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핵추남 Oct 30. 2022

회사원의 고충

직장인들에게 직장은 참으라고 있는 곳이다?


'조용한 사직' 이란 말이 유행이다.



받은 만큼만 일한단다. 야근도 싫고 승진도 귀찮다.


책임감, 직업적 자존심은 중요하지 않다.


부럽다....




안타깝게도 최소한 내 또래까지는 열심히 하는 건 default였다.


첫 직장에서 신입사원으로서 모두에게 소개하는 날.

당연히 모두가 같은 말이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그 말들을 듣고는, 당시에는 몰랐지만 나의 팀장이 될 사람의 말.


'열심히 하는 건 누구나 하는 당연한 거고, 잘해야지.'




경력이 없는 신입사원에게는 수련의 과정이 필요하고

그 과정 동안 기다리고 지원하여 인력을 양성하고

그 인력이 오랫동안 회사에 남아 기여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도리어 회사 입장에서는 투자라는 말 따위는 실전에서는 통하지 않는다.



경력이고 나발이고 잘 해야 한다.


그래서 직장인은, 회사원은 늘 자신을 증명해야만 한다 (해야만 했다).


워크숍에 가서도 남들 보다 조금이라도 나은 인사이트를 보여야 하고

그게 안되면 저녁식사 자리에서 술이라도 잘 마시고 노래라도 해야 한다.

일도 잘 하는데 놀 땐 놀 줄도 알아야 한다.

그룹으로 하는 미팅에서 꿔다 놓은 보릿자루같이 있으면 안 된다.

뭔 말이든 하나라도 던져서 존재감을 보여야 한다.

편한 자리라고 매니저들과 모였을 때 진짜 편하게 생각하면 안 된다.

관찰 당하고 있으니 뭐라도 좋은 모습 하나는 그날 보이고 집에 가야 한다.


그렇다.

승진이 되었든 일의 보람이 되었든  많은 권한을 가지고 연봉도 올리며 직업 안정성도 가지고 싶다면 어떻게든 자신을 계속 증명해야 하는 것이,

바로 직장인의 숙명이다.


그러다 보니 어느새 직장은 참아야 하는 곳이 되어 버린다.


출처 : 연합뉴스



그런 직장 문화에 다른 문화가 돌고 있다.


돈을 주는 사람은  일을 시키려 하고 

받는 사람은  일하려 한다.

당연한 거래 관계다.


그동안 돈을 주는 사람이 강력한 갑이었는데

이제는 그 거래 관례에서 균형점을 찾으려는 바람이 분다.


받는 만큼만 하겠다는 거다.


노동의 가치가 인정받지 못하고 대박을 꿈꾸게 하는 사회가 되면서  경향은 더욱 속도를 받게 된다.


언젠가 이런 말을 한 분을 보았다.


' 저는 100의 에너지를 다 쓰며 일하는 것은 바보 같은 짓인 거 같아요. 평소에 80 정도로 일을 해야만 실제로 더 일을 해야 할 때 100까지 끌어올려 최선을 다해 해낼 수 있잖아요. 평소에 100 가까이 쓰다가 120씩 써야만 하는 경우가 생기면 그걸 어떻게 버텨요?'



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서를 불문하고 나이와 성별을 불문하고

누군가는  불을 태우고 기를 쓰고 자신을 증명하며  기회를 얻고 승진을 하고 많은 연봉을 받을 것이다.


무어가 더 나은 것이 아니다.


그저 나에게 맞는 삶의 가치가 무엇인지 알고 선택하면 된다.


다만 나와 같은 또래처럼  증명하는 것에 익숙한 세대들이 받은 만큼만 하겠다는 사람들과 같이 일하게  

어떻게 그들을 참여시킬 수 있을지

어른으로서 고민해야 할 때인 것 같다.



왠지 저들이 더 만족스럽고 자신에게 집중하는 삶을 살 거 같아 부러워 질투가 난다.


그런 사람들에게 직장이 참아야 하는 장소가 되게 해서 

 빨리 떠나게 하지 말자.

싫든 좋든 혼자서는 일을 할 수 없으니 같이 해야 한다.

두고두고 같이 있게 하려면 뭘 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자.









매거진의 이전글 신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