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골든로우 Aug 23. 2018

독해의 세분화

segmentations of reading comprehension


학습자가 명료한 독해 원리를 제시된 지문에 적용시킬 수 있다면 실력은 향상되고  투자하는 학습 시간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독해 (讀解)’를 세분화시키고  구체적인  단계를 확인해보자.

 


독해

[讀解,

reading comprehension]

     

일반적으로 ‘영어 독해’란 주어진 지문에서 제목, 주장, 주제, 요지, 시사하는 바를 파악하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독해가 여러 복잡한 단계에 걸쳐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글을 읽고 이해하는 정도의 추상적 개념으로만 생각한다.


단어와 문장이 의미하는 것을 이해하는 것뿐만 아니라 독해 자료의 각 부분들이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서로 결합하여 만든 의미를 이해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독해는 연계된 생각 속에 숨겨져 있는 글쓴이의 의도와 글의 목적이나 주제 등을 이해하는 것이다. 주장하는 이야기를 핵심 어휘를 통하여 읽는 이에게 전달하려누 것이다.


즉,  문장 안에는 핵심 단어가 있다는 뜻이다. 각 문장의 핵심 단어들을 종합하면 그 글의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핵심 단어를 어떻게 찾는지, 그 핵심 단어들이 어디에 반복적으로  나오는지, 주제 문장은 문단 어느 곳에 위치하는지  확실히 학습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진정한 독해의 향상을 위해서는 독해를 좀 더 세분화시켜 단계가 있음을 인식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독해는 크게 세 개의 단계로 해석(번역), 해설, 독해로 나누어질 수 있다. 첫 단계인 해석 단계에서  문장을 문법적으로 분석하여 해석 순서를 정하고 해석한 후  번복된 부분을 수정한다. 이 영역은 영어 학습자 자신의 능력에 해당된다. 해석의 절차를 거쳤음에도 이해되지 않아 해당 언어의 문화적 사회적 배경지식이 필요한 부분이 바로 해설 단계이고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세 번째 단계 인 독해 부분은 문장의 핵심 단어 찾기, 각 문장의 핵심 단어로 반복 어구 찾기, 문단의 제목 정하기, 문단의 주제 찾기 , 문장 간의 응집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세부 단계를 통해 글의 유기적 관계를 이해하고  결합하여 만든 의미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독해를 세분화시켜 학습 단계를 확인하는 과정이 있어야 하겠다.





해석 - 해설 - 독해

장점 

-   





--해석 절차

 1) 문장 분석 - 2) 해석 순서 파악 (번호 맞춰 해석) - 반복된 어구  삭제 및 수정



-- 독해 절차

1) 문장의  핵심 어구 찾기

2) 문단의  반복 어구 찾기

 3) 제목 선정 (통일성)

4) 주제문 찾기/ 요지 파악 ( 통일성+응집성)

 5) 요약 (통일성+응집성)

    

   


 "독해 자료의 각 부분들이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서로 결합하여 만든 의미를 이해하는 것"

이라는 표현은 다소 추상적이다. 즉 '독해 자료를 해석하고 나서 각 문장 핵심 단어 , 각 문단 반복 단어 , 문단의  통일성, 문장끼리의 응집성을 파악하여 결합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Q & A


1. 해석은 어떻게 하나요?

2. 한 문장의 핵심 단어는 어떻게 찾나요?

3. 반복 어구는 무엇입니까?

4. 글의 통일성이란 무엇입니까?

5. 문장의 응집성이란 무엇입니까?


이와 같이 독해 향상을 위해 해결해야  할 숙제를 하나하나 해결해보자.. 1) 해석 - 2) 문장 핵심 어구 찾기 - 3) 문단 반복 어구 찾기-  4) 요약/제목 정하기 -5) 주제의 통일성 - 6) 문장 간 응집성 - 7) 문제 유형 적용





각각 구체적으로

1. 해석은 어떻게 하나요?


모든 문장은 '문장의 기본 5 형식'중 하나의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문장이 하나이면 단문이고 두 개의 문장이 접속사로 연결되어 복문이다. 한 문장 안에 형용사절을 동반한 혼합 문도 있다. 하지만 어떤 문장이든 '문장의 기본 5 형식'에서 하나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니 영어 문장의 주어, 동사, 목적어, 보어를 정확히 분석하고 합당한 한국어 '조사'를 정확히 붙이는 연습을 해야 한다. 예를 들면 주어로 판단된 단어 뒤에는' ~은, 는, 이, 가'를 정확히 붙여야 한다. 목적어로 판단된 단어 뒤의 한국어 조사는' ~을,를, 에게'를 쓰고 보어로 판단된 단어 뒤에는 '~로, 게, 도록'을 분명히 의식적으로 붙여야 한다.


문법적 분석
Animals  should have  the right
   S                V3              O
<to participate>(in their training.)
  to 부정사 right 수식    전치사 명사

   

해석 순서 정하기
Animals  should have  the right
    1                   5                  4
to participate in their training.
            3                         2      


3 형식 문장 - 주어 목적어 동사한다


동물들 그들의 훈련에 참여할 권리 가져야 만한다.




문장 기본 5 형식의 문장 분석과 더불어 꼭 확인할 것은 8 품사의 종류와 정의 및 기능이다. 8 품사의 정의를 확실히 이해하면 해석의 순서가 논리적으로 이해 갈 것이다. 주어와 목적어는 명사이다.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하고 부사는 형용사를 수식한다. 그러므로 부사가 형용사 를 수식하고 형용사가 명사를 수식한다. 그러므로 부사-형용사-명사 순으로 해석 순서를 정한다. 문법적으로 는 이해된듯하나 막상 문장 적용은 쉬운 일이 아니라서 올바른 방법을 통해 훈련해야 한다.

( 2장-해석 편 계속)


2. 한 문장의 핵심 단어는 어떻게 찾나요?


문장은 꼭 한 가지 형식을 취해야 한다. 문장 분석을 한 후 1 형식 문장일 경우 핵심 어구는 전치사 뒤의 명사가 핵심어 구이다. 2 형식 문장은 보어가 핵심어 구이다. 3 형식 문장은 목적어가 핵심어 구이다. 4 형식 문장은 직접 목적어가 핵심어 구이다. 5 형식 문장은 목적 보어가 핵심어 구이다.


step 1

문장의 동사를 확인하여 문장 형식을 파악한다

(각 형식의 주된 핵심 단어를 찾는다)


Step2

각 문장의 주어가 일반명사일 때는 핵심어 구이다.


Step 3


1 형식일 경우 

동사와 전치사 뒤의 명사가 핵심 어구

 S   V  (전치사 명사)

 

2 형식일 경우 

2 형식 동사 뒤의 주격 보어가 핵심 어구

S   V    C


3 형식일 경우 

3 형식 동사 뒤의 목적어가 핵심 어구

S   V    O


4 형식일 경우 

직접 목적어인 명시가 핵심 어구

S   V   I.O   D.O


5 형식일 경우 

목적격 보어가 핵심 어구

S    V     O     C


(3장 - 핵심 어구 편에서 예문과 함께 구체적 내용으로 계속)


3. 반복 어구는 무엇입니까?


주어진 영어 지문은 단락으로 제시된다. 적게는 4 문장 많게는 10 문장으로 한 단락이 구성된다.

반복 어구란 각각의 문장에서 핵심 어구가 반복된 것이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문장의 핵심 어구가 A program이고 두 번째 문장의 핵심 어구가  the special program이라면 'program'이라는 핵심 어구가 두 번 반복된 것으로 반복 어구인 것이다.


(4장 - 반복 어구 편에서 계속)


4. 글의 통일성이란?


글의 상위 주제와 하위 주제가 통일되어 내용이 긴밀히 연결되는 것이 통일성이다. 세부내용이 전체 주제와 부합하는지를 확인하려면 문장 간의 반복 어구를 찾음으로 통일성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문장에 핵심 어구가 A program for the students이고 두 번째 문장의 핵심 어구가 the special program for boys이고 다음 문장의 핵심 어구가 the particular aspect of the program이라면 이 글은  Program이라는 핵심 반복 어구를 사용하여 내용의 통일성을 확인할 수 있다.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영어 영역에서 통일성(반복 어구)을 활용하여 11개의 문제 유형을 풀 수 있다.

(5장 - 통일 성편에서 계속)


5. 문장의 응집성이란?


문장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글의 주제가 잘 드러나게 하는 것이 응집성이다.

1. 반복되는 명사는 지시어로 활용하여 표현한다.

2. 중요한 핵심명사는 연결되는 다음 문장에서 똑같은 명사나 유의어를 사용하여 연결한다.

3. 문장 사이, 문단 사이에 적절한 연결 부사를 활용한다.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영어 영역에서 응집성을 활용하여 11개의 문제 유형을 풀 수 있다.

(6장 - 응집 성편에서 계속)


글의 주제와 요지를 스스로 찾을 수 있다면 글을 읽는 즐거움이 더 커질 것이다. 또한 해석을 통한 내용 이해와 핵심 어구의 반복을 통한 글의 주제 파악이 이루어지고  문단의 통일성과 문장 간의 응집성을 능동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면 학습자 스스로가  독해의 실력 향상을 확신할 수 있을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모르고 있다는 것을 아시나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