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쓰는 부엉이 J Jan 24. 2023

어린이를 잼민이라고 부르게 된 사회적 원인과 트렌드


잼민이라는 단어를 아시나요? 위키백과에 따르면 잼민이는 인터넷상에서 무개념 초등학생을 낮춰 부르는 신조어입니다. 단어 그 자체는 트위치에서 시작되었다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네이버 포털에서 특정 단어가 얼마나 많이 검색되었는지 알 수 있는 '네이버 데이터랩'에 따르면 2020년 3월 이후부터 '잼민이'의 쓰임이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출처 : 네이버 데이터랩



2013년 740만 명이었던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가 2022년 593만 명이 될 정도로 유소년 인구는 지속적으로 줄고 있었습니다.


초등학생을 뜻하는 '잼민이'들은 줄고 있는데, 어째서 잼민이라는 단어는 사회적으로 확산이 되었던 것일까요?



출처 : 통계청



결정적인 이유는 바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입니다.


2020년 1월 20일에 국내에서 첫 확진자가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3월 22일부터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었습니다. 그리고 정확히 그때부터 '잼민이'라는 단어가 확산되기 시작합니다.  


도대체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잼민이가 무슨 상관이 있는 것일까요? 



출처 : 한겨례 (https://www.hani.co.kr/arti/PRINT/943500.html)



일반 성인들이 일상생활에서 유소년들과 상호작용을 할 일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학교, 학원 등 관련 업종 종사자들만 아이들과 접촉하지, 보통 성인은 성인끼리 애들은 애들끼리 만납니다.


그런데 성인과 아이들이 서로 소통하는 공간이 존재합니다. 바로 '온라인'입니다.


코로나19로 오프라인에서 생활이 어려워지면서 초등학생들이 인터넷에 접속하는 시간이 늘어났습니다. 실제로 이 시점에서 초등학생들의 가장 대표적인 게임 '로블록스'가 급성장하였습니다.



출처 :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article/24055171#home)



과거에는 각자의 세계에 있었던 성인과 아이들이 코로나 19를 계기로 유명 유튜버의 방송, 각종 게임, 틱톡 등 다양한 채널에서 만나게 되었습니다.


과거보다 유소년 인구는 줄었지만 인터넷을 통한 상호 소통은 늘었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초등학생을 지칭하는 '잼민이'의 사용은 급증했습니다.


이는 앞으로 트렌드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줍니다. 인구의 절대적인 수와 실제 현실에 미치는 영향력은 결코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니까요. 중요한 것은 개인과 개인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이 양적으로, 질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냐는 것입니다.



출처 : 유튜브



문제는 '잼민이'라는 말이 좋은 의미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다른 사람에게 민폐를 끼치는 무개념 애들을 표현하는 말로 쓰이며, 요즘에는 대표적인 초등학생 혐오표현 중 하나로 규정되고 있습니다. 


초등학생은 당연히 상대적으로 어른에 비해 미성숙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거는 혐오의 대상이 아닌 이해의 대상입니다. 하지만 마음의 여유가 사라진 '혐오사회'에서 사람들은 다름을 이해하기보다는, 조롱의 대상으로 삼기 시작했습니다.


얼마든지 좋게 볼 수도 있었습니다. 다른 존재와의 만남은 필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옵니다. 그러므로 좋게 보면 좋게 볼 수 있고, 나쁘게 보면 나쁘게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회는 혐오를 선택했습니다. 



출처 : 네이버 데이터랩



코로나 이후 'X린이'라는 표현이 늘었습니다. 주식을 처음 시작한 '주린이', 요리를 처음 시작한 '요린이' 등등 어린이는 미성숙하고 부족한 사람을 뜻하는 대명사가 되었습니다. 충분히 다른 용어를 사용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사회가 쓰는 언어는 그 사회가 어떤 사회인지 나타냅니다. 저출생으로 어린이는 줄고 있는데, 어린이에 대한 혐오는 늘어나는 현실. 우리나라 사회의 포용력이 그만큼 낮아진 것입니다.


현재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단어는 '각자도생'입니다. 개인이 알아서 살아남아야 하기에 결혼도 하지 않고, 아이도 낳지 못합니다. 하지만 이제는 함께 사는'공존동생'의 세상으로 나아가야 하지 않을까요. 


사회적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우리가 쓰는 언어도 바뀔 수 있을 것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도파민 중독 속 다가오는 '마약 대중화' 시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