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부자가 되는 공식

부자는 땅이나 주식으로 된다.

 부자가 되는 공식


부자는 땅이나 주식으로 된다.

그럼 왜 그럴까?

오늘 부자가 되는 공식을 하나 발견했다.

아마도 가치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가장 필요한 공식이 아닐까 생각된다.


쪼가리 땅(적은 지분의 땅)으로 부자가 된 사람이 있었다.

그는 땅투자를 한지 수 십 년이 지났다.

그 사람이 사는 땅은 남들이 쳐다보지 않는 쪼가리 땅이다.

그런데 어떻게 그런 쓸모 없는 땅으로 부자가 되었을까?

그는 농사를 짓는 농부다.

그런데 그 사람은 농사를 지어서 생활비를 쓰고 남는다.

생활비를 쓰고 남는 돈을 가지고 어려운 사람을 도왔다고 한다.

어떻게 도왔는가?

한 번도 그는 남의 땅을 사러가지 않고 돈이 급한 사람이 자신의 땅을 사달라고 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 땅을 보러가면 땅이 몇 평 안 될 때도 있고 옆으로 긴 땅도 있고 쓸모 없는 땅이 대부분 이었다.

남들은 그런 땅 쳐다보지도 않으니 돈이 급한 이는 남들에게 멀쩡한 땅 팔아먹고 이 사람에게 와서 이 땅이라도 사서 자기 급한 사정 좀 봐 달라고 했다.

그래서 주변 땅 값보다 절반정도 된다면 그 사람 도와주는 셈치고 사줬다고 한다.

그래서 땅을 사 모았다.

그럼 그 땅을 산 돈은 무엇인가?

여유자금이다.

생활비를 쓰고 남는 자금으로 남의 급한 사정 도와준 결과다.

그러다보니 매 달 땅이 생겼고 그런 땅 포함해서 수 십만 평이 되었다.

요즘 매일 그런 땅들이 팔리고 수용되고 해서 땅부자가 되었다고 한다.


여기서 공식이 무엇인가?


첫째 여유자금이다.

생활비에 쪼들리면서 그걸 쪼개서 한 것이 아니다.

전세금 빼서 투자한 것도 아니다.

자신의 생활비가 남으면 그 여유자금을 가지고 투자한 것이다.

그러니 꾸준하게 땅을 늘릴 수 있었다.

그리고 쪼들리지 않으니 급하게 팔지 않았다.

저축을 땅으로 한 셈이다.


둘째 수 십배 수 백배 오르는 땅이었다.

수 십배 수백배 오르는 땅이란 무엇인가?

땅이란 종목 자체가 정해진 가격이 없어서 이렇게 오를 수 밖에 없었다.

부동산에서 주택은 가격이 정해져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 보면 아파트는 가격이 정해져있다.

그런데 이런 가격이 정해진 물건을 사서는 부자가 될 수 없다.

누구도 일정가격 이하로는 팔지 않고 누구도 일정가격 이상으로는 사지 않는다.

이렇게 가격이 공산품처럼 정해진 상태에서는 누구도 싸게 살 수 도 비싸게 사지도 않는다.

그러니 이런 부동산을 매번 해봐야 거래비용, 세금, 부대비용 제하고 나면 남는 것이 없다.

원래 크게 오르는 것이 아닌데다가 여러가지로 뜯기니 비싸게 팔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가격이 정해지지 않은 주식이나 땅이 가격은 천차만별이고 정해지지 않은 종목이다.

그러니 종목 자체가 내재적으로 수 십배, 수 백배 오를 수 있는 것이다.


세째 처음부터 싸게 샀다.

땅을 살 때 남들이 쳐다보지 않는 쪼가리 땅이었다.

그래서 살 때부터 싸게 살 수 있었다.

이기고 투자하는 경우다.


네째 투자금이 적게 들어간다.

왜 토지고 주식을 투자한 사람이 부자가 되는가?

이 두 종목은 돈이 적게 들어가는 종목 중에 하나이다.

왜냐하면 액면가 자체가 그리 비싸지 않다.

땅도 큰 땅이 있다.

그런 땅은 돈이 많이 들어간다.

주식도 벅크셔헤서웨이 주식은 한 주에 2억 5천만 원이다.

이런 주식도 돈이 많이 들어간다.

그러나 대부분은 돈이 크게 들어가지 않는다.

경매로 많이 떨어진 땅을 사거나 여러가지 권리관계가 얽혀있는 땅을 사면 땅이 싸다.

어차피 어제 사서 오늘 팔 것이 아니니 당장 이용할 수 있는가 없는가는 중요한 것이 아니다.

그러니 사고나서 묵혀둘 수가 있다.

주식도 마찬가지다 대부분은 몇 천원 혹은 몇 만원대에 산다.

삼성전자와 같이 100만 원이 넘는 주식도 있지만 그렇게 비싼 주식은 별로 없다.

그러니 부자도 월급쟁이도 여유자금으로 살 수 있다.

그러니 평생을 꾸준히 사서 몇 십년 간을 모은다면 많은 땅과 주식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럼 주택과 상가는 그렇게 꾸준히 사 모을 수 없는가?

그럴 수 있다.

주택을 전세가에 샀다가 다시 전세가격이 올라 그 차액만큼을 다시 주택을 사고 또 전세가가 올라서 다시 주택을 사고 하는 일이 반복되면 이것도 마찬가지로 주택부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약간의 위험이 있다.

땅이나 주식은 융자나 전세 등의 레버리지를 이용하지 않았고 그 내재가치가 100배, 1000배 오를 수 있었는데 비해 주택은 가격이 어느정도 정해져 있다.

게다가 위기상황이 오면 역전세난이나 이자 또는 대출금의 위험부담이 있다는 것이 좀 다르다.

그래서 불황기에 이렇게 사 모은 사람은 부자가 되지만 그렇지 않고 호황기에 주택을 사모으다 갑자기 금융위기와 같은 위기가 닥치면 한 순간에 몰락한다.

2008년도 금융위기에서 이런사람 여럿 봤다.

상가도 이런 경우가 있다.

대박상가 3채를 돌리는데 한 달 매출이 3억이 넘는 사람이 있었다.

순이익이 5천만 원 정도 되었다.

그래서 10달이 지나면 좋은 곳에 상가를 한 채 샀다고 한다.

그리고 순이익이 더 커졌다.

게다가 3개 였다가 4개가 되니 같은 가격의 상가를 사는 시간이 좀 더 빨라졌다.

그래서 계속해서 이익금으로 상가를 사고 상가를 사고 반복하다 빌딩을 샀다.

그러나 이런 사람은 드물다.

왜냐하면 상가와 주택은 기본적으로 가격이 비싸다.

그러니 일반인이 상가와 주택으로 저축하기가 힘들다.

그러나 대박집 상가를 가지고 있다면 상가로 저축하면 금방 재벌 된다.

결론적으로 일반인들에게는 투자금이 적게 들어가는 주식과 땅이 유리한 구조인 것이다. 


다섯째 앞으로 유망한 것을 샀다.

쪼가리 땅을 사서 부자가 된 사람이 땅을 산 시기가 우리나라의 제조업 융성기와 맞물렸다.

곳곳에서 개발행위가 일어났고 도로, 교량 등 사회간접시설이 천지개벽하던 시기였다.

그는 몰랐겠지만 그는 우리나라의 땅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 가장 개발이 많이 되는 시기와 맞물려서 땅을 저축했던 것이다.

게다가 땅은 강제저축의 개념이 들어간다.

쪼가리 땅을 샀으니 중간에 팔 수 없다.

누가 사주지도 않는다.

다만 언젠가 100배가 되는 시점에 수용이 되거나 개발이 필요한 사람이 사간다.

그러니 싸게 사고 많이 사고 개발이 많이 되어 수용, 매매가 되어 처음 산 가격에서 수 십배, 수 백배가 올라 팔 수 있으니  부자가 될 수 있었다.


시골의사 박경철 원장이 왜 주식의 신이 되었는가?

1990년대 초반 통신의 혁명이 일어나는 시기에 SKT의 주식이 3배 올랐는데 그는 팔지 않고 520배가 될 때 팔았기 때문이다.

그럼 왜 그는 520배 올랐을 때 팔았을까?

2배 아니 5%만 올라도 팔라는 주식의 격언(?)이 난무하는 세상에서 말이다.

그는 통신혁명이 일어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러니 3배 정도 오르는 것은 혁명적인 사건이 아니다.

그러니 당연히 3배 올랐을 때 팔지 않았다.

가장 마지막까지 들고 갈 수 있었다.

주식으로 부자가 되려면 꾸준히 사모아야 하지만 확실한 비전이 있어야 한다.


부자가 되는 공식을 다시 한번 요약하겠따.

여유자금으로 사고 많이 오를 종목(주식, 땅)을 사고 가격이 싼 종목(주식, 땅)을 사고 가격이 정해지지 않는 종목(주식, 땅)을 사고 처음부터 싸게 사고 유망한 것을 사고 많이 오를 때에 가서 판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왜 하드웨어의 주도권은 모바일로 넘어 왔는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