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하이네의<문화심리학CulturalPsychology>
유대교는 종교적 관습을 따르는 것을 더 강조하는 반면, 기독교는 개인적 신념을 더 강조한다. 그 결과, 기독교인은 유대인보다 나쁜 생각을 도덕적 문제로 여기는 경향이 더 높다.
장 개요
민족 중심주의와 문화 간 도덕성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단계
• 제1수준 : 전 관습적 수준Pre-conventional level
• 제2수준 : 관습적 수준Conventional level
• 제3수준 : 후 관습적 수준Post-conventional level
• 콜버그 모델에 대한 비교 문화적 증거
자율성 윤리, 공동체 윤리, 신성 윤리
• 공동체 윤리
• 신성 윤리
문화 전쟁
• 종교적 정통주의 대 진보주의
• 도덕적 직관
종교와 성취 동기
• 개신교, 예정론, 그리고 자본주의
• 개신교 윤리에 관한 관점
생각의 도덕성
• 종교가 도덕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
2006년의 첫 몇 달은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한 대중 시위가 벌어지는 등 극도로 불안정한 시기였다.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의 무슬림 세계 전역과 북미, 남태평양, 유럽의 무슬림 집단 사이에서 사람들은 격렬하게, 때로는 폭력적으로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수십 명이 사망하고 여러 대사관이 불에 탔다. 매일 국기가 불태워졌고 범죄자의 폭력적인 죽음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이렇게 광범위한 분노의 원인은 무엇일까? 만평. 덴마크의 한 신문에서 무슬림 선지자 무함마드를 묘사한 만평을 게재했는데, 이는 선지자를 어떤 식으로든 묘사해서는 안 된다는 무슬림들의 깊은 신념을 위반한 것이었다. 더 심각한 것은 많은 만평에서 선지자가 터번을 두르고 폭탄을 들고 있는 등 의도적으로 모욕적인 이미지로 묘사되었다는 점이다. 전 세계 신문들은 표현의 자유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만평을 재인쇄했고, 이는 분노의 불길을 더욱 부채질했다. 이 문제는 9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폭력적인 갈등의 중심에 있다. 2015년 초 풍자 잡지 샤를리 에브도Charlie Hebdo의 파리 본사가 공격을 받았고, 이 잡지가 재인쇄한 무함마드에 대한 공격적인 만평에 대한 보복으로 12명이 살해당했다.
무함마드의 캐리커처를 게시하는 것이 부적절한지에 대한 질문은 세상을 극명하게 갈랐다. 갈등 양측의 사람들은 상반된 반응에 분노하고 의아해했다. 많은 서양인들은 만평이 왜 그런 분노를 불러일으켰는지에 대해 의아해했다. 이러한 묘사가 일부 사람들에게는 불쾌감을 줄 수 있지만, 많은 서양 평론가들은 이러한 묘사는 표현의 자유를 중시하는 사회에서 살기 위해 사람들이 지불하는 대가라고 주장한다. 덴마크 신문의 편집자는 기독교 이미지가 종종 풍자화된다는 점을 지적하며 만평을 게재하기로 한 결정을 정당화했다. 예를 들어, 널리 알려진 덴마크의 한 그림에는 발기 상태의 예수가 그려져 있다. 그렇다면 무함마드는 왜 안 될까?
많은 무슬림은 이 문제를 신성 문제로 본다. 일부 행동은 표현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더라도 결코 용납되어서는 안 될 정도로 불쾌감을 주는 것으로 간주된다. 일부 무슬림은 자유가 다른 모든 가치보다 우선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한 무슬림 시위자의 손팻말은 많은 사람들이 공유하는 분노의 감정을 포착했다: "자유는 지옥에나 가라!" (그림 12.1). 일부 무슬림들은 이 만평의 게재를 이슬람 신앙에 대한 공격이자 이미 긴장된 이슬람 문화와 기독교 문화 간의 관계를 악화시키려는 제스처로 간주했다.
만평 논란과 최근 몇 년간 기독교와 이슬람교 사이의 갈등은 문화가 세계 문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는 정치학자 새뮤얼 헌팅턴Samuel Huntington이 1996년 저서 문명의 충돌Clash of Civilizations에서 미래 분쟁의 근본적인 원인은 이념이나 경제가 아니라 문화와 종교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을 때 염두에 두었던 내용을 반영한다.
그림 12.1 표현의 자유. 표현의 자유는 전 세계 많은 곳에서 매우 소중히 여기는 가치이지만, 신성한 것의 보존과 같은 다른 가치에 종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헌팅턴의 논문은 많은 사람들, 특히 학계에서 세상이 빠르게 세속화되고 있다는 공통된 인식 때문에 논란이 되어 왔다. 즉, 세상이 발전하고 진보하고 과학이 계속해서 발견을 거듭하면서 현상에 대한 종교적 설명이 이성적이고 과학적인 설명으로 대체되고 있다. 세속화 이론secularization theory으로 알려진 이 견해는 종교가 쇠퇴하고 있으며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세속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발견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19세기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Nietzsche는 이러한 견해를 일찍이 지지했으며 "신은 죽었다"고 주장한 것으로 유명하다.
니체 시대 이후 과학은 엄청난 발전을 이루었고, 많은 사람이 종교적 설명보다 과학적 설명을 선호한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교육 수준이 높아지는 인구와 함께 과학적 발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는 니체의 예측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적어도 대부분의 사람들의 마음속에는 신은 죽지 않았다. 스칸디나비아와 아시아 등에서는 종교성이 감소하고 있지만(Norenzayan, 2013), 전 세계 많은 지역에서 종교는 여전히 중요한 힘으로 남아 있다.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경제를 가지고 있고 지난 세기 동안 가장 많은 과학적 진보를 이룩한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종교는 여전히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다. 미국인의 약 94%가 신을 믿는다고 답했으며(Greeley, 1991), 최근 수십 년 동안 미국에서 종교성이 증가했다는 징후가 있다(예: Greeley & Hout, 1999). 세계의 많은 종교, 특히 이슬람과 기독교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Jenkins, 2002). 오히려 전 세계적으로 종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지도 모른다(Berger, 1999).
"종교를 잘못 골랐어요, 끝. 더는 논쟁하지 않겠습니다."
문화심리학은 이 논쟁의 한가운데 있다. 종교성은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강하고 다양한 문화와 종교를 가진 사람들이 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이 서로 접촉하고 있다. 하지만 종교 간 적대감도 커지고 있다. 최근의 많은 테러 공격은 극단적인 종교적 세계관으로부터 동기를 부여받았다. 문화적, 종교적 배경이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옳고 그름을 이렇게 정반대의 방식으로 볼 수 있을까? 도덕성에 대한 인식의 문화적 다양성이 가져온 결과는 전 세계의 많은 과거와 미래 갈등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이 장에서는 문화가 도덕적 추론과 종교적 신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일부 관행은 보편적으로 도덕적 위반으로 인식되지만, 그렇지 않은 관행도 있다(예: Abarbanell & Hauser, 2010). 이는 이 책의 중심 주제인 심리 과정과 사고방식의 보편적인 측면과 문화적으로 다양한 측면 사이의 긴장감을 나타낸다.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다른 문화의 근거를 이해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아마도 다른 어떤 심리학 연구 분야에서도 문화적 차이를 개념화하는 것이 이보다 더 어려운 과제는 없을 것이다. 우리 문화에서 사회화를 통해 도덕의 기준을 습득했다면, 다른 문화에서 옳고 그름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우리의 기준은 우리만의 문화적 맥락에 국한된 것일까, 아니면 도덕적 원칙은 문화를 초월할까?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가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여 먼저 한 걸음 물러나서 문화적 다양성을 보다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방법을 생각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