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구현모 May 28. 2016

<0528>

오바마 히로시마 방문 / 허핑턴포스트의 전략 / 87체제 / 미디어BM

1. http://www.vox.com/2016/5/27/11791766/obama-hiroshima-apology

An apology from President Obama could make Prime Minister Shinzo Abe feel compelled to offer his own apology for Japan’s wartime atrocities, including the "Rape of Nanking" in China and massacres of ethnic Chinese in Malaysia and Singapore— which, according to Yuki Tanaka, a professor at Hiroshima City University I spoke with, were perpetrated in part by soldiers from Hiroshima.
An apology from Obama for using nuclear weapons on Japan "could open up a can of worms" about Japan’s own nuclear program, Koichi Nakano, a political science professor at Sophia University in Tokyo, told me when we spoke recently.

아베가 오바마의 사과를 꺼림찍해하는 이유 1) 오바마가 피폭자들에게 사과하면 자연스레 당시 강제징용에 시달리던 한국인 이슈도 나온다. 일본입장에선 전쟁범죄에 사과해야 하니 원치 않음 2) 핵무기. 만약 오바마가 사과하면 자연스레 핵무기 쓰지 말자는 이야기가 나올 거고 핵무장론을 이야기하는 아베입장에선 당황스러울밖에. 논란에 대응하는 가장 최선은 논란을 만들지 않는 것.


2. http://www.huffingtonpost.com/nick-sabloff/how-we-built-huffpost-int_b_10127438.html

The goal was for them to remain integrated into the Huffington Post’s core mission, but also rooted in their local culture.We didn’t want to launch a “Huffington Post France,” populated with translated articles from the U.S. or pieces by foreigners reporting from Paris. Wewanted to make a “French Huffington Post”: a premier digital news site for French readers, with original content created by local editors, and a blog platform full of local voices having the conversations that matter to them. To further establish our local know-how, we partnered with some of the world’s best publishers, from Le Monde to El Pais to the Asahi Shimbun.
So, what’s next? To start, we want to keep growing our network by expanding to more markets, and to bring more of the best stories and perspectives from around the world to our readers. (Stay tuned for an announcement about our Mexico launch in the coming weeks.) This also means bringing these stories to the global platforms where readers are spending their time, like WeChat, where we are now publishing in Chinese to reach a worldwide readership in that language. At the same time we’ll be deepening the experiences provided by our current editions with content such as 360 videos from HuffPost Ryot. We’ll also be improving our ability to share the best content from each edition with an even larger audience by making our product even more robust. We are thrilled to be able to continue forth on this global journey, and we hope you’ll join us, wherever you are.

허핑턴 포스트의 전략. 글로벌과 로컬. 해외로 뻗어나가면서, 단순히 '기사번역'이 아니라 로컬 에디터로 하여금 로컬 이야기를 쓰게 만듦. 물론 여기서 로컬 이야기 중에 보편적이거나 이슈성이 있는 기사는 다른 지부에 번역해서 내보냄. 결국, '허핑턴 포스트'라는 것에 독자들이 기대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있으니, 그걸 뼈대로 해서 로컬 이야기를 생산. 로컬 이야기를 다시 글로벌네트워크로 뻗어나가게끔. 결국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브랜드가 원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확실하니 가능한 것.


3. http://www.niemanlab.org/2016/05/in-india-a-boom-of-digital-media-startups-find-large-audiences-but-face-familiar-business-challenges/

The organization is grant-supported, though, and the funding it received for digital expansion has ended. It’s considering moving beyond grants and donations, and perhaps even advertising:

폭발적인 인터넷 사용자를 배경으로, 디지털 미디어 스타트업이 증가하고 있는 인도. 근데 뭐.. 다 같이 힘들다고. 시장은 넓지만, 헤쳐나갈 방향은 아무도 결정하지 못했다고. 누구를 잡아야 효과적으로, 지속가능한 미디어를 운영할지는 만국공통의 문제다.


4. http://www.niemanlab.org/2016/05/a-swiss-publisher-is-trying-to-attract-a-paying-audience-with-an-app-sampling-stories-across-publications/

The app is an attempt to build a younger subscriber base that will pay for digital content. It’s also been a way for Tamedia to experiment with data, as it’s developing an algorithm to try and predict which stories will be most successful in 12-App.
“The initial idea was that we wanted to build a platform to sell this content in a new form — not in the old title bundle, but in a new bundle.”
12-App has been downloaded around 40,000 times and has about 15,000 daily users, Marti said. Users have access to 12 free stories each month before they have to pay. About 1,500 users are paying 6 Swiss francs (USD $6.04 U.S.) for standalone subscriptions. Forty percent of readers get full access to the app through existing subscriptions to other Tamedia publications.
Coupling that information with the number of screen views each story receives, 12-App has built a system to determine which stories readers really want. The company is able to rank and classify the stories by publication, topic, and more. Using this data, for example, staffers realized that readers weren’t interested in lifestyle stories — they had low ratings and little reach — so they began leaving those stories out of the app.
“The idea isn’t to substitute the editors, the humans, but to give them support,” he said. “They have to read 300 articles, and that takes a lot of time.” He envisions editors getting a list of 50 stories each morning, and choosing 12 from that list.

여러 매체를 가진 미디어회사가, 자기네 매체의 기사 중 독자가 좋아할만한 기사를 간추려서 보내줌. 개인화를 바탕으로 유료화. 12개 기사를 재편집해서 보내준다고. 단순히 속보전달보단, 유저가 좋아할만한 맥락을 짚어주는, 고품질기사를 제공. 1년에 40만원을 낼 사람은 없어도, 한 달에 2만원 낼 사람은 있다. 독자보단, 사용자로 접근해야 한다. 디지털 시대엔, 새로운 모델로 BM을 구축해야.


5. http://news.joins.com/article/20084765

기존 새누리당 지지자들이 국민의당으로, 적어도 비례투표에서 이탈한 이유는 새누리당이 주장하는 ‘보수’가 변질했다는 인식과 궤를 같이한다. 3당 합당이 유신-5공 세력이 민주화 세력인 통일민주당을 끌어들인 사건이었던 것처럼 이명박 후보가 대통령 선거에서 압승할 수 있었던 것은 시장 자유화 등의 반권위주의적 의제를 보수가 선점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지난 선거에서 새누리당 ‘이탈자’와 ‘잔류자’들의 가장 뚜렷한 특징이 교과서 국정화 이슈였다는 결과를 비춰 본다면, 결국 박근혜 정부가 추진한 국가주의적 보수의 브랜드를 이들이 더 이상 수용할 수 없었고 국민의당이라는 대안적 선택을 한 것이 아닌가 해석할 수 있다.
더 흥미로운 부분은 더민주를 이탈해 국민의당을 비례대표 정당으로 선택한 이들의 특징이다. 여러 정책들 중 더민주 지지자와 이탈자들을 가장 극적으로 갈라놓은 이슈는 복지 예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당 지지자들은 복지 지출을 반대하는 정도가 더민주 지지자들보다는 새누리당 지지자들과 매우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이 양자의 조합이 흥미로운 이유는 이들을 하나로 포괄하는 이름이 있다는 점이다. 그것을 전통적인 자유주의, 혹은 자유지상주의라 부를 수 있을 것이며, 권위주의 국가이건 복지주의 국가이건 어떤 형태의 국가적 개입으로부터도 반대하는 입장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것은 한국 정치 지형에서의 전통적 보수도 전통적 진보도 아닌 제3의 길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87년 체제가 무엇인지 알 수 있는 글. 동시에 국민의당 비례 투표자들이 자유지상주의자에 가깝다는 점은, 그간 정부가 보여준 불신 때문이 아닐까. 트럼프 지지자들이 알고보면 '국가에 배신당한 백인'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국민의당 지지자들도 여기와 유사해보인다. 국가주의에 반대하는 보수 + 복지에 반대하는 보수. 흐음. 흥미롭다.


6.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25730&yy=2016

이쯤 되면 김무성 최경환 두 사람이 그동안 은인자중한 것은 그저 소나기는 피하고 보자는 데서 나온 눈가림이었던 게 된다. 그런데 정말 이래도 되는 걸까? 당내 민주주의를 위해서 당 대표니 하는 과두들의 자리나 사무총장 같은 행동대장의 자리를 없애지는 못할망정 오히려 당의 의사를 독점하는 길을 터주는 게 말이 되는가? 이러면서 외부인사를 불러 당의 혁신을 맡긴다고 한다. 그 ‘용역’(用役)이 무슨 배짱으로 혁신할 수 있겠는가? 혁신은 두 대주주의 권력을 빼앗는 일인데, 그리고 두 대주주가 번연히 눈을 뜨고 있는데 말이다. 지켜보는 내 얼굴이 다 뜨겁다.

이익조직이 나을까 이념조직이 나을까? 새누리는 확실한 이해관계가 있는 이익조직이었는데, 이마저도 무너지고 있는 듯하다. 아, 이해관계가 '정권수호'보다는 '박근혜 눈치보기'로 바뀐 건가?

작가의 이전글 <0527>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