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그리고 <문라이즈 킹덤>
2014년에 개봉된 영화, 또 그중에 영화팬을 설레게 한 영화들 가운데서도 유난히 눈에 띄는 영화가 한 편 있었다. 웨스 앤더슨 감독의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이었다. 이 영화가 눈길을 끈 이유는 첫째로 영화 좀 본다는 사람들이 알만한 연기파 배우들의 대거 출연이었고, 둘째로는 그 배우들을 모아 영화를 연출한 감독이 웨스 앤더슨이었기 때문이다.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은 유려한 영상미와 연속되는 액자식 구성 그리고 스토리의 전개를 빠르게 만들어주는 음악과 장면 전환 기법까지 무엇 하나 빠지지 않는 영화이다. 웨스 앤더슨의 재기 발랄함이 느껴지는 영화인데, 이러한 기법들이나 영상미가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실제로 내가 그랬으니까. 그전까지 웨스 앤더슨을 몰라서 그의 이전 영화들을 찾아보고 나서야 그의 영화 세계를 짐작할 수 있었다.
일단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을 단순하게 정의해보자면, 유쾌하고 흥미진진하고 악인은 패한다는 교훈(?)까지 준다는 측면에서 동화적인 영화라고 할 수 있다. 어른을 위한 동화랄까? 이러한 특징은 웨스 앤더슨의 전작들에서도 엿볼 수 있는데, 그중 대표적인 영화가 바로 <문라이즈 킹덤>이다.
두 영화 중 어느 것이든 먼저 접하고 다른 영화를 접한다면 누구나 알 수 있게 되는 것이 바로 앞서 언급한 빠른 장면 전환이나 음악과의 조화 등이 앤더슨이 영화를 만드는 방법 중에 하나라는 것이다. 실제로 두 영화는 스토리 라인의 개연성도 없으며,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비슷한 모습들을 많이 보여주고 있다.
<문라이즈 킹덤> 역시 한 편의 동화 같은 느낌이다. 실제로 주인공의 연령이 10대 초반 정도여서, 더 그런 느낌을 받게 된다.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이 어른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일이라면, <문라이즈 킹덤>은 아이들 사이, 조금 더 나아가서는 아이들과 어른들의 사이의 이야기라고 볼 수 있다.
웨스 앤더슨의 영화를 보고 있노라면, 웨스 앤더슨의 메세지가 들리는 듯하다. 우리가 매일 보는 뉴스를 예로 들자면, 뉴스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주제는 대부분 '비극'이다. 누가 누구를 죽이고 누가 누구에게 사기를 쳤으며, 누가 누구를 때리고 어쩌고 저쩌고... 그러나 분명한 것은 한 시간 남짓한 그 뉴스 속에서도 분명히 '희극' 은 존재한다는 것이다. 어떤 이는 힘들게 사는 이들에게 기부를 하기도 하고, 누군가는 죽어가는 생명을 살리고 누군가는 길에서 위험에 처한 사람을 구하기도 한다. 분명 '비극' 적인 삶으로 보일지라도, '희극' 적인 장면은 분명히 존재한다. 감독은 그것을 우리에게 보여주는 듯하다.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에서의 살인사건은 비극이지만 그것을 풀어나가고 해결하는 것이 희극이고, <문라이즈 킹덤>의 주인공들이 사라진 사건이 비극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으나, 주인공들의 입장에서는 희극이 되듯이, 우리의 삶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또 어떻게 전개되느냐에 따라 희극으로 보일 수도 있고, 따뜻한 이야기가 될 수도 있음을 이야기하는 것 같다. 동화적인 색감이나 재기 넘치는 장면 전환도 그러한 메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려는 감독의 의도로 느껴진다.
아티스트에게는 자신만의 색깔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표현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색깔이기도 하지만, 어떤 이야기를 하느냐, 즉 철학적인 측면에서도 자신만의 색깔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웨스 앤더슨은 그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기에, 세계의 많은 영화 팬들이 그를 좋아하는 것이 아닐까? 웨스 앤더슨의 다음 동화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