 따라 사진들을 연대순으로 다르게 배열할 것이다. 

출처: Lera Boroditsky, 개인적인 소통. 


영어에서 왼쪽이 시간의 기원으로 인식된다는 생각은 다소 자의적이며, 아마도 영어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인다는 사실에 의해 결정되었을 것이다. 영어를 사용하지 않는 문화권의 사람들도 이러한 선호를 보여줄까? 시간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르는 것으로 보는 영어 화자들의 경향은 보편적일 것 같지 않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어떤 종류의 진행을 나타내기 위해 선형 순서를 사용하는 것조차 보편적이지 않기 때문이다(Cooperider, Marghetis, & Nunez, 2017). 또 다른 연구는 구구이미티르어 화자와 마찬가지로 공간 방향을 언급할 때 절대적 용어만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 폼퓨라오Pormpuraaw 마을 출신의 호주 원주민을 조사했다(Boroditsky & Gaby, 2010). 폼퓨라오에선 하늘을 가로지르는 태양의 움직임을 따라 시간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것으로 본다. 그림 9.20의 사진을 연대순으로 배열하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그들은 어느 방향을 향하든 상관없이 사진을 동쪽에서 서쪽으로 배열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결과 공간 인식과 시간 인식이 어떻게 자신의 언어 어휘에 기반을 두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시간 인식에 대한 문화적, 언어적 영향에 대한 더 많은 예는 Boroditsky, Fuhran, & McCormick, 2011; de la Fuente, Santiago, Roman, Dumitrache, & Casasanto, 2014 참조). 

작가의 이전글 9장 인지와 지각(8)-언어 상대성(2)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