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종승 Jul 14. 2021

<랑종>

The Medium, 2021

두말할 것 없다. <랑종>은 지루했다과연 나홍진이라는 이름이 없었다면 이 영화가 이토록 화제가 됐을 이유가 있겠는가공포 영화라 자처하는 이 영화는 실제로 공포스러운가샤머니즘을 다루는 이 영화는 그 샤머니즘을 잘 다뤘는가?


나홍진은 영화의 제작을 맡았고작품의 원안을 썼다그 외엔 태국의 반종 피산다나쿤 감독의 몫이다나홍진이 원안에 참여했으니 물론 <곡성>(2016)의 세계관과 유사한 점이 있다아니나는 <랑종>과 <곡성>이 완전히 같은 구조를 취한다고 봤다현재의 결과는 과거의 어떤 원인에 기인하는 인과론적 서사로 아주 단순하게 밀고 나아간다무당 일광(황정민)은 종구(곽도원)에게 딸 효진(김환희)이 겪는 일에 대해 “고 놈은 낚시를 하는 거여뭐가 딸려 나올지는 몰랐겄지 지도그놈은 그냥 미끼를 던져분 것이고자네 딸내미는 그것을 콱 물어븐 것이여그것이 다여.”라 말했고무명(천우희)은 니 딸 애비가 죄를 졌응게.”... “니 딸 애비가 남을 의심 허고, 죽일라 커고, 결국에 죽여브렀어.”...“시방 가지 마. 시방 가면 다 죽어시방 가면 니 식구들 다 죽는다고?”라 말한다그 외에 딱히 납득할 만한 건 없다.


<랑종>도 그렇다제목인 랑종은 무당을 의미하는 단어다사람은 물론 풀논밭심지어 벌레들에게도 모두 신이 깃들어 있다는 토속신앙을 믿는 지역으로 향한다굽이굽이 먼 길을 돌아 곡성으로 향했듯 말이다영화의 배경이 되는 지역에선 바얀 신을 믿는데특정 가문의 여성들에게 대물림을 하며 신내림이 이뤄진다(나릴야 군몽콘켓)에게 신이 들린 것 같은 기이한 현상이 벌어지자 랑종인 이모 님(싸와니 우툼마)이 그녀에게 향해 상태를 확인하려 하는데 역시나 심상치 않다.


해당 신앙을 믿고 안 믿고를 떠나서우선 자식이 고통스러워하니 부모는 고통을 없애주고자 한다신이 들려 그런 것이라면 그것을 없애고자 한다존재 자체를 부정하니 자식의 상태는 더더욱 나빠지고현대의학은 원인을 알 수 없다고만 말하며 침대 하나만 내어줄 뿐이다더 이상 지체할 수 없게 되자 부모는 그릇된 선택을 알면서도 감행하게 된다뒤늦게 신앙인이 등장하지만 시간은 많이 지체돼있다이때 나홍진은 미끼를 던진다토속신앙을 다루면서 <곡성>에선 부제가 등장했고, <랑종>에선 신부가 등장한다동양의 귀신을 다루면서 성경의 이야기를 가져와서는 서양의 좀비를 보여준다물론 그것이 잘못된 선택이었겠는가창의적인 발상이라고 볼 수도 있겠으나결과물은 조잡했다.


<곡성>이 그래도 대단한 점은 연출진이 그것을 의도했든 안 했든 이례적으로 많은 이들이 영화의 해석에 달려들었다는 것일 테다나는 여태 <곡성때처럼 영화를 본 관객들이 해석에 열중하는 모습을 전에도그 후에도 본 일이 없다단지 그뿐이다. <곡성>을 봤을 때도 그렇지만영화가 주는 긴장감이나 (나는 느끼지 못한)공포감은 연출적인 요소에서 오는 것이 아닌 미술팀과 분장팀이 심지어는 역겹게까지 보이는 것들을 실감 나게 잘 표현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랑종>에서 공포감이란 것은 영화가 3분의 2 지점을 돌파할 때까지도 없었다가, ‘아 설마 이게 무섭다는 건가?’ 싶은 부분이 있었으니정말 그것 때문이라면 삼류 공포 영화를 비싼 돈 내고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를 뚫고 볼 이유가 있나 싶다.


비슷한 줄기에서 아리 애스터 감독의 <유전>(2018)이 떠오르고영화가 취하는 형식에서 <파라노말 액티비티>와 <블레어 윗치시리즈가 떠오르기도 하며, <R.E.C>(2007)는 아주 대놓고 따라 했다는 생각마저 든다. <R.E.C>는 다큐멘터리 제작진이 소방관과 함께 어떤 곳으로 향했다가 위험에 처하는 영화다. <랑종>처럼 다큐 제작진이 현장에 동행하며 핸드헬드로 촬영하고 인공적인 조명이 없는 곳에선 카메라의 조명을 활용하기도 하고불을 모두 끄고  녹색의 야간 모드를 쓰며 현장감을 스크린에 그대로 옮기려 하지만 패착이다다큐멘터리에서 중요한 건 연출자의 의도와 태도일 것이다.


그들이 대상 앞에 있음은현장에서 촬영을 하고 있음은 너무나 잘 알고 있지만 <랑종>처럼 갑자기 카메라의 시선을 자신들에게 돌려 영화에 계속해서 개입했다가 퇴장했다가를 반복하진 않는다대학 전공생들도 그렇게 찍지 않을 것이다중간중간 자막까지 넣어가며 자신들의 생각과 의도를 친절하게도 전달하더니 마치 그들이 선택한 다큐멘터리라는 장르를 놓치고야 만다.


무섭겠지존재 자체를 생각하지 않던 귀신이 바로 눈앞에 보이는 상황에서 그런 그깟 원칙이나 직업윤리가 뭐가 중요하겠는가그러나 <랑종>은 직업을 떠나 인간적인 윤리마저 포기하고 만다페이크 다큐멘터리 형식을 취하면서 카메라를 들고 있던 이가 화면 안에 등장하는 일이 어디 한두 번이겠는가카메라맨과 대상 사이의 제한된 공간과 거리감이 주는 특유의 긴장감이 있지만 <랑종>엔 없다영화는 이미 랑종인 님과 이제 랑종이 될 밍이 중요한 역할을 지니고 있으나영화를 열 때의 님만 제 역할을 수행하고 밍은 그렇지 못한다한 인물인 밍이 영화를 망쳤다는 말이 아니다영화에 밍이 등장하고부터 그 캐릭터 설정처럼 어디로 튈지 모르게 날뛴다현희가 결국 그렇게 됐지만 어서 밍이 발작을 일으키고 기이한 증상을 보이길 기다리고 있다그 순간부터 샤머니즘이니 뭐니는 이미 안중에 없다용한 무당도 그녀의 몸에 들어간 귀신이 무엇인지그리고 얼마나 많은 수의 귀신이 들렸는지도 알 수 없는 상황에서그녀가 보이는 어떤 행동들은 던지려는 미끼에 자신들의 뒤통수가 걸리는 꼴이다.


애초에 모큐멘터리라는 게 다큐멘터리의 성격을 몇 차용하는 거지만, <랑종>은 카메라를 들고 촬영한다는 캐릭터 설정 말고 무엇을 취했나 싶다장르적 특성뿐 아니라 영화 내적으로도 설정한 서사를 제대로 쌓아 올리지 못한다가볍게 언급되고 그냥 흘러가버린 밍의 조상이그리고 아버지가 어떤 죄를 저질렀는지 같은 것 말이다보여주고 싶은 건 많은데 어느 것 하나 제대로 살리지 못해 어디에서도 흥미를 느끼기 쉽지 않다. <랑종>은 어떠한 미끼도 제대로 던져보지 못하고 퇴장한다어떠한 공포도 선사하지 못하고 퇴장한다그저 빨간 피만 전시하고 퇴장할 뿐이다온갖 잡다한 귀신이란 귀신은 다 들린 밍을 연기하는 나릴야 군몽콘켓이라는 배우가 그 괴물을 대단히 잘 연기하길 바랄 뿐이다.


남은 건 출신도 불분명한 괴물이 화면에 남은 사람을 모두 먹어치우는 것이다살점이 뜯겨나간 모습을 전시하며 영화는 발버둥 친다이 영화가 관객에게 주는 충격이란 것은 단지 피와 상흔의 전시뿐이다누가누가 더 잔인한 이미지를 전시하는가 내기하던 2010년대의 한국 스릴러물이 떠오른다. 2021년에 보기엔 너무나 식상했다.


#랑종 #나릴야군몽콘켓 #싸와니우툼마 #반종피산다나쿤 #영화

작가의 이전글 <미스 슬로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